본문 바로가기

철학이야기

장자(莊子)와 한비자(韓非子)우언인물비교고찰 /한영걸.국민대

I. 서론

II. 우인(愚人) 인물

1. 서민 인물

2. 군주 인물

III. 공자(孔子) 인물

1. 본래 인물

2. 가공 인물

IV. 지인 인물

V. 여성 인물

1. 우인 여성

2. 일반 여성

VI. 결론

|국문초록|

장자와 한비자는 선진철학의 대표인물로, 모두 우언 창작에서 선구적인역할을 한 인물이다.

양자는 비록 생존한 시대가 다르고 소속한 학파도다르지만, 우언 창작의 인물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이에 본고는장자와 한비자 우언의 인물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춘추전국시대는 중국 역사에서 가장 혼란했던 시대이다.

예악제도가 붕괴되고 주 왕실의 권위가 하락하면서 힘의 원칙만이 관철된 약육강식의시대로 돌변한다.

수많은 약소국이 강대국에 병합되고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게 된다.

사회적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백여 개의 학파가 다양한주장을 제시하게 된다.

그런데 이들의 학설은 너무 심오하여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자신들의 학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그들은 우언이라는 문체에 눈길을 돌리게 되었고, 이로 인해 우언창작의 황금기를 맞이하게 된다.

장자와 한비자의 우언은 제자 중에서 우언의 편수가가장 많고, 또한 문학적 가치가 뛰어나 선진우언의 쌍벽이라는 높은 평가를 받게 된다.

장자와 한비자가 비록 우언을 통해 전달하고자 했던 뜻이다르지만, 이들은 우언의 인물에서 연계점을 찾을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장자와 한비자의 우언에서 공통으로 등장하는 우인(愚人), 공자(孔子), 지자(智子),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양자의 우언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주제어 : 장자, 한비자, 우인, 지자, 공자, 여성

I. 서론

장자(莊子)와 한비자(韓非子)는 비슷한 점이 참 많은 인물이다.

두 사람모두 전국시기 사상가이자 반유가적인 입장을 취한 인물이다.

또한 모두우언창작에서 거대한 성취를 거둬들였는데, 이에 문학사에서는 이들의 작품을 선진우언의 쌍벽이라고 부른다.

이 두 사람의 우언 작품을 살펴보면또 공통적인 부분도 찾을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우언에서 부각한 인물이다.

이에 본고는 장자와 한비자 우언 인물을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장자와 한비자가 생존했던 춘추전국시대는 중국 역사에서 가장 혼란했던 시대이다. 상나라를 멸망시키고 정권을 세웠던 주나라 통치자들은방대한 제국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혈연관계에 입각한 분봉제(分封制) 를 실행한다.

그러나 분봉제는 세월의 흐름과 더불어 혈연관계가 멀어지면서 제후들에 대한 통제를 잃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서주 말기 왕권하락과더불어 주 왕실은 제후들에 대한 통제를 잃게 된다.

왕실의 통제에서벗어나면서 제후들은 토지와 인구 획득을 위한 겸병 전쟁을 벌이게 된다.

치열한 겸병 전쟁을 거쳐 춘추시대 백여 개에 달하였던 제후국은 전국시대에이르러 7개의 강대국만 남게 된다.

약육강식의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제후국의 군주들은 인재를 구하게 되었는데, 이에 제자백가(諸子百家)가나타나 해결책을 제시하게 된다.

“우언은 인물로 사람을 감동시키고, 또 이치로 사람을 감복시키는주변문체이다.”1)

1) 첸푸칭 지음, 윤주필 옮김, 세계의 우언과 알레고리, 지식산업사, 2010, 84쪽.

이러한 우언의 사회적 효용가치(效用價値)의 중요성을 인식한제자(諸子)들이 우언을 자주 활용하게 되면서 우언창작의 황금기를맞게된다.

장자와 한비자는 우언의 제재가 다양하고, 인물이 개성이있어제자우언(諸子寓言)의 완성된 수준을 대표하게 된다.

장자와 한비자의우언은 앞에서 말했다시피 공통점이 매우 많은데, 그중에서 가장 큰공통점은 바로 모두 우인(愚人), 공자(孔子), 지자(智子), 여성 인물을 부각했다는 점이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장자와 한비자의 우언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양자의 우언을 비교 고찰한 연구는 매우 적은 상황이고2), 인물을 비교 고찰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2) 한국에는 권석환의 「장자 우언(寓言)의 추악인물(醜惡形象)과 생명의식」, 중국문학연구 10, 한국 중문학회, 1992, 김미애의 「장자·한비자의 寓言 比較 分析」,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석사논문, 2004 등 두 편이고, 중국에는 陳龍의 「比較莊子·韓非子寓言」, 玉溪師範學院學報 12期, 玉溪師 範學院, 2007, 孫豔秋, 「莊子和韓非子寓言的不同特色」, 河南社會科學 16-3期, 河南省社會科學 界聯合會, 2008, 於亞飛, 「莊子與韓非子寓言藝術特色比較」, 貴州師範學院學報 31-8期, 貴州師範學 院學報, 2015 등 12편이 있다.

이에 본고는 장자와 한비자 우언에 모두 등장하는 우인, 공자, 지자,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비교 고찰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고찰을통하여 양자의 문학적 가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II. 우인(愚人) 인물

우인이란 어리석은 행위로 인해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되는 바보 인물을 가리킨다. 본고에서는 우인의 인물을 서민 우인과 군주 우인으로 세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 서민 인물

제자들이 창출한 “우인 이미지는 주로 서민층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들의 어리석은 행동의 근본 원인은 지식과 경험 부족에서 찾을 수 있다.”3)

3) 崔秢僔, 关美, 「韩非子寓言中的愚人形象研究」, 중국학연구 89, 중국학연구회, 2019, 34쪽.

장자와 한비자의 우언은 비록 우인이라는 인물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있지만, 이들이 서민 우인을 창출한 동기와 배경에는 근본적인 차이점이있다.

서민 우인은 일반적으로 춘추시대 여러 나라 이름을 붙여서 연인(燕人), 정인(鄭人), 영인(郢人), 송인(宋人), 제인(齊人), 노인(魯人), 위인(衛人)이라고 부른다. 제자우언을 살펴보면 우인의 인물은 비록 인물 유형에서 주류를 차지하지 못하지만, 등장하는 횟수가 결코 적은 것은 아니다.

이는우인이라는 바보 캐릭터를 활용하면 각 학파의 난해한 철학사상을 알기쉽게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선진시대 우인의 인물은 주로 묵자(墨子), 맹자(孟子), 장자, 열자(列子), 순자(荀子), 한비자, 전국책( 國策), 여씨춘추(呂氏春秋) 등에 등장하는데, 모두 130여 명 정도가된다.

이 중 장자에는 7명이 있고, 한비자에는 40명 정도가 있다.

송인은비록 장자에는 2명, 한비자에는 7명 정도밖에 안 되지만, 양자의 우언을연결시키는 작용을 한다.

“공자가 선진 우언에서 주로 지혜로운 자의 인물이었다면, 송나라사람은 어리석음과 수구의 대명사였다.”4)

4) 첸푸칭 지음, 윤주필 옮김, 앞의 책, 665쪽.

한비자와 장자는 비록 서민 신분의송인을 우인으로 설정하지만, 그 설정 배경은 전혀 다르다.

송인은 은상(殷商)의 유민들로 이루어진 나라이다.

주나라가 은상을대신하여 정권을 잡은 후 주나라 통치자들은 송나라 땅에 은상의 유민을이주시키고 송나라를 세운다.

은상의 문화와 습관 등 많은 면에서 주나라와달랐기 때문에 주나라 사람들은 송인을 이방인 취급하였다.

그러다가춘추시대에 이르러 송양공이 초나라와의 전쟁에서 도덕적 명분 때문에 승패를가르는 기회를 놓치자, 송양지인(宋襄之仁)이라는 고사성어가 생겨날정도로 제후국의 웃음거리가 되면서 송인은 우인의 상징이 된다.

송나라출신이었던 장자가 자신의 우언에 송인을 등장시킨 것은 결코 자기 나라사람들을 깔보아서가 아니라, 당시 유세가들의 명철한 사고력과 판단력에미치지 못하는 우인은 오히려 도가적 입장에서 보면 이러한 인위적 지혜를제거한 순수한 진인이 우인으로 비추어졌기 때문이다.

