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1. 들어가기
2. 하루키 문학과 병리적 인물 나오코(直子)
3. 『해변의 카프카』의 병리적 인물조형
3.1. 카프카 소년
3.2. 나카타 노인
3.3. 사에키(佐伯)
4. 카프카 소년의 병리성 극복양상
5. 나가기
1. 들어가기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1949~, 이하 하루키)에게 있어 『해변의 카프카 ( 辺のカフカ)』(2002, 新潮社)는 하루키 문학사 있어 분수령이 되는 작품으로 미국이라는 소비시장을 굳건하게 확보하는 작품으로 자리매김한다.
『해변의 카프카』라는 작품이 미국에서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었던 배경에는 2001년 9월 11일, 과격파 이슬람 조직에게 유례없는 테러를 경험한 미국인들에게 하루 키의 『해변의 카프카』는 일종의 치유의 매개물로서 수용되었기 때문이다.
이 후 이 작품은 2005년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베스트 10권’ 의 책이 되었고, 2006년에는 노벨문학상의 등용문으로 불리는 프란츠 카프카상을 수상한다.
일본에서 하루키와 친분이 있었던 심리학자 가와이 하야오(河合隼雄)는 이 작품을 인간 의 정신적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힘이 있다고 절찬한다.
이 발언과 동시에 일본 과 해외에서 작품은 조명을 받게 된다.
일련의 흐름에 대해 일본의 문예평론가 고모리 요이치(小森陽一)는 이 작품은 한신·아와지(阪神淡路) 대지진과 옴진리교 의 도쿄 지하철 사린(サンリ)사건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에 빠진 일본인들 에게 무의미한 치유를 갈구하게 하고 전쟁에 대한 기억을 소거하게 만들었다고 비평한다.
그리고 미국에서 2001년의 테러가 일어나고 그 시기에 맞추어 의도적 으로 2002년 9월 10일에 출판한 것에1) 대해『해변의 카프카』를 정면으로 비판 한다.
고모리 요이치의 비판은 연구자들 사이에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다 카하시 다쓰오(高橋龍夫)는 고모리 요이치의 주장과는 다르게 이 작품을 태평양 전쟁과 1968년에 발생한 일본 민주화운동이라는 역사적 사실에 입각하여 구축 된 작품으로 본다.
태평양전쟁의 피해자인 등장인물 나카타 노인과 일본 학원투 쟁의 피해자인 사에키, 두 사람의 비통한 개인적 기억을 공동체적 기억으로 환 원시켰고 나카타의 기억의 소거는 역사 인식을 망각한 패전 후 현재 일본의 정 신적 공허를 상징하고 있다고2) 논한다.
엔도 신지(遠藤伸治) 역시 작품의 등장 인물인 나카타 노인의 경우 가정 폭력과 태평양 전쟁과 맞물린 교사의 폭력으 로 지적 장애자가 되면서 전쟁이 초래한 역사의 피해자로3) 본다.
1) 고모리 요이치(2007) 『무라카미 하루키론《해변의 카프카》를 정독하다』 고려대학교출 판부, pp.7-8.
2) 高橋龍夫(2021) 「<論考>『海辺のカフカ』論-方法としての歴史性-」MURAKAMI REVIEW 3、 京都大學大學院 人間·環境硏究科、p.44-45.
3) 遠藤伸治(2008)「村上春樹の『海辺のカフカ』論 -性と暴力をめぐる現代の神話 -」國文學攷 199、広島大學國語國文學會、p.5.
이처럼 일본 안에서『해변의 카프카』는 비평가들의 엇갈리는 작품해석의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는 하루키 문학이 구축해 온 이야기의 중요한 메시지를 인간 정신의 자폐성과 정신적 해리로 인한 분신적 관계 구도로 해석한다.
앞에서 확인하였 듯이 이 작품은 태평양전쟁의 피해를 역사적 시각으로 보는 연구들이 많다.
그 리고 『태엽 감는 새 연대기(ねじまき鳥クロニクル)』(1994, 新潮社) 이후 작품들의 특징은 한신·아와지 대지진과 도쿄 지하철 사린사건을 계기로 역사적·사회적 문제에 대해 하루키가 적극적 언급을 하는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는 이 작품을 초기삼부작과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世界の終りとハートボルイド·ワンーランド)』(1985, 新潮社),『노르 웨이의 숲(ノルウェイの森)』(1987, 講談社)의 작품세계를 계승하는 작품으로 분 류한다.
즉, 주인공들의 자폐성을 띄는 분신적 관계와 등장인물들의 정신 병리 적 양상을 관통하는 텍스트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노르웨이의 숲』의 나오코처럼 정신적 이상 증세를 나타내 는 여성 인물상이 하루키 문학에서 자주 출현하는 것에 주목한다.
『색채가 없 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色彩を持たない多崎つくると、彼の巡禮の 年』(2013, 文藝春秋),『해변의 카프카』,『거리와 그 불확실한 벽(街とその不確 な壁)』(2023, 新潮社)에 등장하는 여주인공들은 모두 현실에서 정신적 이상 증 세를 보이다가 죽음을 맞이하는 공분모를 이룬다.
하루키는 왜 정신 병리적 여 성 인물 조형에 천착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그 의문점의 연장 선상에서 『해변의 카프카』의 등장인물들의 병리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주인 공인 카프카 소년은 해리성 정체성 장애를 보이고 나카타 노인은 해리성 건망 증 장애를 보이는 것에 주목하며 카프카 소년과 나카타 노인의 행동양상을 분 석하면서 하루키 문학에서 일관되게 표상되고 있는 인간의 죽음과 정신문제를 고찰한다.
최종적으로 고도자본주의와 물질문명이 팽배한 사회에서 가족이 해 체되고 그로 인한 정신적인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현대인들을 위해 소설이라 는 장르가 어떠한 기능을 담당할 수 있을지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2. 하루키 문학과 병리적 인물 나오코(直子)
하루키의 대표작인『노르웨이의 숲』라는 작품을 연구자는 나오코(直子)와 와타나베를 위시한 모든 등장인물들이 병리적 또는 자폐적 성향을 갖는 인물 로4) 보았다.
4) 강윤경(2022)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노르웨이의 숲(ノルウェイの森)』론」『일본 어문학』제96집, 일본어문학회, pp.219-241.
