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이야기

찰스 피니의 부흥신학과 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평가/유창형.칼빈대

[한글초록]

부흥은 기독교 역사에서 항상 중요한 주제였다. 더욱이 한국교회의 규 모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부흥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세기 미국 부흥 운동의 주역인 찰스 피니의 부 흥신학과 방법론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 다.

피니의 부흥 운동은 그의 신학과 새로운 방법론으로 기독교인의 수를 크게 늘렸고 노예제 폐지, 여성의 권리 확대 등 미국 사회에 엄청난 영향 을 미쳤다.

그러나 피니의 신학은 칼빈주의에서 알미니안주의로 바뀌었 고, 그의 방법론은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이는 피니가 그 시대의 흐름에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하며, 개혁신학의 관점에 따라 그의 부흥신학과 방 법론을 적절히 분석하고 평가할 것을 요구한다.

피니는 인간의 완전한 타 락은 부정하고 부흥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보다 인간의 역할을 중시했다. 이러한 측면은 개혁신학에 비추어 비판되어야 한다. 부흥에 있어서 인간 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하나님의 주권을 더 중시했던 에드워즈의 노선을 따르는 것이 개혁파 신학의 입장이다.

[주제어: 찰스 피니, 부흥, 부흥방법론, 칼빈주의, 알미니안주의, 자유의지]

 

 

Ⅰ. 들어가는 글

 

미국 2차 대각성 운동(1822-1842) 제3기의2) 중요한 멤버로서 찰스 피 니는(Charles G. Finney, 1792-1875) 한국 개신교 진영에서 유명하고 잘 알려져 있다.3)

피니의 영향력은 엄청나지만, 그의 신학과 방법론에 대해 서는 찬반 양론이 있다.4)

 

     2) 맥룰린은 제2차 대각성 운동을 3단계로 분류하였다. 제3단계의 주요 인물은 찰스 피니며, 그의 새로운 방법론은 새학파 신학과 노선을 같이하면서 알미니안 부흥운동을 수행했다. William G. McLoughlin, Jr. Modern Revivalism: Charles Grandison Finney to Billy Graham (New York: The Ronald Press Company, 1959), 12-14.

     3) Sidney E. Ahlstrom, A Religious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72), 461. 그는 피니를 “미국 역사에 매우 중요한 인물”로 평가한다.; Eric C. Miller 또한 “미국 역사에서 아마도 찰스 피니보다 더 영향력 있는 단 하나의 인물은 없을 것”이라고 한다.

     4) 피니의 반대자들은 Lyman Beecher (1775-1863), Asahel Nettleton (1783~1844), Charles Hodge 등이 있다. McLoughlin Jr. Modern Revivalism: Charles Grandison Finney to Billy Graham, 32; 후에 비처는 피니의 부흥 노력을 하나님의 위대한 사역이며 가장 위대한 종교부흥으 로 인정했다. E. S. Moyer, Great Leaders of the Christian Church (Chicago, Moody Press, 1959), 456; 피니의 옹호자들로는 Daniel Nash (1775-1831), Nathaniel S. Smith (1762–1822), Nathan S. Beeman (1785-1871) 등이 있다. 

 

미국 교회의 부흥 운동에 대한 피니의 막대한 공 헌에 근거하여 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학자들 중에는 박명수와 김대진이 있다.

박명수는 피니가 예정론에 빠져 비관적인 경향이 있던 정통 칼 빈주의의 오류를 극복했고, 알미니안 복음주의의 승리를 가져왔다고 평가 했다.5)

나아가 박명수는 피니를 그 시대의 요구를 따라서 복음주의의 새 로운 방법을 사용했던 위대한 부흥사라고 평가하였다.6)

김대진은 피니가 인간의 부패를 부인하지도 않았고, 오직 은혜가 죄인들을 구원한다고 했 으므로 알미니우스주의자도 아니고 펠라기우스주의자도 아니라고 하였 다.

