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Abhidharmakośabhāṣya)에서 세친(世親, Vasubandhu)의 독자적인 십이연기(十二緣起, pratītyasamutpāda) 설명을 『니까야』(Nikāya)와 비교를 통해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구사론주 세친의 십이연기 해석을 부파들의 찰나법연기(刹那法緣起), 삼세양중인과설(三世兩重因果說) 해석 등과 같이 간주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구사론』에서 세친은 부파 해석들을 비판하고 계박(繫縛, abhisaṃbandha, 혹은 連縛) 연기설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계박 연기설은 아견(我見, ātmandṛṣṭi), 아만(我慢, asmimānā)을 지닌 범부가 자신의 의식 구조에서 형성된 존재가 연기된 것(緣已生, pratītyasamutpanna)이고 조작[行, saṅkhāra]된 것임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쾌락 및 불고(不苦)를 위해 신·구·의(身·口·意)의 3업(業)을 지으며, 그 존재 추구에 ‘식의 상속’(識相續, vijñāna-saṃtāna) 및 ‘식의 활동’(vijñānā-krānti)이 묶여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계박 연기설의 편린들을 『니까야』에서 역추적했다. 연이생과 행의 중첩은 과거의 경험이 현재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를 설명하는 Bhūmija경의 설명과 연관된다.
이전의 존재(bhūta)와 재유(punabbhava)의 연결을 보이는 중유(中有)의 존재 추구는 Moḷiyaphagguna경과 연관된다. ‘행→식→명색→육처’와 ‘6경, 6식’의 중첩은 Bālapaṇḍita경과 비교된다. 취부터 노사까지의 부분에 대한 세친의 설명은 사식과 행의 조건으로부터의 식(識)이 재유(再有)로 이어진다는 Mahātaṇhāsaṅkhaya경, Atthirāga경의 설명과 연관된다.
Anusaya경에서는 아만(我慢, ahaṅkāra), 아소(我所, mamaṅkāra), 자만(自慢, māna)의 견해는 식(識)의 활동체인 몸(身, kāya)의 수면(隨眠, anusaya)에 내재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결론적으로 『니까야』를 통해 본 세친의 십이연기 해석은 존재 추구의 의식성에 묶여 고통의 구조를 벗어나지 못함에 관한 설명으로 십이연기의 본의를 드러낸 것이다.
주제어 : 세친, 연기, 십이연기, 분위연기설, 찰라연기설, 식상속, 아비달마구사론
Abstract
Vasubandhu’s an interpretation on pratītyasamutpāda from point of view of Nikāyas
This study is based on Vasubandhu's unique explanation of Twelve links of the conditioned co-arising(pratītyasamutpāda)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through the comparison with Nikāya. The interpretation of Vasubandhu in previous studies was regarded as similar to the interpretation of ‘Momentariness theory’ or 'Three Realms and Two Causes and Effects' at abhidharma buddhism. But Vasubandhu criticizes the interpretations of abhidharma and presents the interpretation of the bondage (abhisaṃbandha, or 繫縛) as an alternative. Since ordinary persons that had a thinking of Ātman or ‘I am’ did not recognize that the existence formed in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is the heritage of conditioned co-arising(緣已生, pratītyasamutpanna) and formations(saṅkhārā), for the sake of pleasure and non-suffering (non-suffering), they did actions performed by body, speech, or mind and was linked to the 'stream of consciousness'(vijñāna-saṃtāna) and the ‘activity of consciousness’ (vijñānākrānti) into one’s the pursuit of existence. This study tracked back traces of the interpretation of Vasubandhu at Nikāya. The overlap of pratītyasamutpanna and saṅkhārā is related to Bhūmija-sutta, which explains the structure in which past experiences influence present experience. The pursuit of the existence as the concept of middle existence, which show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vious existence(bhūta) and the Re-existence (punabbhava) is related to the Moḷiyaphagguna-sutta. The overlap of 'from saṅkhārā to salāyatana' and ‘six visaya and six consciousness’ is compared to Bālapaṇḍita-sutta. Vasubandhu's explanation of the part from upādāna to maraṇa is related to the explanation that consciousness, arising from the conditions of four kinds of nutriments and formations, leads to re-existence in the Mahātaṇhāsaṅkhaya sutta and Atthirāga-sutta. In the Anusaya-sutta, the views of ahaṅkāra, mamaṅkāra and māna were embedded in latent tendency of kāya as embodied of consciousness. In conclusion, Vasubandhu's interpretation of pratītyasamutpāda as seen through Nikāyas reveals the true meaning of it as an explanation of the inability to escape the structure of pain because of binding to the consciousness of the pursuit of existence.
동아시아불교문화 63권 (24년6월)
http://www.easternasia.kr/html/sub04_01.asp
'종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무라 다이켄 원시불교사상론의유정론(有情論)과 의지주의/김영진.동국대 (0) | 2024.09.29 |
---|---|
유식이십론의 논변 전략에 대하여/이길산.경남大 (0) | 2024.09.29 |
화엄 교판에 나타나는 법계원융과 일승교의 맥락-법계의 중첩, 포월과 재귀순환의 구조-/ 박수현.서울大 (0) | 2024.09.29 |
읍참마속(泣斬馬謖)으로 보는 바가바드기타 : 마하바라타 비슈마(Bhīṣma)를 중심으로 /김동원.동국大 (0) | 2024.09.23 |
설일체유부의 법체와 자성 - 세친의 종자설과 관련하여 - /최선아.이화여대 (0) | 2024.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