나오코의 경우, 정신적 질환을 앓고 있는 병리적 인물로 보았고 와타나베는 자폐적 성향을 갖는 인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와타나베의 룸메이 트 ‘돌격대’를 일본의 군국주의, 전체주의적 사회가 잉태한 병리적 인물임을 프 로이트가 진료한 20세의 여성 환자를 예시로 증명하였다.
하루키의 데뷔작인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風の歌を聞け)(講談社, 1979)』에서 주인공의 연인이었던 자살한 불문과 여학생은 다음 작품인『1973년의 핀볼 (1973年のピンボール』(1980, 講談社)에서 나오코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두 작 품에서 나오코는 이미 죽은 인물로서 등장했다.
두 작품에서 베일에 가려있던 나오코는『노르웨이의 숲』에서 살아 있는 인물로 전면적으로 등장하며 그녀의 죽음의 전말을 밝힌다.
『노르웨이의 숲』에서 자살한 나오코는 이후『해변 의 카프카』의 사에키(佐伯)로 조형되고,『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에서 정신적 문제를 앓다가 죽음을 맞이하는 시로(しろ)로 다 시 등장한다.
하루키의 최신작인 『거리와 그 불확실한 벽』에서 나오코를 연 상하게 하는 여주인공(君)은 나오코라는 인물상은 애초에 죽음의 세계에 존재 하던 인물로 현실의 여주인공은 오히려 죽은 자의 그림자로 표상되고 있다.
하루키 초기문학의 주된 테마는 지나간 시대에 대한 상실감과 비애, 젊은 시 절 이별한 망자들을 향한 진혼(鎭魂)과 살아남은 자를 위한 재생의 이야기가 한 축을 형성한다.
연구자는 나오코라는 인물상이 작가인 하루키에 있어 작품 의 원형이 되는 인물로 자신의 작품 안에서 조형화되어야만 했던 인물로 본다.
하루키는 한국어판 『상실의 시대』 서문에서 이 작품을 자전적 소설이라 밝 히고 있으며 젊은 시절 죽음으로 이별한 친구들에게 이 작품을 받친다고 밝히 고 있다.
이러한 정황으로 보았을 때 하루키 문학에서 자주 출현하는 여자 주 인공의 정신 병리적 양상과 죽음은 하루키가 현실에서 직접 체현하면서 조형 된 인물로 하루키 내면에 깊은 상흔을 새기며 하루키 문학의 근간을 이루는 여성 인물들의 원형으로 볼 수 있다.
하루키 문학은 나오코로 형상화된 인물상 을 위한 진혼곡이며 작가와 독자들에게 있어 치유와 재생을 위한 프로세스가 소설이라는 장르로 구현되었다고 생각한다.
3. 『해변의 카프카』의 병리적 인물 조형
다무라 카프카(田村カフカ)라는 소년은 아버지 다무라 고이치(田村浩一)와 함 께 살던 도쿄의 집에서 15세의 생일에 가출을 한다.
소년은 4세 때 어머니가 누나만 데리고 집을 떠나므로 버림을 받고 남아 있는 아버지에게도 사랑을 받 지 못한채 성장한다.
어머니의 세심한 보살핌이 필요한 시기에 소년은 어머니 에게 버려졌다는 트라우마가 생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함께 사는 아버지에게 예언을 듣게 되는데 ‘너는 아버지를 자신의 손으로 죽이고 어머니, 누나와 성관계를 맺게 될 것’이라는 저주에 가까운 예언을 듣는 것이었다.
독자 들은 이 부분에서 오이디푸스 신화의 내용을 상기하게 될 것이고 연이어 프로 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을 연상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시바타 쇼지 (柴田勝二)는 이 텍스트를 오이디푸스 신화에 의해 구축이 되었고 프로이트적 담론은 작가에 의해 전략적으로 배제되었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작가는 근대 이론보다 신화의 세계에서 파생된 이야기 구조로5) 작품을 구축해 냈다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신화와 텍스트를 비교할 때 누나와 관계를 갖는다는 것과 어머 니가 이미 가출해 버렸다는 작품의 설정은 오이디푸스 신화의 이야기 구조를 그대로 갖고 온 것이 아니라 신화의 핵심이 되는 예언을 소설 안에서 소재로 활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카프카가 4세 때 어머니에게 버림받는다 는 설정은 프로이트의 성격발달이론 중 남근기6)에 해당하는 시기라는 것을 상 기하면 프로이트의 이론과도 무관하다고 단언하기 힘들다.
5)柴田勝二(2008)「殺し、交わる相手ー『海辺のカフカ』における過去ー」東京外國語大學論集 76 號、東京外國語大學、pp.272-273.
6) 남근기는 만 3-6세 사이에 나타난다. 프로이트는 이 시기를 본능적인 충동과 사회적 제 약 사이의 갈등을 반영하는 신경증이 발달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로 성감대는 항문에서 남근으로 옮겨간다. 이 단계는 성별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첫 심리적 성적 단계이 다. 이 시기와 연관된 인격적 특성에는 주도적인 성격과 공격적인 성향이 해당되는데 이 시기에 부모가 아이를 강압적으로 대하면 아이는 죄책감에 압도되고 독창성과 야망을 억제하게 된다. 리사 코헨저· 이아린옮김(2020) 『한권으로 끝내는 심리학』지브레인, p.215.
이렇듯 주인공 카프카의 성장배경과 오이디푸스 신화와 중첩되는 아버지의 예언은 작품 안에 주인공이 정상적이지 못한 병리적 인물로 작가가 의도적으 로 설정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카프카뿐 만이 아니라 아버지인 다무라 고이치, 사에키, 나카타, 오시마(大島) 등 등장인물 전원이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건강한 인격체로 보기 어렵다.
사회적으로 뛰어난 조각가로 명성을 얻고 있는 다무라 고이치는 자신을 버리고 간 아내를 용납하지 못하고 자신의 아들에게 저주의 언어로 벌하면서 폭력적 아버지로 표상되고 있다.
3.1. 카프카 소년
주인공 카프카 소년이 가출을 결행하고 폐쇄적 공간인 도쿄의 집을 떠나 서 쪽으로 이동해 소년이 도착한 곳은 시코쿠(四國)의 다카마쓰(高松)라는 장소이 다.