이와 다르게 한비자가 송인의 인물을 활용한 것은 신분의 차이로서민을 바라보는 시각이 장자와 다르기 때문이다. 서민이었던 장자와 다르게한비자는 한(韓)나라의 왕족이다.

태어나면서 고귀한 신분이었고, 또스승 이었던 순자로부터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성악설(性惡設)을 계승하였기에 한비자는 자연스럽게 통치자들의 입장에 서게 된다.

그래서 그는 백성을 천성적으로 이익만 추구하는 무지몽매한 존재로 보게 된다.

이는 그의우언에 등장하는 우인들이 대부분 서민인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럼 먼저 장자의 송인 고사를 보기로 한다.

송나라 사람 중에 손을 트지 않게 하는 약을 잘 만드는 사람이 있었 다.

그는 대대로 그 약을 사용하여 솜 빨래를 생업으로 삼았다.

어떤 나 그네가 그 소식을 듣고 그 약 만드는 비방을 일백 금에 팔기를 청하였다.

그 송나라 사람은 가족을 모아 의논하였다.

“우리는 대대로 솜을 빨았으 나 몇 금정도 밖에 벌지 못하였다. 그런데 이제 하루아침에 그 기술을 일백 금에 팔 수 있게 되었으니 이를 팔아넘기고 싶다.”

그 나그네는 이 비방을 얻어서 오나라 왕을 설득하러 갔다.

마침 월나라가 군사를 일으 켜 오나라를 침략하자 오나라 왕은 그 나그네에게 군대를 거느리도록 하 였다.

겨울에 월나라 사람들과 수전(水戰)을 벌여 월나라 사람들을 크게 패퇴시켰다.

이에 오나라 왕은 그에게 토지를 나누어 봉해 주었다. 손을 트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은 한 가지였다.

그러나 어떤 이는 이것을 사용 하여 작위에 봉해지고, 어떤 이는 솜을 빨래하는 일에서 벗어나지 못하 였다.

이것은 그것을 사용하는 것이 달랐기 때문이다.5)

5) 두력, 두홍 편저, 박종혁 주해, 장자우언선주, 학고방, 2010, 42쪽: “宋人有善爲不龜手之藥者, 世世 以洴澼絖爲事. 客聞之, 請買其方百金. 聚族而謀曰: “我世世爲洴澼絖, 不過數金. 今一朝而鬻技百金, 請 與之.” 客得之, 以說吳王. 越有難, 吳王使之將. 冬與越人水戰, 大敗越人, 裂地而封之. 能不龜手一也, 或以封, 或不免於洴澼絖, 則所用之異也.“

“청자가 익숙한 생활 오브제를 사용하여 이야기의 접근성과 신뢰도를높이는 것”6)은 장자가 자주 사용하는 수법이다.

6) 장준영, 「선진(先秦) 우언(寓言)의 스토리텔링 미학에 관한 몇 가지 단상」, 중국학연구 69, 중국학 연구회, 2014, 31쪽.

이 이야기는 장자가 혜시와의 큰 박의 쓸모에 관한 논쟁에서 인용한 우언이다.

여기서 장자는손을트지 않게 하는 약이라는 오브제를 활용하여 고정된 관념 때문에 일확천금의 기회를 놓친 송나라 사람의 인물을 부각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편협함과 고정관념을 버려야만 전체를 조망하며 넓게 바라볼 수 있고이를 가치 있게 활용할 수 있는 안목이 생기게 된다.”는7) 도가적 이치를제시하였다.

큰 박이 커서 쓸모없다는 혜자의 관점에 대해 장자는 이와같은사례로 쓸모없다고 여겨지는 관점에 대해 반박한 것이다.

다음은 한비자의 송인에 관한 우언을 살펴보기로 한다.

송나라 사람 중에 농사짓는 자가 있었다. 그가 농사짓는 밭에 나무 그루터기가 있는데, 토끼가 뛰어가다가 나무 그루터기에 부딪혀 목이 부러져 죽었다. 그래서 송나라 사람은 쟁기를 버리고, 나무 그루터기만을 지키면서 다시 토끼를 주울 수 있기를 바랐다. 그러나 송나라 사람은 토끼를다시 주울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자신도 송나라의 웃음거리가 되었다.8)

농민에게 있어서 농사일만큼 중요한 것이 없고, 토끼가 나무터 그루터기에 부딪혀 죽는 일은 로또에 당첨되기보다 어려운 일이다.

그런데송인은 농사일이라는 근본을 잊고 토끼가 나무 그루터기에 부딪혀 죽기만을기다렸으니, 송나라의 웃음거리가 된 것이다. 고지식하고 융통성이없어구습과 전례만 고집하거나, 노력하지 않고 요행만을 기대하는 것을 비유하는 ‘수주대토’라는 사자성어가 이 우언에서 유래된다.

여기서 한비자는송인의 인물을 통하여 “선대의 예법과 선왕의 설교로 당대의 백성들을다스리고자 했던 자들을 풍자하였다.”9)

7) 박종혁 외 역해, 심해에서 창공으로- 장자 이야기 111편, 학고방, 2021, 35쪽.

8) 張覺, 韓非子, 貴陽:貴州人民出版社, 1992, 1026쪽, “宋人有耕田者, 田中有株, 兔走觸株, 折頸而死, 因釋其耒而守株, 冀複得兔, 兔不可複得, 而身爲宋國笑.”

9) 陳龍, 「比較莊子·韓非子寓言」, 玉溪師範學院學報 12期, 玉溪師範學院, 2007, 47쪽, “那些企圖用先朝禮法,先王說教治當世之民的不合時宜者.”

한비자는 일찍이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만약 하후씨의 시대에 나무를 얽어 집을 만들고, 나무를 마찰시켜 불 을 일으키는 자가 있다면 반드시 곤과 우에게 비웃음을 당했을 것이다.

은, 주의 시대에 물길을 뚫는 자가 있다면 반드시 탕과 무왕에게 비웃음 을 당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 요, 순, 우, 탕, 문, 무의 정치를 찬미하 는 자가 있다면 반드시 새 성인에게 비웃음을 당할 것이다.

이런 까닭으 로 성인은 옛것을 따르기를 바라지 않고, 관습을 지키려 하지 않으며, 시 대 사정에 따라 적절한 대비책을 세운다.10)

10) 張覺, 앞의 책, 1026쪽, “聖人不期修古, 不法常可, 論世之事, 因爲之備.”

이에 따라 한비자는 극기복례를 주장한 유가의 주장이 너무 복고적이고 시대적 상황에 안 맞는다고 판단하고 송인의 인물을 통하여 이를 비판한 것이다.

2. 군주 인물

제자우언에서 군주 우인 인물은 그다지 많지 않다. 이는 섣불리 군주를우매한 인물로 설정했다가는 군주의 심기를 건드려 목숨을 잃는 일신상의위험을 무릅써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군주 우인 고사는 일반적으로 이야기를 허구로 창작하거나 역사기록을 그대로 기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럼 먼저 장자의 우언을 보기로 한다.

옛날에 봉황처럼 생긴 원거라는 이름의 바닷새가 노나라 성 바깥 쪽 으로 날아들었다. 노나라 임금이 그 새를 맞이하고 종묘에서 연회를 베 풀어 접대하였다. 순임금의 음악인 구소를 연주하고, 제후들이 신묘에 제사 지낼 때 쓰던 제물인 소, 양, 돼지 즉 태뢰로써 원거를 환대하였다. 그러나 그 새는 오히려 눈이 침침하고 마음이 슬퍼서 감히 고기 한 점먹지 못하고 물 한 모금 마시지 못하다가 사흘 만에 곧 죽고 말았다. 이것은 사람을 기르는 방법으로 새를 기른 것이지 새를 기르는 방법으로새를 기른 것이 아니다.11)

11) 두력, 두홍 편저, 박종혁 주해, 앞의 책, 164쪽, “昔者, 海鳥止於魯郊, 魯侯御而觴之於廟, 奏≪九韶≫以爲樂, 具太牢以爲膳, 鳥乃眩視憂悲 不敢食一臠, 不敢飮一杯, 三日而死, 此以己養養鳥也, 非以鳥養養鳥也.”

새는 짐승의 본성대로 살아가야 살아갈 수 있다.