또한 그는 피니가 구원이 아니라 성화에 관해 인간의 책임을 강조했다 고 옹호하였다.7)

반면에, 많은 학자들은 피니의 방법론을 비판하고 있다.

그중에 사무 엘 밀러(Samuel Miller, 1769-1850)는 “아무것도 회심보다 쉬운 것은 없 다” 혹은 “누구라도 하나님을 섬기기로 혹은 그리스도인이 되기로 결심한 다면” 중생이 발생한다고 하는 피니의 관점은 영혼의 대량 파멸로 이끈다 고 공격받았다고 진술하였다.8)

또한 조대준은 피니의 신학이 교회를 부흥 시키기 위한 실용적인 기독교를 목표로 하는 일종의 펠라기안 신학이라 고 비판하였다.9)

박용규는 피니의 신학이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칼빈주의보다 인 간의 의지를 강조하는 알미니안주의에 더 가깝다고 평가하였다.10)

박용규 는 피니가 부흥은 “하나님의 일이 아니고 사람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는 일”이라고 진술한 것을 주목한다.11)

 

       5) 박명수, “19세기 미국과 찰스 피니의 부흥운동 1“, 「활천」Vol. 520 (1997): 50-51.

       6) 박명수, “19세기 미국과 찰스 피니의 부흥운동 1“, 46-47.

       7) 김대진, 『부흥 찰스 피니에게 듣다』(용인: 목양, 2016), 243-44.

       8) Samuel Miller, Letters to Presbyterians, cited in Marsden, The Evangelical Mind and the New School Presbyterian Experience, A Case Study of Thought and Theology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Yale Publications in American Studies, 2003), 378-79.

      9) 조대준, 『크리스챤의 성화』(서울: 쿰란, 2004,), 154.

     10) 박용규, “19세기와 찰스피니의 부흥운동”, 「그말씀」 (1996, Nov.): 124-25.

     11) 박용규, “19세기와 찰스피니의 부흥운동”, 124.

 

동시에 그는 피니를 그의 엄청난 영향 때문에 부흥 역사에서 아주 중요한 인물이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박용규는 피니의 부흥운동을 성령의 결과라고 간주하였다.12)

 

     12) 박용규, 『세계부흥운동사』(서울: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08), 576. 

 

즉, 그는 피니가 부 흥 운동을 성령의 사역이라는 것을 부정하지 않았지만, 인간의 노력이 부 흥을 가져올 수 있다고 표현하였다고 간주했다.

박용규의 평가는 피니의 작품들을 통해 볼 때 균형을 잘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여러 가지 학자들의 다른 견해들 중 어느 견해가 타당하고 어느 견해가 타당하지 않는지를 피니 자신의 글로써 검증하고 분석하며 평가할 것이다.

연구 순서는 피니의 역사적 배경, 부흥신학, 새 방법론, 분석과 평가로 전개할 것이다.

방법론은 피니의 부흥신학과 방법 론에 대한 다양한 학자들의 견해를 피니 자신의 글과 비교하여 타당성 여 부를 평가할 것이며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피니의 신학을 분석 평가할 것 이다.

 

Ⅱ. 피니의 역사적 배경

 

피니의 부흥신학을 알려면 그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과 그가 영향을 받 았던 신학적 배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1. 시대적 배경

 

역사학자들은 미국의 정치적 상황이 피니의 신학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

자유의지와 자동적 회심에 관한 피니의 관점은 “시대 정신”의 영 향으로 보인다. 맥룰린은 피니의 부흥 사상이 본질적으로 미국 17대 대통 령, 잭슨의 민주주의 원리와 같다고 보았다.13)

 

      13) McLoughlin, Jr. Modern Revivalism, 86; James Barber, President (Neal Porter, 2000), 16. 

 

잭슨은 모든 인간이 사물들 의 본성을 파악할 수 있다고 믿었다.