중요한 것은 가출을 결행하는 첫 장면에서부터 ‘까마귀라고 불리는 소년’이 등장한다.
카프카 소년과 분신적 관계인 ‘까마귀라고 불리는 소년’의 등장에 대 해 가토 노리히로(加藤典洋)는 한신대지진 이년 후 1997년 2월에서 5월 사이 고베에서 일어난 아동살인사건에서 착안했다고 본다.
이 사건의 범인 소년은 바모이도오키(バモイドオキ)이라고 하는 신(神)을 자신 안에 분신으로 갖는 해리 성 동일성(解離性同一性)의 경향을 보였는데7) 사건의 주인공처럼 작품의 주인 공도 ‘까마귀라고 불리는 소년’이 카프카 안에서 카프카의 사고와 행동을 규정 하는 또 하나의 자아로 가토는 보고 있는 것이다.
해리성 정체성 장애8)의 발생요인은 환자가 경험한 외상에 있다고 볼 수 있 는데 양육자에 의한 초기의 성적인 외상과 학대 경험이 없이도 해리성 정체성 장애가 형성될 수 있으나 실제 연구자료에 의하면 진단사례의 97-98%에서 외 상과 해리성 정체성 장애 형성에 관계가 있다고 확인되고 이것으로 아동학대 에 의한 외상이 해리성 정체성 장애의 형성에 있어 주된 원인으로 추론할 수 있다고 한다.9)
라는 정의를 보면 해리성 정체성 장애의 발생요인과 카프카의 성장배경은 깊은 연관성을 추론해 낼 수 있다.
그 연관성이라는 것은 아버지의 저주스런 예언과 어머니에게 아무런 이유 없이 버림받은 체험은 유아기의 인 격체에 커다란 정신적 외상을 만들고 그 정신적 외상이 카프카 소년을 병리적 인물로 성장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추론이 가능하다는 것이 다.
정신적 외상의 결과를 하루키의 언어를 빌리자면 ‘공허한 인간’ 으로 대체 할 수 있을 것이다.
요시가와 야스히사(芳川泰久)는 ‘까마귀라고 불리는 소년’ 을 주인공 내면의 반성의식과 같은 것, 의인화(擬人化)된 또 다른 ‘나’ 라고10) 논하며 가토가 병리학적 문제로 보는 두 인격과는 다르게 바라본다.
시바타 쇼 지는 카프카 소년이 어린 시절 많은 책을 읽고 도서관이라는 공간을 좋아했던 점과 나카타 노인이 어린 시절 글을 읽지도 쓰지도 못하게 되어 버린 사건으 로 도서관이란 공간을 전혀 모르고 있던 것은 상호보완적 분신관계로 해석11) 한다.
7) 加藤典洋(2020) 『村上春樹は、むずかしい』岩波新書、pp.198-199.
8) 이 논문에서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와 ‘해리성 동일성 장애’를 같은 의미의 병명으로 사 용함을 밝힌다.
9) 한송이(2018) 「해리성 정체성 장애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 소설 『빌리 밀리건』을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석사논문 p.2.
10) 芳川泰久(2010) 『村上春樹とハルキムラカミ-精神分析する作家』ミネルヴァ書房、p.166.
11) 柴田勝二(2008)「殺し、交わる相手ー『海辺のカフカ』における過去ー」東京外國語大學論集 76號、 東京外國語大學、pp.272-273.
‘까마귀라고 불리는 소년’은 나카타의 다른 모습으로 결국은 ‘까마귀라고 불리는 소년’과 카프카의 분신관계는 나카타와 카프카와의 분신관계로 치환이 가능하다.
카프카의 이야기 홀수장과 나카타의 이야기 짝수장이 번갈아 전개되 면서 작품 후반부에 ‘까마귀라고 불리는 소년’의 장이 삽입되어 있는데 이 장에 서 ‘까마귀라고 불리는 소년’이 숲이라는 이계의 공간에서 조니 워커로 상정되 는 남자를 죽이려는 장면에서 ‘까마귀라고 불리는 소년’이 나카타임이 증명된다.
어머니의 부재와 남겨진 아들을 저주하는 아버지로 인해 정신적 결함을 갖 게 된 카프카 소년은 친구들을 만들지 못하고 집에 틀어박히는 경향을 보였으 며 내면의 분노가 폭발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같은 반 친구들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양상을 보였다.
카프카 소년의 폭력성은 의도적이라기보다는 해리된 정신 상태에서 돌발적으로 나타났음이 확인된다.
우리들의 ‘자기상태’ 는 현재의 상황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화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우리들은 누구든지 단일체가 아니라 오히려 빈번하게 여러 방법으로 내적으로 해리된 자기상태가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해리된 상태가 외계의 세계와 접촉이 차단될 때, 자아는 내적 세계에 함몰되고 현실과의 연결 고리가 차단되어 버리는 위험성이 생겨난다고12) 한다.
12) 內堀麻衣(2017) 「解離性同一性障害における內的世界の構造と場所の機能」東京女子大學 紀要 論文 68卷 1號、p.220.
그렇다면 텍스트에서 정신적 장애의 징후를 보이는 카프카 소년이 어떻게 외부의 세계와 관계회복 을 이루어 가는지에 대한 양상을 살피는 것은 이 작품의 분석에 있어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카프카 소년이 다카마쓰에 도착하고 8일 째 되는 날, 늦은 밤 자신의 셔츠에 피가 묻어 있고 어느 신사에 쓰러져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이 작품에서 ‘피’ 는 등장인물들의 분신적 관계를 상징하는 중요한 모티브가 된다.
도쿄에서 다무라 고이치로 상정되는 조니 워커를 살해한 것은 나카타 노인이었다.
조니 워커는 죽을 때 다량의 피를 흘린다.
하지만 나카타 노인이 정신을 차리고 일 어났을 때 나카타 노인의 옷은 깨끗한 상태였고 카프카는 그 시각 다카마쓰에 있었지만 피가 흥건히 묻혀 있는 상태가 된다.
피라는 매개물로서 나카타와 카프카의 분신관계가 증명된다.
사에키와 카프카 소년에게도 피는 화해와 회복의 중요한 키워드가 되는데 다음 장에서 소상히 후술하도록 한다.