그런데 노나라 임금은새의 본성을 무시하고 자기 취향대로 새를 기르게 되었는데, 이것이오히려 새의 수명을 단축한 것이다.

이 이야기는 장자「지락」에서 공자가유세하러 떠나는 제자 안연을 걱정하는 대목에 섞인 이야기이다.

공자가걱정한 것은 안연이 성인의 도 즉 자신의 유가사상을 제나라 임금에게강요하여 목숨을 잃게 되는 상황이다. 약육강식의 춘추전국시대에서 군주들이추구한 것은 부국강병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런데 군주의 도덕적자질을 요구하고 성군의 통치를 이상적인 통치라고 여기는 유가의 학설은춘추전국시대 군주들의 외면을 받을 뿐만 아니라, 유세에서의 위험을무릅써야 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장자는 안연을 노나라 임금에 비유하여표준이 없는 상태에서 표준을 강요하는 것과 같은 자기중심적인 생각으로사물을 대하는 것은 금물이라는 이치를 설명했다.

이어서 한비자의 군주 인물을 보기로 한다.

제나라 최저의 부인이 미인이었다. 장공이 그녀와 사통하여 자주 최씨의 방에 갔다. 장공이 또 그곳으로 가기를 기다려 가신인 가거가 최저의가신들을 이끌고 장공을 공격하였다. 장공이 방안으로 도망쳐 들어가 최저와 나라를 반으로 나누겠다고 청하였으나, 최저는 허락하지 않았다. 장공이 조상 묘당에서 자결하게 해달라고 애걸하였으나, 최저는 또 허락하 지 않았다. 그래서 장공은 도망쳐 북쪽 담을 넘으려 하였다. 가거가 장공 에게 활을 쏘았는데, 화살이 장공의 다리를 명중하여 장공이 굴러 떨어 졌다. 최저의 가신들은 창으로 장공을 찔러 죽이고, 장공의 아우 경공을 옹립하였다.12)

위의 이야기에서 나오는 최저는 실존하는 역사인물이다. 여기서 한비자는 역사기록을 그대로 인용하는 것으로 군주의 심기를 건드리는 것을 피하고자 하였다.

최저는 제나라의 세력가로, 영공(靈公) 시기에 군사를 이끌고 정(鄭), 진(秦), 노(魯), 거(莒) 나라를 정벌하였고, 영공이 죽은 후에는장공을 임금으로 맞이하였고, 장공을 시해한 후에는 경공(景公)을 왕의 자리에 앉히고 정권을 잡았던 인물이다.

위의 이야기에서 최저와 같은 세력가가 조정 내에서 정권을 엿보고 있는 상황에서 장공은 마땅히 자신을 감추고 때를 기다리며 실력을 기르는 도광양회(韬光养晦)를 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런데 장공은 도광양회하기는커녕 오히려 최저의 부인과 사통까지하여 최저의 역린을 건드려 목숨을 잃게 된다. 여기서 한비자는 장공의 어리석은 인물을 통하여 “강력한 권세와 상, 벌의 법이 없다면 비록 요와 순이라도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없다.”는13) 이치를 설명하였다.

12) 張覺,앞의 책, 209쪽, “齊崔杼, 其妻美, 而莊公通之, 數如崔氏之室. 及公往, 崔子之徒賈舉率崔子之徒 而攻公. 公入室, 請與之分國, 崔子不許;公請自刃於廟, 崔子又不聽;公乃走, 逾於北牆. 賈舉射公, 中 其股, 公墜, 崔子之徒以戈斫公而死之, 而立其弟景公.”

13) 張覺, 위의 책, 204쪽, “無威嚴之勢, 賞罰之法, 雖堯舜不能以爲治.”

이상과 같이 서민 우인과 군주 우인의 인물은 모두 장자와 한비자가자기 학파의 사상을 설명하고 유가사상을 비판하는 데 활용하기 위해 창출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III. 공자(孔子) 인물

제자우언을 살펴보면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제자 우언에 공자의 인물이 자주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인물에는 공자본래의 인물도 있고, 제자들의 구미에 맞게 가공된 인물도 있다.

이는“공자가 사람들의 우상으로 숭배되어 성지시자(聖之時者)로 불렸으므로 제자들이 인물을 평가하고, 일의 옳고 그름을 가릴 때 거의 모두 공자를 참고로비교”하였기14) 때문이다.

14) 尹砥廷, 「論先秦寓言的朦朧美」, 吉首大學學報(社會科學版) 第24券 第3期, 吉首大學, 2003, 39쪽, “孔子成了人們心中的偶像, 被稱爲‘聖之時者’. 正因爲如此, 所以渚子在品評人物高下, 判定事情與否時, 幾乎都孔子爲參照.”

1. 본래 인물

유가의 창시자인 공자는 중국 역사상 처음으로 사학을 꾸렸던 인물이다.

일생 동안 그가 가르친 제자는 3,000명에 달하였고, 이 중에서 그의학문을 제대로 계승한 제자는 70명에 이르렀으며, 이 중에서 가장 우수한제자 10명을 공문십철이라고 불렀다.

공자의 영향력은 제자들에 의해널리퍼지게 되는데, 묵가의 창시자 묵자(墨子)도 처음에는 유가의 학문을배웠고, 법가의 상앙(商鞅)도 처음에는 자하(子夏)의 학문을 배웠으며, 법가의집대성자인 한비자도 유가의 순자(荀子)에게서 학문을 배웠다고 한다.

공자의 명성이 널리 알려졌기 때문에 유가뿐만 아니라, 유가와 적대적인입장을 취했던 묵자, 한비자, 장자도 자신들의 우언에 공자를 자주 등장시킨다.

이는 유가와 묵가, 법가, 도가를 막론하고 모두 공자의 영향력을 빌려 자신들의 주장을 더 신빙성이 있게 하기 위한 데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장자와 한비자의 우언에도 공자의 인물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중에는 공자의 본래 모습이 있는가 하면, 가공된 모습도 있다.

그럼 먼저 장자에 등장하는 공자의 본래 모습을 보기로 한다.

노나라에 형벌로 발가락이 잘려나간 숙산무지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 는 발뒤꿈치로 걸어가서 공자를 만났다. 공자가 말했다. “당신은 이전에 신중하지 않아 이미 형을 받아 이와 같이 불구가 되어 버린 사람이오. 설령 지금 와서 가르침을 구하려 해도 어찌 원래 상태로 이르게 할 수 있겠는가?” 무지가 말했다. “내가 오직 당면한 일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발가락을 잘리게 되었습니다. 지금 내가 찾아온 것은 오히려 발가락보다 도 더 소중한 것이 있어서입니다, 그래서 나는 그것을 힘써 다하려고 합 니다. 하늘은 덮지 않은 것이 없고 땅은 품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나는 선생님을 하늘과 땅으로 여겼는데, 선생님이 이와 같다는 것을 어찌 알 았겠습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내가 정말로 생각이 좁았소. 어서 들어오 시오. 청컨대 선생님이 보고 들은 바를 다 이야기해 주시오.” 무지가 나 간 뒤에 공자가 말했다. “제자들아 공부에 힘써라. 무지는 발가락을 잘린 사람인데도, 학문에 힘쓰는 것으로 과거의 오점을 보완하려 했거늘, 하물 며 완전한 덕을 가진 너희들이야 더 노력해야 하지 않겠냐.”15)

위의 문장에서는 공자와 기인(畸人)인 숙산무지의 인물을 비교시켜 도가와 유가 가치관의 차이를 나타냈다.

“기인은 일반인에게 배척된 사람이지만 그러나 장자에서는 그들을 득도자, 체도자로 묘사하여 극진히 찬미하고 있다.”16)

15) 두력, 두홍 편저, 박종혁 주해, 앞의 책, 87쪽, “魯有兀者叔山無趾, 踵見仲尼. 仲尼曰:子不謹, 前既 犯患若是矣. 雖今來, 何及矣! 無趾曰:吾唯不知務而輕用吾身, 吾是以亡足. 今吾來也, 猶有尊足者存, 吾是以務全之也. 夫天無不覆, 地無不載, 吾以夫子爲天地, 安知夫子之猶若是也!孔子曰:丘則陋矣! 夫子胡不入乎? 請講以所聞. 無趾出. 孔子曰:弟子勉之! 夫無趾, 兀者也, 猶務學以復補前行之惡, 而況全德之人乎!”