카프카 소년은 자신의 티셔츠에 묻어 있는 피로 인해 어떤 범죄에 연루되었을 가능성을 두려워한다.
그리고 자신의 정신세계를 억압하던 아버지가 도쿄의 집에서 타인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된다.
가출한 카프카는 경찰 의 조사의 대상이 된다.
다카마쓰 도서관에서 만난 사서인 오시마는 고치(高 知)에 있는 자신의 별장이 있는 숲으로 카프카를 피신시킨다. 오시마 역시 남 장을 한 여자로 성(性)정체성이 분명하지 않다.
오시마의 별장은 외계의 모든 것과 차단된 고립의 장소다.
오시마의 별장이 있는 숲은 하루키 문학에서 명명 되는 이계(異界)이며 하루키 문학의 주인공들은 이계를 왕래하는 과정을 통하 여 현실문제의 실마리를 발견한다.
『해변의 카프카』에서는 다카마쓰의 도서 관과 오시마의 별장이 있는 숲이라는 공간은 이야기의 전개에 함께 카프카의 정신문제의 치유를 담당하는 상징적 공간이 된다.
3.2. 나카타 노인
이 작품의 홀수장은 카프카 소년이 가출하는 장면으로 시작되고 짝수장은 태평양 전쟁이 진행되던 시기에 초등학교 시절 담임인 여교사에게 폭력을 당 하고 의식을 잃었다가 살아나지만 자신의 이름조차 기억할 수 없게 된 나카타 라는 초로의 노인이 등장하며 이야기는 전개된다.
일련의 사건으로 기억을 상 실하고 글자까지 읽을 수 없게 나카타는 어린 시절 엘리트였던 아버지에게 가 정 폭력을 당한 정황이 교사의 관찰에 의해 텍스트에서 확인된다.
그렇다면 나카타는 아버지에게 폭력을 당해 정신이 온전하지 못한 상태에서 담임교사에게 이유를 알 수 없는 폭력을 당하면서 정신적 외상은 배가된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하는 문제가 부상한다.
어린 나카타 소년의 입장에서는 이 유를 알 수 없던 교사의 폭행의 전말은 태평양전쟁이 초래한 역사적 배경을 반영한다.
나카타 소년은 전시중 도쿄에서 산속 마을로 전학을 온 학생이었고 학업성적도 우수했으며 예의 바른 학생이었다. 나카타를 포함한 16명의 학생들 은 야외 실습을 나가게 된다.
전쟁말기 일본은 만성적인 식량난에 허덕이고 있 었고 야외실습이라 해도 초등학교 학생들은 식량난을 해소하기 위해 야외에서 버섯을 따는 것이 보통이었다.
학교에서 출발한 학생들은 도착지에 다다르고 버섯을 따기 시작했다.
인솔을 담당했던 여교사 오카모치(岡持)는 전쟁 중에 부모를 잃고 결혼을 하지만 남편은 전장으로 출정한 상태였다.
하지만 야외실 습을 나가기 전날 밤 출정한 남편을 꿈속에서 만나고 부부는 농밀한 성관계를 갖는다.
오카모치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육체의 쾌감을 꿈속에서 경험한다.
이 성관계의 여운은 다음 날 야외실습을 가는 도중에도 계속되는데 그때 예정 에 없던 월경이 시작되어 버린다.
오카모치는 당황하여 학생들의 눈을 피해 갖 고 있던 손수건으로 응급처치를 하고 피 묻은 손수건을 어딘가 버렸는데 나카 타 소년이 그 피 묻은 손수건을 갖고 자신 앞에 나타난 것이다.
교사인 그녀는 자신의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성적 흥분상태에 있었던 것이 부끄러웠고 자신의 피가 묻은 손수건으로 인해 이성을 잃고 나카타 소년에게 무분별한 폭 행을 가한다.
그녀가 이성을 되찾았을 때는 나카타 소년은 이미 실신한 상태였 고 이후 군병원으로 이송되지만 나카타 소년의 의식은 돌아오지 않는다.
그렇 게 군병원에 혼수상태로 입원해 있던 나카타 소년은 3주 만에 의식을 되찾지 만 나카타는 자신의 이름도, 부모의 얼굴도, 글자도, 일본이라는 나라도 알 수 없는 백지의 상태로 깨어난다.
의학적인 용어로 해리성 건망증 장애의 증상으 로 인한 지적 장애자가 된 것이다.
해리라는 것은 고통스러운 기억이나 공포 등에서 자아를 지키기 위해 의식, 기억, 동일성, 주위의 지각 등 통합되어 있는 기능이 장애가 발생하거나 변용 되어 버리는 상태이다.
해리성 건망증은 몇 시간에서 몇 일 동안 일어난 사건 이 생각나지 않는 국소성(局所性) 건망, 어느 시간대의 일어난 일밖에 생각나 지 않는 선택적 건망, 생애에 걸치는 전반성(全般性) 건망으로 분류된다고13) 한다.
나카타의 경우는 전반성 건망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야외실습 사건으 로 3주 동안 혼수상태에 있던 나카타는 하루키 문학의 주된 모티브의 하나인 이쪽세계에서 저쪽세계를 다녀온 인물로 볼 수 있다.
모든 기억을 잃어 버렸지 만 나카타는 고양이와 대화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고 나이가 들어서는 이 웃들에게 잃어버린 고양이를 찾아주는 사례금으로 연명 하며 살아가는 인물이 된다.
나카타 노인의 내면세계의 결락은 고양이의 시선에서 포착된다.
‘당신의 문제점은 나의 생각이지만 당신은... 약간 그림자가 희미한 것이 아닐 까. 처음에 볼 때부터 생각했지만 지면에 드리워진 그림자가 보통사람의 반 정도 밖에 되지 않아’14)
13) 數井裕光·武田雅俊(2009) 「健忘症君の診かた」高次腦機能硏究 第29卷 第3號、大阪大學、 p.15.
14) 村上春樹(2002)『海辺のカフカ』上卷 新潮社、p.87. (이 논문의 모든 인용문은 논자가 번역했음을 밝혀둔다.)
상기의 인용문을 보면 하루키 문학에서 반복적으로 출현하는 모티브인 그림자 가 나온다.
인간이라면 필연적으로 갖게 되는 그림자는 물리적으로 생겨나는 현 상이면서 하루키 문학에서는 내면의 또 다른 자아를 표상하고 있다.
나카타의 그 림자가 희미한 것은 내적의 건강한 자아가 부재하는, 즉 공허한 인간임을 표상하 고 있다.
카프카에게 폭력적인 예언을 한 다무라 고이치 역시 공허한 인간이었 다.
나카타가 다무라 고이치로 상정되는 조니 워커를 살해하게 된 이유는 나카타 의 인격적인 친구들인 고양이들의 심장을 먹기 위해 고양이들을 무참히 살해하 기 때문이다.
고양이들의 죽음을 막고 싶다면 조니 워커는 나가타에게 자신을 죽 이라고 종용한다.
‘내가 고양이들을 죽이고 나카타가 자신을 죽여야 하는 것은 일종의 전쟁과 같은 것이지..’ 라는 조니 워커의 말속에는 현실의 역사에서 일어 났던 전쟁의 참상을 고양이라는 약자와 인간이라는 강자, 아들이라는 약자와 아 버지라는 강자, 전쟁을 진행시킨 국가와 전쟁의 희생자인 개인의 두 관계를 조응 시키면서 조니 워커는 폭력적인 아버지상과 전쟁의 악을 표상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조니 워커는 다무라 고이치라는 카프카 아버지의 범위를 넘어 서는 전쟁을 진행시킨 제국주의 일본이라고 의미를 확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할 점은 나카타 소년에게도 ‘피’라는 매개물과 연관관계가 생기 는 것이 관찰된다.
나카타 소년은 담임 여교사의 피 묻은 손수건으로 인해 폭 력을 당하고 쓰러진다.
의식을 잃은 후 병원에서 입원 중일 때 어떤 의학적인 방법을 써도 깨어나지 못했지만 간호사의 실수로 핏방울이 떨어져 하얀 시트 위에 번지는 순간 나카타 소년은 깨어난다.
그렇다면 피라는 매개물은 나카타 소년의 정신세계에 어떤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3.3. 사에키
사에키는 다카마쓰의 고무라 가문의 장남과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연인사이 가 된다.
이 두 사람의 구축한 애정관계는 완벽했으나 20세가 되어 사에키의 연인은 도쿄로 상경하게 되고 사에키는 고향에 남아 음대에 다니며 연인을 기 다린다.
하지만 연인은 1968년 학생운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동지들에게 스파이 로 오해를 받고 어이없는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사랑하는 연인의 죽음은 사에 키에게 정신적 외상을 만들었고 이 문제를 극복하지 못한 사에키의 정신세계 는 파괴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노르웨이의 숲』에서 기즈키와 나오코의 관계가 다시 이 작품에서 재현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사랑하던 남자 주인공의 죽음 이후 두 작품의 여주인공들은 정신적 외상을 극복하지 못하고 정신적 이상 징후를 보인다.
나오코는 말하기의 어려움, 즉 언어장애를 보이다가 사고의 괴리로 정신세계가 붕괴된다.
사에키의 경우는 연 인이 죽은 후 다카마쓰를 떠나 많은 곳을 유랑하며 많은 남자들과 성적인 방 탕함에 빠지고 결혼을 하지만 결혼도 실패로 끝나 버린다.
이어서 하기의 인용 문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①우리들은 무인도에서 벌거벗은 관계였어. 배가 고프면 바나나를 먹고 외 로워지면 둘이서 껴안고 잠이 들었지. 그러나 그러한 관계는 언제까지나 계속 될 수 있는 것이 아니였어.15)
②나는 이곳에서 태어나서 이 집에 살고 있던 한 남자를 깊게 사랑했습니 다. 더 이상은 사랑할 수 없을 정도로 사랑했습니다. ..중략.. 우리들은 완전한 원 안에서 살았습니다. 모든 것은 그 안에서 완결되었습니다. 그러나 물론 그 런 것은 언제까지나 지속될 수 없습니다16).
①의 인용문은 나오코가 와타나베에게 자신과 기즈키의 관계를
②는 사에키가 나카타 노인에게 자신과 연인의 애정관계를 설명하고 있는데
두 인용문은 공통 적으로 남녀의 완벽한 사랑을 말하고 있지만 두 사람의 관계는 폐쇄적이었으며 언제까지 자신들의 사랑이 지속될 수 없었음을 자각하고 있음이 나타난다.
상이 한 점은 나오코가 젊은 나이에 자살을 하는 것에 반해 사에키는 사랑하는 연인 과 죽음으로 이별하고 50세 가까운 나이까지 살지만 연인의 죽음 후 공허한 인 간으로 산다.
이러한 상태의 사에키를 야마네 유미에(山根由美惠)는 병리적 이인증(離人症)의 상태라고17) 본다.
이인증 증상은 텍스트 여러 곳에서 확인된다.
사에키씨는 나를 아마 옛날 죽어 버린 연인인 소년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 리고 이 방에서 옛날 행해졌던 일을 그대로 반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아주 자 연스럽게 당연한 일로서 잠들어 있는 채로. 꿈을 꾸고 있는 것처럼.18)
15) 村上春樹(1990)『村上春樹全作品1979-1989⑥』講談社、p.188. 16) 村上春樹(2002)『海辺のカフカ下卷』新潮社、p.291.
17) 山根由美惠(2017) 「生き直される「サバイバー」の生 : 村上春樹『海辺のカフカ』論」近代文 學試論 55、廣島大學學術情報リポジトリ、p.41.
18) 前揭書、村上春樹(2002) pp.90-91.
인용문에서 사에키의 육체와 정신이 분리된 증상이 카프카 소년에 의해 포 착된다.
사에키는 이인증의 상태에서 카프카 소년과 성관계를 갖는다.
작품 안 에서 사에키라는 등장인물이 가지는 의미는 카프카를 버리고 집을 나간 어머 니일 가능성에 있다.
나카타 노인과 사에키가 도서관에서 조우하고 두 사람의 대화로 베일에 가려있던 사에키의 과거가 소명되고 사에키가 카프카의 어머니 일 가능성은 농후해진다.
의문점은 카프카가 자신의 아들일 수 있다는 가능성 아래 성관계를 갖는데 있다.