16) 박종혁, 「莊子 「德充符」 ‘畸人’ 寓言의 意味」, 도교문화연구 45, 한국도교문화학회, 2016, 145∼ 147쪽.

유가에서는 몸과 마음이 동일한 것으로 보고 외형이 온전하지 않으면 내면의 덕이 온전할 수 없다고 본다.

이는 그의 “무지는 발가락을 잘린 사람인데도, 학문에 힘쓰는 것으로 과거의 오점을 보완하려했거늘, 하물며 완전한 덕을 가진 너희들이야 더 노력해야 하지 않겠냐.”라는말에서 드러난다.

그래서 공자는 처음에 형벌을 받아 불구가 된 숙손무지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다.

이와 반대로 도가는 외형보다 내면적인 덕을더중시하였다.

그래서 형벌을 받아 불구가 된 숙산무지를 공자보다 내면적인덕이 더 충만된 인물로 부각하고 외형에 연연하는 공자의 고정적이고 단선적인 인식을 비판한 것이다.

이어서 한비자의 공자 인물을 보기로 한다.

섭공 자고가 공자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을 물었다. 공자가 말하기를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은 가까운 곳의 사람을 즐겁게 하고, 먼 곳의사람을 귀순하게 하는 데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애공이 공자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을 물었다. 공자가 말하기를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은현인을 뽑는 데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제경공이 공자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을 물었다. 공자가 말하기를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은 재물을절약하는 데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삼공이 나가자 자공이 묻기를 “삼공이 선생님께 물어본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은 같은 것인데, 선생님의 대답이 다르신 것은 무엇 때문이십니까?”라고 하였다. 공자가 말하기를 “섭의 지방 도시는 크지만, 도성이 작아 백성들이 배반하려고 하는 마음을갖고 있다. 그러므로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은 가까운 곳의 사람을 즐겁게 하고, 먼 곳의 사람을 귀순하게 하는 데 있다.’라고 말한 것이다. 노애공에게는 세 명의 대신이 있는데, 대외적으로는 인접한 제후국의 인재들을 가로막고, 대내적으로는 패거리를 이루어 그 군주를 우롱하니 종묘에성묘하지 못하게 되고, 토지신과 곡신에게 희생을 올리지 못하게 되는것은 반드시 이 세 명의 신하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은 현인을 뽑는 데 있다.’라고 말한 것이다. 제경공은 옹문을 쌓고, 노침을 만들었으며, 하루아침에 삼백승의 봉지를 하사한 일이 세 번이나 있었다. 그러므로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은 재물을 절약하는 데 있다.’라 고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17)

17) 張覺, 앞의 책, 848쪽, “葉公子高問政於仲尼, 仲尼曰:政在悅近而來遠. 哀公問政於仲尼, 仲尼曰:政 在選賢. 齊景公問政於仲尼, 仲尼曰:政在節財. 三公出, 子貢問曰:三公問夫子政一也. 夫子對之不同, 何也? 仲尼曰:葉都大而國小, 民有背心, 故曰政在悅近而來遠. 魯哀公有大臣三人, 外障距諸侯四鄰 之士, 內比周而以愚其君, 使宗廟不掃除, 社稷不血食者, 必是三臣也, 故曰政在選賢. 齊景公築雍門, 爲 路寢, 一朝而以三百乘之家賜者三, 故曰政在節財.”

위의 문장에서 섭공, 애공, 경공이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에 대해 가르침을 청하자, 공자는 ‘덕치(德治)’, ‘거현재(舉賢才)’, ‘절용(節用)’ 등 유가사상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고 알려준다.

한비자의 법가사상은 유가의 보수적인 사상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다.

이러한 그가 자신의 우언에 유가의 공자를 등장시켜 유가사상을 언급한 것은 이것을 법가사상으로 반박하기위한 것이다.

그래서 한비자는 이 문장을 이어서 나오는 대목에서 ‘덕치’, ‘거현재’, ‘절용’ 주장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한다.

먼저 ‘덕치’ 주장에 대해서는 백성들이 모반하려는 마음을 가지게 된것은 군주가 명찰하지 못한 것으로, 은혜를 베푸는 정치를 하면 법이 무너지게 되므로 나라를 망치게 된다고 반박한다.

그리고 ‘거현재’ 주장에 대해서는 공적에 의한 객관적인 평가가 아니라 주관적으로 군주가 현명한 신하라고 여기는 자를 뽑으면 또 권신이 생기게 된다고 경고한다.

‘절용’ 주장에 대해서는 신하를 금하지 않고 단지 경공으로 하여금 검소하게 지내라고 하는 것은 재난이라고 비판하였다.

2. 가공 인물

장자와 한비자의 우언에 등장한 공자 인물 중 유가의 본래 모습으로 나오는 인물보다 가공된 인물이 더 많이 등장한다.

이는 양자가모두공자의 인물을 빌려 자신들의 학파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데 있었기때문이다.

“문학작품에서 허구와 가공을 거치는 것은 공통적인 특징이다.”18)

제자우언을 살펴보면 자주 선대의 제재를 인용하고, 또한 제재를 인용하되자신의 구미에 맞게 가공하는 현상이 비일비재하다.

한비자의 우언을 예로들면 260여 편이 가공을 거친 우언이다.

공자도 예외가 아니다.

한비자 에서는 “법치사상을 유세하기 위해 그 당시 큰 영향력이 있는 유가사상에 대해 날카롭게 비판하였고, 유가 사상의 대표 인물인 공자도 …자주언급되고 변형된 모습으로 나온다.”19)

장자 우언의 공자는 도가사상을설명하기 위해 “한편에서는 비교적 객관적으로 공자의 본래 모습을묘사했고, 다른 한편에서는 또 과장적이고 허구적인 수법으로 저자의 주관적인 관점을 내포한 공자를 그렸다.20)

18) 陳蒲清, 中國古代寓言史, 長沙: 湖南教育出版社, 1973, 4쪽, “容許虛構和典型加工是文學作品的共同特点.”

19) 王丹丹, 王玉潔, 「韓非子寓言中孔子形象探析」, 德州學院學報 第28卷 第1期, 德州學院, 2012, 22 쪽, “韓非子中爲宣傳法治思想而對當時具有廣泛影響的儒家思想進行了尖銳的批評諷刺, 作爲儒家思想代表人物的孔子在韓非子寓言中被多次提及並發生異化.”

20) 吳小洪, 「論莊子寓言對孔子形象的改造及依據」, 哈爾濱學院學報 第32卷第5期, 哈爾濱學院, 2011, 98쪽, “一方面, 較爲客觀地描寫了確乎存在的孔子;另一方面, 又用誇張、虛構之筆描寫了一個包含著作者主觀志意的孔子.”

그럼 먼저 장자 우언의 변형된 공자 인물을 보기로 한다.

공자의 제자인 안연이 공자에게 물었다 : “제가 일찍이 상심이라는 연못을 건넌 적이 있는데, 뱃사공이 배를 젓는 것이 마치 신과 같아 제가그에게 물었습니다. ‘배 젓는 것을 배울 수 있겠소?’ 그러자 그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배울 수 있습니다. 헤엄을 잘 치는 사람은 매우 빠르게 배울 수 있습니다. 또 잠수를 잘하는 사람은 일찍이 배를 본 적이 없다 하더라도 곧 배를 저을 수 있습니다.’ 제가 그 이유를 물었지만 저에게 알려주지 않았습니다. 감히 여쭙겠는데 무슨 이유였을까요?” 공자가 말 했다. “헤엄을 잘 치는 사람이 매우 빠르게 배울 수 있는 것은 물을 잊었 기 때문이다. 또 잠수를 잘하는 사람은 일찍이 배를 본 적도 없지만 바 로 배를 저을 수 있다. 그가 연못을 작은 언덕처럼 간주하고, 배가 뒤집 히는 것을 마치 수레가 뒤로 물러나는 정도쯤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뒤 집히거나 뒤로 물러나는 무수한 정황이 그의 앞에 펼쳐져도 그의 마음속 으로 들어올 수 없으니, 어느 곳에 이른다 한들 마음이 안정되지 않겠는 가! 기와 조각을 걸고 노름을 하는 자는 부담이 없어 솜씨를 발휘하지만, 은으로 만든 허리 고리를 걸고 노름을 하는 자는 두려워하며, 황금을 걸 고 노름을 하는 자는 마음과 정신이 혼미해진다. 기교는 동일하지만 내 거는 상품에 따라 마음이 달라지는 것은 외물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무 릇 외물을 중시하는 자는 마음이 졸렬하다.”21)

21) 두력, 두홍 편저, 박종혁 주해, 앞의 책, 170쪽, “顏淵問仲尼曰 : 吾嘗濟乎觴深之淵, 津人操舟若神, 吾問焉, 曰 : 操舟可學邪? 曰: 可. 善游者數能. 若乃夫沒人, 則未嘗見舟而便操之也. 吾問焉而不吾告, 敢問何謂也? 仲尼曰 : 善游者數能, 忘水也. 若乃夫沒人之未嘗見舟而便操之也, 彼視淵若陵, 視舟之覆 猶其車却也. 覆却萬方陳乎前而不得入其舍, 惡往而不暇! 以瓦注者巧, 以鉤注者憚, 以黃金注者殙. 其 巧一也, 而有所矜, 則重外也. 凡外重者內拙.”

위의 문장에서 등장하는 공자는 유가적인 외형에 도가적인 사상을 지닌 인물로 변형되어 도가의 무심(無心)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안연의 헤엄을 잘 치는 사람과 잠수를 잘하는 사람이 왜 배 젓는 기술을 빠르게 배울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공자는 헤엄을 잘 치는 사람과 잠수를 잘하는 사람이 바깥의 사물에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대답한다.

즉 기술의 단계를 넘어 무심(無心)의 경지에 이르렀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노름을 하는 자가 귀한 상품을 걸었을 때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는것은 외물에 마음이 흐트러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여기서 장자는“공자의 입을 통해 외물에 얽매이지 않을 때 비로소 내면 즉, 정신이 안정되어 자유로울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22)

이어서 한비자 우언의 공자 인물을 보기로 한다.

은의 법에 의하면 길거리에 재를 버리는 자는 형벌을 가하게 되어 있다. 자공은 이 법이 중하다고 생각하여 공자에게 물어보았다. 공자가 말하기를 “다스리는 방법을 아는 것이다. 재를 길거리에 버리면 반드시 사람의 몸에 뒤집어 쓰일 것이고, 사람의 몸에 뒤집어 쓰인다면 그 사람은반드시 화낼 것이며, 화내면 다투게 되며, 다투게 되면 반드시 가족끼리서로 해치게 된다. 이는 가족을 해치는 행위이므로 형벌을 가하더라도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 중벌이란 것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며, 재를 버리지 않는 것은 사람들이 쉽게 할 수 있는 일이다. 사람으로 하여금 쉽게 할 수 있는 일을 행하게 하고, 싫어하는 것을 당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로 다스리는 방법이다.”라고 하였다.23)

여기서 공자는 유가의 외형에 법가적인 사상을 말하는 인물로 탈바꿈한다.

이는 “영향력이 큰 대학자가 만약 법치를 주장하게 된다면 이는법가에 대한 일종의 영광일 뿐만 아니라, 법가의 지위도 높일 수 있고, 또한법가의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다는 실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기”24)

때문이다.

22) 박종혁 외 역해, 앞의 책, 150쪽.

23) 張覺, 앞의 책, 495쪽, “殷之法, 刑棄灰於街者. 子貢以爲重, 問之仲尼. 仲尼曰:知治之道也. 夫棄灰於街必掩人, 掩人, 人必怒, 怒則鬥, 鬥必三族相殘也. 此殘三族之道也, 雖刑之可也. 且夫重罰者, 人之所惡也; 而無棄灰, 人之所易也. 使人行之所易, 而無離所惡, 此治之道也.”

24) 王丹丹, 王玉潔, 「韓非子寓言中孔子形象探析」, 德州學院學報 28-1, 德州學院, 2012, 97쪽, “這樣一位有影響力的大儒, 如果其也主張法治, 對法家不僅是一種榮耀, 可以提高了法家的地位, 更會帶來一種實際的效果——擴大法家的影響力.”

공자의 유가 사상은 법보다 예(禮)를 중시한다.

그러나 위의 우언에서 묘사된 공자는 예보다 법 특히 중벌을 더 중시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은의 법이 너무 중하다고 여기는 자공의 생각에 공자는 “중벌이란 것은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며, 재를 버리지 않는 것은 사람들이 쉽게 할 수있는 일이다. 사람으로 하여금 쉽게 할 수 있는 일을 행하게 하고, 싫어하는 것을 당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로 다스리는 방법이다.”라고 말한다.

이처럼 한비자는 법가적인 인물로 탈바꿈한 공자의 인물을 통해 “군주가 너무 어질면 법이 서지 않으며, 군주가 위엄이 부족하면 신하가 위를 범하게된다. 그러므로 형벌을 확실하게 실시하지 않으면 금령이 실행되지 않는다.”는25) 법가사상을 역설하였다.

25) 張覺, 앞의 책, 474쪽, “愛多者則法不立, 威寡者則下侵上. 是以刑罰不必則禁令不行.”

이상과 같이 본래 모습의 공자나, 가공된 공자나 모두 장자와 한비자가 공자의 명성을 빌려 자기 학파의 사상을 증명하는 데 신빙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IV. 지자(智者) 인물

장자와 한비자의 우언에 등장하는 지자의 인물에는 다양한 유형이있다.

장자에는 군주, 장인, 기형인의 인물이 있고, 한비자에는 군주와신하의 인물이 있다.

양자를 살펴보면 지배층이라는 지자 인물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장자와 한비자 우언의 지자 인물을 살펴보면 독특한 점을 찾을 수있다.

그것은 바로 장자의 지자 인물은 대부분 서민이고, 한비자의 지자 인물은 대부분 지배층이라는 점이다.

장자는 정신적 자유를 추구하는사상 때문에 일생 동안 권력을 멸시하면서 빈곤한 생활을 하였다.

또한 그의 사상은 본질적으로 말하자면 난세의 보신책 즉 피세(避世)사상이다.

인위적인 속세에서 벗어나 자연의 본성대로 살아가는 삶을 추구하였기때문에 우언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이치도 대부분 정신적 자유와 무위자연(無爲自然)과 연관된다.

이에 따라 우언의 인물도 대부분 서민에 국한된다.

장자와 다르게 한비자는 왕족 출신이었기에 그의 법가사상은 통치자를대변하는 사상으로, 군주들을 유세의 대상으로 삼는다.

현실에 뿌리를두었기에 그의 우언도 자연히 역사 고사가 많고, 또한 우언의 인물 인물도역사에 기록된 성군(聖君), 현신(賢臣)이 대부분이다.

이는 “역사 고사를차용하여 과거의 선례(先例)를 중요한 설득의 무기로 삼아 권위와 정당성을높이기”26) 위한 데 목적이 있다.

그럼 먼저 장자의 군주 인물을 살펴보기로 한다.

옛날에 요가 순에게 물었다. “내가 종, 회, 서오를 치려고 하는데 조정에 임하여서도 마음이 석연치 않네. 그 까닭이 무엇일까?” 순이 이렇게대답하였다. “저 세 나라는 쑥대밭 사이에 있는 미개한 작은 나라인데 신경 쓸 필요가 어디에 있겠습니까? 옛날에 태양 열 개가 함께 떠올라서만물을 모두 비춘 적이 있는데, 하물며 덕행의 빛남이 태양을 능가하니무엇이 개운치 않으십니까!”27)

26) 이연훈, 김원중, 「韓非子 「說林」편 寓言의 유형 분석으로 본 글쓰기 전략- 형식과 내용에 따른분류를 중심으로」, 동북아문화연구 62,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94쪽.

27) 두력, 두홍 편저, 박종혁 주해, 앞의 책, 51쪽, “故昔者堯問於舜曰: 我欲伐宗、膾、胥敖, 南面而不釋然. 其故何也? 舜曰:夫三子者, 猶存乎蓬艾之間. 若不釋然, 何哉! 昔者十日竝出, 萬物皆照, 而況德之進乎日者乎!”

요와 순은 전설 속에 나오는 성군이다.

여기서 요는 유가의 입장, 순은장자의 입장을 대변한다.

유가는 자연 속의 나라를 야만 국가로 보는데, 이는 공존을 부정한 것이다.

그래서 요는 종, 회, 서오 세 나라를 미개하다는 이유로 무력으로 정벌하려 한다.