그 소녀와 나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 우리 두 사람은 이 세계에서 이미 사라진 상대를 사랑하고 있 는 것이다. 19)
19) 村上春樹(2002)『海辺のカフカ下卷』新潮社、p.21.
위의 인용문에서도 확인되는 것처럼 사에케와 카프카의 성관계에서 환기해 야 하는 점은 현실의 사에키와 카프카 소년을 은유하는 다른 인물들로 치환해 야 한다는 것이다.
즉 사에키에게 성관계의 대상은 죽은 다무라 가문의 장남이 며 카프카 소년에게는 15세의 사에키인 것이다.
이 작품은 등장인물들의 분신 관계와 은유적 관계로 전개됨을 상기할 때 이들의 성관계는 사에키 내면의 병 든 환부를 치유하는 의례였고 ‘입구의 돌(入り口の石)’을 연 나카나 노인을 만나 고 죽음으로써 오시마의 별장이 있는 숲에서 카프카에게 유령으로 나타나 현 실의 세계로 돌아가라는 조언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나카타 노인이 조니 워 커를 죽이고 다카마쓰로 이동한 이유는 ‘입구의 돌’을 열고 다시 닫아야 하는 자신의 임무 때문이었다.
사에키 역시 젊은 시절 자신의 연인과 영원한 사랑을 위해 ‘입구의 돌’을 연 장본인이었다.
사에키와 나카타 노인의 만남의 연결고리 가 되는 것은 바로 ‘입구의 돌’을 알고 있는 이계의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나카 타 노인이 호시노 청년과 다카마쓰에 와서 이계의 문인 ‘입구의 돌’을 열었기 때문에 카프카 소년은 이계로의 진입이 가능했다.
사에키가 카프카 소년에게 이계인 숲을 빨리 탈출하라는 부탁을 한 이유는 ‘입구의 돌’이 닫히면 카프카 소년은 영원히 현실로 복귀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4. 카프카 소년의 병리성 극복양상
『해변의 카프카』라는 작품에서 소년의 어머니는 4세의 주인공을 버리고 9 세의 누나만 데리고 아무런 말을 남기지 않고 도쿄의 집을 나가 버린다.
어머 니에게 버려진 어린 카프카에게 있어 도쿄의 집은 어떠한 공간으로 각인되었 을까.
어린 시절 카프카는 집보다 도서관에서 시간을 보낼 때 더 행복했다고 말한다.
그리고 도서관에서 일하는 여자 사서들의 관심이 소년에게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만들어 준다.
이것을 바꾸어 말한다면 자신이 안정감을 누리는 공 간이 집이 아닌 도서관으로, 어머니의 사랑은 도서관 사서들의 관심으로 치환 되어 버렸음을 알 수 있다.
해리성 동일성 장애는 안심할 수 있는 장소가 부재 할 때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진다는20) 것을 상기하면 카프카 소년의 해리성 동 일성 장애가 다시 확인된다.
20) 內堀麻衣(2017)「解離性同一性障害における內的世界の構造と場所の機能」東京女子大學 紀 要論文 68卷 1號、東京女子大學、p.220.
고무라 도서관에 있던 남장을 한 오시마는 독자 누구나 처음에는 남성으로 보이지만 이야기 전개에 따라 그가 남장을 한 여성, 즉 게이라는 사실이 밝혀 진다.
카프카 소년이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들은 예언을 처음으로 타인인 오시 마에게 말하는 행위는 자기치유를 위한 여정이 시작됨을 알리는 중요한 분기 점이 된다.
카프카 아버지의 예언을 이해하고 소년의 내면을 정확히 이해하는 자로서 카프카의 정체성의 획득을 위해 이계인 자신의 별장으로 인도하는 안 내자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 작품에서는 등장인물 전원이 카프카 소년의 구제 를 돕는 역할을 담당한다.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여러 정황을 미루어 보았을 때, 사에키가 카프카를 버리고 간 어머니라고 추측하기에는 충분하지만 텍스트 는 확실한 확답을 제공하지 않는다.
소년이 처음 사에키에게 ‘당신은 나의 어 머니입니까’ 묻는 대목에서 사에키는 즉답을 피하고 ‘그것은 가설로서 존재한 다.’ 라고 대답한다.
긍정도 부정도 아닌 사에키의 애매한 대답에서 작가의 의 도성이 감지되는데 그것은 이야기의 긴장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 텍스트의 해 석의 여지를 넓히기 위한 장치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이다.
카프카는 다카마쓰에서 지내는 동안 고치에 있는 오시마의 별장을 두 번 방 문한다.
오시마는 두 번째 방문할 때 숲을 주의하라고 카프카에게 조언한다.
숲에 너무 깊숙하게 들어가 버리면 다시는 현실로 돌아올 수 없게 되는 미궁 의 공간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카프카 소년은 숲속 깊이 들어가는 선택을 한 다.
그것은 미궁 같은 자신의 내면으로 들어가 자신의 실체와 직면하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 된다.
이곳 숲속은 결국 내 자신의 일부이지 않은가. 나는 어느 지점부터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다. 나는 내 자신의 내면을 여행하고 있는 것이다.21)
21) 前揭書、村上春樹(2002) p.372.
카프카 소년이 들어간 숲속은 시간의 흐름이 정지되고 과거의 기억이 존재 하지 않는 비현실의 공간으로 하루키의 문학에서 말하는 저쪽세계이다.
이곳의 사람들은 공동생활을 하며 필요이상의 물건을 원하지 않고 배고픔도 느끼지 않으며 살아갈수록 과거의 기억을 상실해 간다.
그리고 이 공간은 현실에서 사 람이 죽고 죽음의 세계로 가기 위한 중간지대이다. 나카타 노인에 의해 죽은 조니 워커도 이곳에서 다시 등장한다.
하지만 ‘까마귀라고 불리는 소년’(나카타 노인)과 다시 대면하며 까마귀의 모습을 한 나카타 노인의 공격을 당하고 조 니 워커는 완전히 죽음의 세계로 이동한다.
이계로 들어온 카프카 소년은 허기를 느낀다.
카프카 소년이 허기를 느끼는 것은 이계의 마을에 완전히 동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카프카 소년을 위해 음 식을 준비하는 여성은 15세의 사에키이다.