문명과 야만이라는 구별은 작은 범위에서의 구별이지, 자연이라는 무한한 범위에서 보면 구별이 없는 것이다. 장자의 입장에서는 유가의 성인인 요가 무력으로 자연의 국가를 치려는행위가 제물론의 이치에 위배되는 것이므로 못마땅한 것이다.

그래서 순의입을 빌려 “태양처럼 밝고 열린 마음의 덕으로 한계와 차별을 뛰어넘어야한다고 충고한 것이다.”28)

다음으로 한비자 우언의 군주 인물을 보기로 한다.

초장왕이 조정에 나와서 정무를 맡은지 삼 년이 되도록 정령을 내린 적이 없고, 정책을 발포한 적이 없다. 곁에서 모시고 있던 우사마가 왕에 게 수수께끼를 내면서 말하기를 “어떤 새가 남쪽 지방의 언덕에 서식하 였는데, 삼 년 동안 날개를 펼치지 않았고, 날지도 울지도 않았으며, 묵 묵히 침묵만 지켰습니다. 이것은 무엇 때문일까요.”라고 물었다. 왕이 말 하기를 “삼 년 동안 날개를 펼치지 않은 것은 이로써 깃털을 크게 키우 려는 것이다. 날지도 울지도 않은 것은 이로써 백성들의 행위규칙을 관 찰하려는 것이다. 비록 지금은 날지 않지만, 한번 날면 반드시 하늘 끝까 지 날아오를 것이고, 비록 지금은 울지 않지만, 한번 울면 반드시 세상을 놀라게 할 것이다. 자네는 걱정을 잡아매라. 나는 자네의 걱정을 알고 있 다.”라고 하였다. 반년 있다가 초장왕은 직접 정무를 보기 시작하였다. 폐 지시킨 것이 열 건이고, 새로 만든 것이 아홉 건이며, 징계한 대신이 다 섯이고, 새로 발탁한 은사가 여섯 사람인데, 이로써 나라가 잘 다스려졌 다. 또 군사를 일으켜 제나라를 토벌하였는데, 서주에서 제나라를 무찌르 고, 황하와 형옹 사이에서 진나라와 싸워 이겼으며, 제후들을 송나라에 규합하여 마침내 천하를 제패하게 되었다.29)

28) 박종혁 외 역해, 앞의 책, 44∼45쪽.

29) 張覺, 앞의 책, 353∼354쪽, “楚莊王蒞政三年, 無令發, 無政爲也. 右司馬禦座而與王隱曰:有鳥止南方 之阜, 三年不翅, 不飛不鳴, 嘿然無聲, 此爲何名? 王曰:三年不翅, 將以長羽翼;不飛不鳴, 將以觀民 則. 雖無飛, 飛必沖天;雖無鳴, 鳴必驚人. 子釋之, 不穀知之矣. 處半年, 乃自聽政. 所廢者十, 所起者九, 誅大臣五, 舉處士六, 而邦大治. 舉兵誅齊, 敗之徐州, 勝晉於河雍, 合諸侯於宋, 遂霸天下.”

“한비자의 우언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모두 저자의 법치사상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다.”30)

법치사상의 당위성과 필요성을증명하기 위해 한비자는 역사고사를 즐겨 인용하였고, 당연히 장왕과같은역사인물도 많이 등장시킨다.

한비자는 일찍이 “군주가 어떤 일을 하고자하지만, 그 일의 자초지종을 알지 못하면서 자신의 의욕을 드러내면이렇게 하는 군주는 그가 하는 일이 이익이 없을 뿐만 아니라, 반드시 손해를초래하게 된다.”고31) 말한 적이 있다.

장왕이 삼년 동안 자신의 속내를감추고 묵묵히 신하들과 국정을 살폈기 때문에 국정을 쇄신하고 천하를제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한비자는 장왕이라는 인물을 통해 “작은선을쌓지 않았기 때문에 큰 명성을 얻을 수 있었으며, 자신의 능력을 미리드러내지 않았기 때문에 큰 공을 얻을 수 있었다.”는32) 법가적 이치를역설하였다.

30) 白本松 主編, 先秦寓言史, 開封:河南大學出版社, 2001, 276쪽, “韓非子的寓言人物都是爲了證明作者的法治思想的正確性和必要性而存在的.”

31) 張覺, 앞의 책, 241쪽, “人主欲爲事, 不通其端末, 而以明其欲, 有爲之者, 其爲不得利, 必以害反.”

32) 張覺, 위의 책, 354쪽, “不爲小害善, 故有大名; 不蚤見示, 故有大功.”

이어서 한비자 우언의 신하 인물을 보기로 한다.

제나라는 사치스러운 장례를 좋아하였는데, 베와 무명은 모두 (죽은사람의) 의금으로 사용되었고, 재목은 모두 관곽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환공이 이것을 걱정하여 관중에게 일러 말하기를 “베와 무명을 다 쓰면 천막을 만들 것이 없고, 재목을 다 쓰면 방어공사를 만들 것이 없다. 그런데 사람들은 사치스러운 장례를 그치지 않으니 이를 어찌해야 금할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관중이 대답하기를 “무릇 사람이 어떤 일을하는 것은 명예가 아니면 이익 때문입니다.”라고 하였다. 그래서 (제환공은) 명령을 내려 말하기를 “관곽에 있어 규정을 어기는 자는 그 시체의 목을 베어 효시하고, 상주된 자는 처벌한다.”라고 하였다.33)

한비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성악설에 근거하여 인간관계는 이익관계이고 인간은 이익을 좋아하는 본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법가사상을 관중의 입을 통해 “무릇 사람이 어떤 일을 하는 것은 명예가 아니면이익 때문입니다.”라고 나타낸다.

여기서는 관중이라는 인물을 통해 “군주가 너무 어질면 법이 서지 않으며, 군주가 위엄이 부족하면 신하가 위를범하게 된다. 그러므로 형벌을 확실하게 실시하지 않으면 금령이 실행되지않는다.”고34) 법치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또한 제나라 사람들이 사치스러운 장례를 좋아하는 관습을 통하여 “가산을 탕진하여 장례를 치르고, 삼년상을 치르면 지팡이를 짚을 정도로 몸이 쇠약해지는”35) 유가의 장례도비판하였다.

33) 張覺, 위의 책, 502∼503쪽, “齊國好厚葬, 布帛盡於衣衾, 材木盡於棺槨. 桓公患之, 以告管仲曰:布帛 盡則無以爲蔽, 材木盡則無以爲守備, 而人厚葬之不休, 禁之奈何? 管仲對曰:凡人之有爲也, 非名之 則利之也. 於是乃下令曰:棺槨過度者戮其屍, 罪夫當喪者.”

34) 張覺, 위의 책, 474쪽, “愛多者則法不立, 威寡者則下侵上. 是以刑罰不必則禁令不行.”

35) 張覺, 위의 책, 1068쪽, “破家而葬, 服喪三年, 大毀扶杖.”

이상과 같이 지인 인물은 장자나 한비자를 막론하고 모두 각자 학파의사상을 설명하고, 유가를 비판하는 데 활용했음을 알 수 있다.

V. 여성 인물

장자와 한비자의 우언을 살펴보면 한비자의 우언에 질부(妒婦), 독부(毒婦), 약녀(弱女), 우부(愚婦) 등 다양한 여성 인물이 등장하는 반면, 장자의 우언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은 그 유형과 횟수가 매우 제한적이다.

양자의 인물을 분석해 보면 일반 여성과 우인 여성이라는 인물에서 연계점을 찾을 수 있다.

문학창작에서 여성 인물은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이다.

춘추전국시대에이르러 예악제도의 붕괴와 더불어 하극상의 시대가 열리면서 여성들이정치무대에 등장하는 횟수가 증가된다.

제자들이 우언 창작에서 역사고사를애용하게 되면서 우언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도 많아지게 된다.

장자의도가사상은 정신적 자유를 추구하는 사상이기 때문에 여성의 인물을 그다지중시하지 않는 것 같다.

이와 반대로 한비자의 법가사상은 군주들에게권세와 신하를 제어하는 기술, 그리고 법치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군주의권세에 위협이 되는 요소들을 설명하는 사상이기 때문에 여성 인물을꽤많이 활용한다.