카프카 소년이 머무는 집에 세 번째 방문할 때는 소녀가 아닌 50세의 사에키로 등장한다.
현실에서 죽은 사에키는 유령이 되어 이계의 장소로 이동할 수 있었다.
이계에서 만났을 때 재차 카프 카 소년이 ‘당신은 나의 어머니입니까’ 라고 물었을 때 사에키는 그 대답은 벌 써 카프카 소년이 알고 있을 것이라는 우회적인 대답으로 긍정한다.
과거의 기 억이 없는 그곳에서 사에키는 아들에게 현실의 세계로 되돌아가라고 부탁한다.
하지만 카프카 소년은 현실의 세계에 자신을 위한 공간은 존재하지 않는다며 거절한다.
하지만 카프카 소년이 현실로 돌아갈 것을 결심하는 이유는 이곳에 서 탈출해 현실에서 자신을 계속 기억해 달라는 사에키의 간절한 부탁 때문이 었다.
부탁과 함께 사에키는 자신의 피를 아들에게 맛보게 한다.
사에키씨는 조용히 포옹을 푼다. 그리고 머리카락에 꽂고 있던 핀을 풀고주저함 없이 날카로운 핀 끝으로 왼쪽 팔의 안쪽을 찌른다. ..중략.. 이윽고 상 처에서 혈액이 흐르기 시작한다. 그녀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그 팔을 나의 쪽으로 내민다. ..중략.. 나는 목 안으로 그녀의 피를 받아들인다. 나는 얼마나 그 피를 바라고 있던가.22)
22) 前揭書、村上春樹(2002) p.382.
이 부분에서 이 텍스트에서 피는 어떠한 의미로서 기능하고 있는지에 대한 소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피는 일반적으로 생명과 죽음을 상징하며 폭력과 전쟁을 표상한다.
앞에서 언급했던 카프카 소년의 셔츠에 묻은 피는 살인과 죽 음을 상징했다.
조니 워커가 고양이들의 피가 묻은 심장을 먹는 것은 전쟁을 표상했다.
오카모치 월경의 피는 국가가 진행한 전쟁으로 인해 개인들이 감내 해야 했던 불운한 인생을 표상했다.
하지만 이계에서 흘리는 사에키의 피는 카 프카 소년을 구제하는 매개물로 기능한다.
즉 사에키의 피를 카프카 소년이 받 아들이면서 마음의 병을 앓던 소년은 새로운 생명, 재생을 획득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이 작품에서 피는 죽음과 생명의 양의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 다고 말할 수 있다.
이계를 방문하고 안전하게 현실로 돌아온 카프카는 숲에서 죽은 어머니 사 에키를 만남으로서 삶의 방향성을 찾게 된다.
병리적 인물이 자폐적 공간을 탈 출하고 치유와 회복을 개방적 공간으로 탈출하는 하루키 문학의 구조가 재현 되는 것이 확인된다.
5. 나가기
이상으로 『해변의 카프카』의 등장인물인 카프카 소년, 나카타 노인과 사에 키의 병리적 행동양상을 분석하며 사에키라는 인물이 『노르웨이의 숲』의 나 오코와 유사하게 조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카프카 소년은 유아기에 어머니에 게 버려지고 아버지의 폭력적 언어로 해리성 동일성 장애를 보였다.
나카타 노 인 역시 태평양전쟁이 초래한 시대적 조류속에서 부모와 교사의 폭력으로 인 해 실신했다가 해리성 건망증 장애로 인한 지적 장애자가 된다.
사에키는 일본의 1968년 학원투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사랑하던 연인의 죽음으로 정신적 외 상을 극복하지 못하고 공허한 인간으로 인생을 살아가야 했다.
하루키 문학에 표상된 병리적 인물들은 자신의 내적인 자아인 그림자와의 분신관계로서 구제와 재생의 길을 모색한다. 자아와 그림자는 대치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그림자는 소멸되며 두 관계는 와해된다.
이 작품에서도 나카타와 카 프카는 분신관계를 형성했다가 나카타 노인의 죽음으로 카프카와의 관계는 허 물어진다.
분신관계가 허물어진다는 것은 두 개의 인격이 통합되고 카프카 소 년은 성숙한 인격체로 변모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태하는 것이다.
그리고 등 장인물 오시마 역시 카프카 소년을 구제하기 위한 조력자의 역할을 담당한다.
카프카 소년이 현실로 복귀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사에키였다.
사에 키는 이계에서 아들에게 자신의 과거를 용서받는다.
현실로 돌아가기를 두려워 하는 아들에게 자신의 피를 먹게 하는 행위로서 카프카 소년의 재생의 프로 세스는 실현된다.
전쟁이 초래한 역사의 희생자였던 나카타 노인은 자신의 모든 기억이 소거 되는 불우한 사건과 조우하고 공허한 인간이 되지만 그는 15세의 카프카를 대 신해 악과 전쟁을 상징하던 폭력적인 아버지를 살해하고 죽음으로서 소년의 인생을 구제한다.
나카타 노인에 의해 죽은 조니 워커는 전쟁과 악을 상징했고 전쟁을 진행시켰던 일본 제국주의의 또 다른 표상이었다.
이 텍스트에서 ‘피’는 죽음과 전쟁을 표상하면서 동시에 생명과 재생을 위한 매개물로 기능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루키는 데뷔한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일본인과 일본사 회가 갖는 정신적 공허 상태를 자신의 작품에서 병리적 인물들로 조형해 내고 있다.