왜냐하면, 중국 역사에는 여자로 인해 나라가 망하거나, 왕의자리를 빼앗기는 사례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비자는 군주의권력을 위협하는 팔간(八奸) 중 한 유형을 동상(同床)이라고 지목하고“귀부인, 총애를 받는 첩, 아첨을 잘 하는 미인, 이들은 군주가 유혹되는자들이다.”고36) 설명하였다.

36) 張覺, 위의 책, 111쪽, “何謂同床? 曰:貴夫人, 愛孺子, 便僻好色, 此人主之所惑也.”

이에 따라 그는 다양한 유형의 여성 인물을등장시켜 그의 법가사상을 역설하였다.

1. 일반 여성 인물

먼저 장자의 일반 여성 인물을 살펴보기로 한다.

위나라 사람 양자가 송(宋)나라에 가다가 여관에 묵었다. 여관 주인은두 명의 첩이 있었는데 한 명은 미녀였고, 한 명은 추녀였다. 추녀는 총애를 받고 미녀는 천대를 받았다. 양자가 그 이유를 묻자 여관의 어린점원이 대답했다. “미녀는 스스로를 아름답다고 여기므로 저는 그 아름다움을 알지 못하겠습니다. 추녀는 스스로를 추하다고 여기므로 저는 그추함을 알지 못합니다.”37)

위의 문장은 “미추에 대한 인위적 아집과 절대적 가치의 부여로 인한인간 자유의 속박을 반대하는 데 중점”을38) 두고 있다.

진정한 아름다움은 외모의 아름다움이 아니라, 드러내지 않고 자랑하지 않는 내면의 아름다움이다.

여기서 장자는 미녀와 추녀를 비교하면서 미녀는 자신이 아름답다고 여겨서 사람들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추녀는 스스로 추하다고 여겨서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다고 묘사한다.

즉 미녀는 허세와 교만 때문에 사랑을 받지 못하고, 추녀는 겸허와 배려 때문에 그 진가를 인정받은 것이다.

여기서 장자는 미녀와 추녀의 비교를 통해 “미와 예술에 대한 부정이아니고 개체인격과 생명의 자유를 최고의 미로 여기는 관점에 서서, 사람들에게 미와 예술의 추구에 있어서 인간생명을 해쳐서는 안된다고 요구한것이다.”39)

이어서 한비자의 일반 여성 인물을 보기로 한다.

양자가 송나라를 지나가면서 동쪽에 있는 여인숙에 들렀다. 첩이 두 사람 있었는데, 용모가 추한 자의 지위가 높고, 용모가 아름다운 자의 지 위가 낮았다. 양자가 그 까닭을 물으니 여인숙의 주인이 대답하기를 “용 모가 아름다운 자는 스스로 예쁘다고 생각하지만, 나는 그녀가 예쁜 줄 을 모르겠고, 용모가 추한 자는 스스로 추하다고 생각하지만, 나는 그녀 가 추한 줄을 모르겠습니다.”라고 하였다.40)

37) 두력, 두홍 편저, 박종혁 주해, 앞의 책, 217쪽, “陽子之宋, 宿於逆旅. 逆旅人有妾二人, 其一人美, 其 一人惡, 惡者貴而美者賤. 陽子問其故, 逆旅小子對曰 : 其美者自美, 吾不知其美也; 其惡者自惡, 吾不 知其惡也.”

38) 권석환, 「장자 우언(寓言)의 추악인물(醜惡形象)과 생명의식」, 중국문학연구 10, 한국중문학회, 1992쪽.

39) 李澤厚, 劉網記 主編, 莊子的美學思想, 北京:中國社會科學院, 1984, 261쪽.

40) 張覺, 앞의 책, 387쪽, “楊子過於宋, 東之逆旅, 有妾二人, 其惡者貴, 美者賤. 楊子問其故. 逆旅之父答 曰:美者自美, 吾不知其美也;惡者自惡, 吾不知其惡也.”

한비자의 우언의 제재는 주로 좌전(左傳), 춘추(春秋), 국어(國語), 안자춘추(晏子春秋), 전국책, 여씨춘추(呂氏春秋) 등에서 인용하였는데, 위의 문장처럼 장자에서 인용한 제재도 있다.

위의 문장에서 미녀는스스로 예쁘다고 여겼기 때문에 지위가 낮았고, 추녀는 스스로 추하다고생각했기 때문에 지위가 높다.

즉 미녀는 허세와 교만 때문에 같은 첩이지만 지위가 높지 못했고, 추녀는 겸허와 배려 때문에 첩으로서도 지위가높게 된 것이다.

이 두 이야기는 같은 이야기지만, 저자가 전달하고자한뜻이 다르다. 장자가 위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자유와 생명의 중요성을나타냈다면, 한비자는 “어진 일을 하면서 스스로 어질다고 생각하는 마음을버린다면 어디를 가도 칭찬을 받지 않겠는가.”는41) 우의를 나타냈다.

41) 張覺, 위의 책, 387쪽, “行賢而去自賢之心, 焉往而不美.”

2. 우인 여성 인물

제자우언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우인 인물이 남성으로 되어 있지만, 여성들이 우인으로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선진 제자들이 여성을 우인으로등장시킨 것은 봉건시대에서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가 낮았기 때문이다.

공자마저 논어에서 “여성과 소인배들은 다루기 어렵다.(唯女子與小人難養也.)”라고 차별적인 발언을 했으니 그 당시 여성들의 지위를 가늠할 수 있다.

그럼 먼저 장자의 우언을 보기로 한다.

서시는 심장병을 앓아 이맛살을 찌푸리고 동네를 돌아다녔다. 그 동네의 추녀가 그것을 보고 도리어 아름답게 여겼다. 추녀는 집에 돌아가 서시와 같이 양손으로 가슴을 움켜쥐고 이맛살을 찌푸리며 동네를 돌아다녔다. 그 동네의 부유한 자들은 추녀를 보고는 문을 굳게 닫고 밖으로나오지 않았다. 가난한 자들은 추녀를 보고는 처자식을 데리고 달아났다. 추녀는 이맛살을 찌푸린 것이 아름답다는 것만을 알고 서시가 이맛살을 찌푸려도 어째서 아름다운지는 모른다. 애석하구나!42)

위의 문장은 앞의 이야기에 이어서 유가의 사고방식을 비판하였다.

서시는 중국 사대미녀 중 한 사람이다. 서시가 아름다운 것은 그가 이맛살을찌푸려서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본바탕이 아름답기 때문이다.

추녀는 태어나면서부터 용모가 추했기 때문에 그녀가 아무리 미녀의 자태를 모방해도 아름답게 될 수가 없다.

추녀는 근본을 망각하고 형식만을 추구하였기때문에 곤경에 처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 장자는 추녀라는 인물을 통해 상고의 주나라 제도를 현시대에 회복하려고 한 유가의 틀에 갇힌 상고주의사고방식을 비판한 것이다.

이어서 한비자의 우언을 보기로 한다.

정현에 복자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가 아내에게 바지를 지으라고 부 탁했다. 아내가 말했다. “어떻게 지을까요?” 복자가 대답했다. “내가 원래 입던 바지처럼 지어주시오.” 그래서 아내는 새 바지를 고쳐 오래된 바지 처럼 만들었다.43)

42) 두력, 두홍 편저, 박종혁 주해, 앞의 책, 131쪽, “西施病心而顰其里, 其里之醜人見之而美之, 歸亦捧心 而顰其里. 其里之富人見之, 堅閉門而不出, 貧人見之, 挈妻子而去走. 彼知顰美而不知顰所以美. 惜乎!”

43) 張覺, 앞의 책, 577쪽, “郑县人卜子使其妻为袴, 其妻问曰: 今袴何如? 夫曰: 象吾故袴. 妻因毁新, 令如 故袴.”

정현 사람 즉 정인은 한비자의 우언에서 송인과 마찬가지로 자주 등장하는 우인이다.

한비자가 정인을 우인으로 묘사한 것은 정나라가 한나라에의해 멸망되었기 때문이다.

춘추시대라는 난세를 개막시키게 한 장본인인 정나라는 제후국들 중에서 가장 강력했던 나라였지만, 전국시대에 이르러 약소국으로 전락되어 한나라에 의해 멸망되고, 정나라는 정현으로 이름을바꾸게 된다.

한나라에 의해 멸망된 나라이였기 때문에 한비자가 정인을 깔보아 우인의 인물로 활용하였던 것이다.