이 텍스트에서 등장인물들은 일본이 진행한 태평양전쟁과 1968년 학원투 쟁으로 희생되었던 사람들을 병리적 인물로 형상해 내면서 하루키는 일본인들 의 가려진 암부를 계속적으로 해부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작품의 주인공 카프카 소년의 행동양상을 통해 현재 자본주의 구조하에서 가족의 폭력과 해체로 정신적 문제를 안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치유와 상생을 위한 화두를 제시하며 자 신의 문학세계를 견고하게 구축해 왔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참고문헌】
강윤경(2022)「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노르웨이의 숲(ノルウェイの森)』론」『일본어문학』제96집, 일본어문학회, pp.219-241.(DOI: 10.21792/trijpn.2022.96.010) 고모리 요이치(2007) 『무라카미 하루키론《해변의 카프카》를 정독하다』 고려대학교출판부, pp.7-8. 리사 코헨저· 이아린옮김(2020) 『한권으로 끝내는 심리학』지브레인, p.215. 조주희(2021) 『하루키의 삶과 작품세계』북스타, pp.311-320. 한송이(2018) 「해리성 정체성장애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 소설 『빌리 밀리건』을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석사논문, p.2. 淺利文子(2013)『村上春樹 物語の力』翰林書房、p.119-144. (2016)「『海辺のカフカ』責任と救濟 : 複式夢幻能の影響」『異文化 論文編』17、法政 大學學術機關リポジトリ、pp.311-335. 遠藤伸治(2008)「村上春樹の『海辺のカフカ』論-性と暴力をめぐる現代の神話-」國文學攷199、広 島大學國語國文學會、p.5. 內堀麻衣(2017)「解離性同一性障害における內的世界の構造と場所の機能」『東京女子大學 紀要 論文』 68卷1號、東京女子大學、p.220. 加藤典洋(2020)『村上春樹は、むずかしい』岩波新書、pp.198-199. 小島基洋·靑柳 平(2009) 「『海辺のカフカ』論 - 迷宮のカフカ - 」『札幌大學外國語學部紀要』 70、文化と言語、pp21-33. 柴田勝二(2008) 「殺し、交わる相手 -『海辺のカフカ』における過去-」『東京外國語大學論集』 76號、東京外國語大學、pp.272-273. 數井裕光·武田雅俊(2009) 「健忘症君の診かた」高次腦機能硏究 第29卷 第3號、大板大學、 p.15. 高橋龍夫(2021) 「<論考>『海辺のカフカ』論 -方法としての歴史性- 」MURAKAMI REVIEW 3、 京都大學大學院 人間·環境硏究科、pp.44-45. 村上春樹(1990)『村上春樹全作品1979-1989⑥』講談社、p.188. (2002)『海辺のカフカ下卷』新潮社、p.291. 山根由美惠(2017) 「生き直される「サバイバー」の生 : 村上春樹『海辺のカフカ』論」『近代文學 試論』 55、廣島大學學術情報リポジトリ、pp.39-53. 芳川泰久(2010) 『村上春樹とハルキムラカミ-精神分析する作家』ミネルヴァ書房、p.166.
<日文抄錄>
村上春樹の文学に表象された精神病理的な人物たち ―『海辺のカフカ』の登場人物たちを中心に ―
康允暻
本硏究では村上春樹の『海辺のカフカ』の主人公である田村カフカと佐伯という女性の病理的樣相に注目してみ た。登場人物たちの病理性は『海辺のカフカ』という作品のみらなず春樹の文学によく見られる。どうして春樹という作 家は病理的な人物を造形し、病んで、死ぬ物語の構造を反復的に用いて小說を書いてきたんだろうか。このプレセス を通じて春樹の文學は死んだ人を鎮魂し、生き残された人のために救援を与える力を持っていることが発見できる。『海 辺のカフカ』の主人公であるカフカ少年が四歳の頃、母親が家出してから、母から棄てられたという感情が形成し、残 された父親からは、<お前はいつか自分の手で父を殺し、母と交わることになる>という豫言を聞きながら成長をする。少 年はこの言葉によって心に傷を負いつつ、カフカは友人を作らず自身の世界に閉じこもり、病理的な人物になる。また、 カフカと分身関係として知的障害者であるナカタ老人が登場し、カフカ少年と分身關係を通じて、カフカ少年を救援す る。 本硏究を通じて『海辺のカフカ』というテクストが回復と再生の物語であることと作家にとっても再生の方法を提示した ことを明らかにした。
主題語 : 直子, 死 , 解離性 同一性 障害, 空間 , 再生
<Abtract>
Psychopathological Characters Represented in the Literature of Murakami Haruki ―Focusing on the characters in Kafka on the Shore― Kang, Yoon-Kyung This study focuses on the pathological aspects of Tamura Kafka and Saeki, the main characters in Kafka on the Shore , among Murakami Haruki's works. Not only in , Kafka on the Shore the pathology of the characters appears frequently in Haruki's literature . Why did the writer Haruki mold a pathological character and repeatedly use the structure of a story in which a character suffers from mental problems and then dies in his novels? It is discovered that, through this process, Haruki's literature has the power to requiem the dead and give salvation to the survivors. Kafka boy, the protagonist of Kafka on the Shore , develops feelings that he has been abandoned by his mother because his mother left home at his age of four, and grows up hearing a prophecy from his father who remains that “You will one day kill your father with your own hands and have sex with your mother.” The boy becomes a character with pathological tendencies of being unable to make friends, withdrawing into his own world and being violent towards his friends, as he develops a wound in his heart because of those words. In addition, as an alter ego of Kafka boy, an intellectually disabled old man Nakata appears and rescues Kafka boy from the autistic mental world. In this study, it is clearly shown that the text Kafka on the Shore is a story of recovery and regener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also suggested a method of regeneration to the author as well.
Key word : Naoko, death, Dissocitive Identity Disorder, Space, Reborn
논문 투고 일자 : 2023. 08. 31. 논문 심사 일자 : 2023. 10. 17. 게재 확정 일자 : 2023. 11. 02. 1
日本文化學報 第99輯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전쟁 기억과 역사 내러티브의 문학적 특질 -패전의 기억을 중심으로-/신현선.전북대 (0) | 2024.10.10 |
---|---|
2000 년대 이후 중국 정성공 영상 콘텐츠에 나타난 정지룡(鄭芝龍)·정성공(鄭成功) 부자 양상 비교:명·청 교체기를 바라보는 오늘날 중국의 관점을 중심으로/김여주.고려대 (0) | 2024.10.10 |
모리사키 가즈에(森崎和江)의 작품에 나타난 식민지 ‘대구’의 공간표상- 『경주는 어머니가 부르는 소리: 나의 원향』을중심으로 - /박승주.영남대 (0) | 2024.10.10 |
함형수 시 연구 -만주 이주 이전의 작품을 중심으로-/고봉준.경희대 (0) | 2024.10.10 |
박노해 시의 변모와 항상(恒常)-‘反자본주의’를 중심으로-/최명국.대전대 (0) | 202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