위의 문장에서 복자의 아내는원래 입던 바지처럼 만들어 달라는 부탁에 새 바지를 고쳐서 오래된바지처럼 만드는 아둔한 부녀자의 인물로 묘사된다.

여기서 한비자는 복자의아내를 고정된 틀에 갇힌 유가에 비유하고 “학자들을 시켜 선왕에 대하여 막연히 기리는 말을 하게 한다면 아마도 오늘에 맞지 않을 것이다.”고44) “정치가들이 낡은 제도에 안존하여 개혁할 줄을 모른다고 비판한다.”45)

44) 張覺, 위의 책, 574쪽, “請許學者而行宛曼於先王, 或者不宜今乎?”

45) 권석환, 「중국인의 바보관념과 중국산문에 나타난 愚人形象」, 중국문학연구 21, 한국중문학회, 2000, 211쪽.

이상과 같이 장자와 한비자 우언에서 묘사한 여성 인물은 모두 유가를비판하거나, 각자 학파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있다.

VI. 결론

지금까지 우인(愚人), 공자(孔子), 지자(智子),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장자와 한비자의 우언을 살펴보았다.

장자와 한비자를 포함한 제자우언은 춘추전국시대라는 시대적산물이다.

문·사·철이 구분되지 않은 시대에서 제자들이 우언 창작에 주력한것은 결코 단순히 문학 창작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학설을 유세하기 위한 데 목적이 있었다.

춘추전국시대라는 중국 역사에서 유례없는 난세에서 지식인들의 관심사는 난세를 해결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제자들은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했는데, 이 중에서 장자는 아예 세상을 피하여 은거하는 것으로 난세를 피하고자 했고, 한비자는 법치를 통하여 왕권을강화하는 것으로 부국강병을 실현하고 나라를 통일하여 난세를 종식시키고자했다.

자신들의 주장을 신빙성 있게 하고,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양자는 모두 우언을 많이 활용하여 자기 사상을 설명하였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인물을 부각하여 자신들의 사상을 설명하고 도가, 법가사상과 상충하는유가사상을 비판하였다.

장자와 한비자 우언은 다양한 유형의 인물을 부각하였다.

이 중에서 양자의 우언에 모두 등장하는 유형은 우인, 공자, 지인, 여성 인물이다.

우인은 제자우언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다.

제자들은 일반적으로 우인을 통하여 자기 학파의 사상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적대적인 학파의사상을 조롱하고 비판하였다.

장자와 한비자의 우언에서도 우인은 도가와 법가의 사상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유가를 비판하는 데 활용된다.

또한 신분적 차이 때문에 장자와 다르게 한비자 우언의 우인은 대부분 서민으로 묘사된다.

공자는 사회적 명성 때문에 제자우언에 자주 등장하는 캐릭터이다.

장자와 한비자의 우언에 등장하는 공자의 인물은 주로 유가의 인물과 변형된 인물이 있다.

두 인물 모두 공자의 명성을 빌어 자기 학파의 사상을 신빙성 있게 하고, 유가의 사상을 비판하는 데 활용되었다.

지인은 군주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좋아하는 캐릭터이다.

장자와 한비자 우언의 지인 인물을 살펴보면 모두 자기 학파의 주장을 설명하거나 유가를 비판하는 데 활용되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양자 사이에는또 근본적인 차이점도 있다.

그것은 바로 장자 우언의 지인은 대부분 서민에 국한되고, 한비자 우언의 지인은 대부분 지배층 인물로 부각되었다는점이다.

이는 한비자는 유세의 대상을 군주로 삼았고, 장자는 유세의 대상을 정신적 자유를 추구하는 사람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제자우언은 순수한 문학 창작이 아니기 때문에 여성 인물은 후세의 문학작품처럼 자주 등장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 당시 역사 무대에서 활약했던 여성들이 적지 않았기 때문에 제자우언에서도 여성 인물을 간혹 볼수가 있다.

장자와 한비자의 우언에서도 여성 인물을 살펴볼 수 있는데, 이들은 다른 유형의 인물과 마찬가지로 자기 학파의 사상을 유세하고, 유가의 사상을 비판하는 데 활용된다.

양자 간에 차이점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한비자가 왕권에 위협되는 인물에 왕의 후궁도 포함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권세의 중요성과 신하를 통제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한비자 우언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의 횟수가 많다는 점이다.

장자와 한비자의 우언은 제자우언의 대표적 작품이다.

그래서장자와 한비자에 대한 비교고찰은 그 당시 제자들의 우언 창작의 동기와그 시대적 문화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

권석환, 「장자 우언(寓言)의 추악인물(醜惡形象)과 생명의식」, 중국문학연구 10, 한국중문학회, 1992. 권석환, 「莊·韓 寓言의 장르적 계승관계」, 中國學論叢 2, 한국중국문화학회, 1993. 권석환, 「중국인의 바보관념과 중국산문에 나타난 愚人形象」, 중국문학연구 21, 한국중문학회, 2000. 두력, 두홍 편저, 박종혁 주해, 장자우언선주, 학고방, 2010. 박종혁, 「莊子 「德充符」 ‘畸人’ 寓言의 意味」, 도교문화연구 45, 한국도교문화학회, 2016. 박종혁 외 역해, 심해에서 창공으로- 장자 이야기 111편, 학고방, 2021. 이연훈, 김원중, 「韓非子 「說林」편 寓言의 유형 분석으로 본 글쓰기 전략-형식과 내용에 따른 분류를 중심으로」, 동북아문화연구 62,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장준영, 「선진(先秦) 우언(寓言)의 스토리텔링 미학에 관한 몇 가지 단상」, 중국학연구 69, 중국학연구회, 2014. 崔秢僔, 关美, 「韩非子寓言中的愚人形象研究」, 중국학연구 89, 중국학연구회, 2019. 첸푸칭 지음, 윤주필 옮김, 세계의 우언과 알레고리, 지식산업사. 2010. 白本松 主编, 先秦寓言史, 开封:河南大学出版社, 2001. 吳小洪, 「論莊子寓言對孔子形象的改造及依據」, 哈爾濱學院學報 第32卷第5 期, 哈爾濱學院, 2011. 尹砥廷, 「論先秦寓言的朦朧美」, 吉首大學學報(社會科學版) 第24券 第3期, 吉首大學, 2003. 王丹丹, 王玉潔, 「韓非子寓言中孔子形象探析」, 德州學院學報 第28卷 第1 期, 장자(莊子)와 한비자(韓非子) 우언 인물 비교고찰 195 德州學院, 2012. 李澤厚, 劉網記 主編, 莊子的美學思想, 北京:中國社會科學院, 1984. 張覺, 韓非子, 貴陽:貴州人民出版社, 1992. 陳龍, 「比較莊子·韓非子寓言」, 玉溪師範學院學報 12期, 玉溪師範學院, 2007. 陈蒲清, 中国古代寓言史, 长沙: 湖南教育出版社, 1973.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rable Character Representations in Zhuangzi and Han Feizi

Han, Yong-jie

Zhuangzi and Han Feizi are representative figures in pre-Qin philosophy, both playing pioneering roles in the creation of parables. Although they lived in different times and belonged to different schools of thought, they share commonalities in the character representations in their parabl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 representations in the parables of Zhuangzi and Han Feizi.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s were the most chaotic times in Chinese history. With the collapse of the ritual and music system and the decline of the Zhou royal authority, the era turned into one of survival of the fittest, where only the principle of power prevailed. Numerous small states were annexed by powerful ones, and many lives were lost. To put an end to social chaos, over a hundred schools of thought proposed various theories. However, their doctrines were often too profound to understand. To simplify their teachings, they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parable, a literary style, marking the golden age of parable creation during the pre-Qin period. Zhuangzi's and Han Feizi's parables are highly regarded as the pinnacle of pre-Qin parables, having the most numerous and literarily valuable collections among their disciples. Although Zhuangzi and Han Feizi intended different meanings through their parables, they found common ground in the character representations used in them.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common characters in the parables of Zhuangzi and Han Feizi,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s of the Fool (愚人), Confucius (孔子), the Wise Man (智子), and female figures.

Key words : Zhuangzi, Han Feizi, Parables, Character Representation, Fool, Confucius, Wise Man, Female Figures

2024년 2월 28일 투고 2024년 4월 16일 심사 완료 2024년 4월 16일 게재 확정

용봉인문논총 64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