피니는 또한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의지의 능력은 인간 안에 살았다고 믿었다.

잭슨의 생각은 뉴헤이븐 사상과 맞물려 피니에게 영향을 주었다. 19세기 초기에, 장로교 신파의 신학 노선은 그 시대에 팽배한 사회적 흐름을 타고 있었다.

사무엘 베어드(Samuel J. Baird, 1817-1893)는 찰스 피니의 “행동 체계는 뉴헤이븐 신학으로부터 기인했다”고 주장했다.” 14) 뉴헤이븐 신학은 예일대학 교수 나다나엘 윌리엄 테일러에 의해 시작되 었다.

양낙흥은 피니의 신학방법론이 테일러와 매우 유사하다고 간주한 다.15)

신파는 자유의 존엄, 인간의 능력을 확신하고 있었고, 그런 확신은 잭슨과 에머슨 시대의 주류 운동의 특징이었다.16)

피니에게 영향을 끼친 다른 사상은 상식 철학이었다.

상식 철학은 상 식을 신뢰하는 사상이다.

진리는 보통 사람들의 합리적 이성에 의해 발견 된다. 다시 말하면, 그것은 보통 사람들이 진리를 이해할 수 있고, 복잡한 신학 사상보다는 성경을 읽음으로써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그 당시의 칼빈주의는 예정론 때문에 운명론적이었고, 칼빈주의 설교자들은 사람은 중생이나 회심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가르쳤다.

따라서 죄인은 수동적으로 하나님께서 역사하실 때까지 기다려야만 했 다.

피니는 이런 경향이 부흥에 심각한 방해가 된다고 믿었다.17)

 

     14) Samuel Baird, A History of the New School, and of the Questions Involved in the Disrup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1838 (Philadelphia: Claxton, Remsen & Haffelfinger, 1868), 234.

    15) 양낙흥, “나다나엘 테일러의 회심 신학과 현대 복음주의 부흥설교”, 「역사신학」, 24권 (2012): 66.

    16) Marsden, The Evangelical Mind and the New School Presbyterian Experience: A Case Study of Thought and Theology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Eugene, Oregon: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3), 58.

     17) Finney, Principle of Sanctification, compl. & ed. Louis G. Parkhurst. Jr. (Minneapolis, MI: Bethany Publisher, 1986), 17. 

 

피니는 하나님께서 인간의 마음에 도덕법을 두셨다고 믿었으며, 이 도 덕법은 성경과 매우 다르다고 생각했다.

피니에게 믿음은 궁극적으로 마 음의 양심이며, 성경에 복종하려는 결정이다.

나아가서, 그는 인간은 그 런 결정을 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런 식으로 상식 철학은 중생과 회심은 하나님의 법에 복종하려는 인간의 자발적인 결정에 의해서 발생한다 는 관점을 피니가 갖도록 영향을 미쳤다.18)

 

    18) Finney, Principle of Sanctification, 17.

 

2. 피니가 끼친 영향

 

첫째, 많은 사람들은 피니의 사역을 통하여 회심의 심오한 은혜를 경 험하였다.

학자들은 최소 오십만 명이 피니의 사역 결과로 구원받았다고 추측한다.19)

그의 부흥 사역 동안에 그의 설교는 매우 영향력이 있어서 회 심자들의 85%가 전문직이 되었고, 그들의 믿음을 유지했다.20)

그의 설교 는 죄인들의 양심을 찔렀고 죄책을 느끼게 했으며 그들의 동기와 행동을 완전히 드러냈다.21)

그것들은 대부분의 부흥 운동에 공통적인 회개 운동 을 일으켰다.

결과적으로, 사악함, 성적 부도덕, 젊은이들의 비행, 안식일 어김 등은 제거되었고 절제와 평화가 증진되었다.22)

둘째, 피니는 오벌린 대학에서 남녀공학을 시작했고, 여권의 신장에 크게 기여했다.23)

1848년에 결혼한 피니의 두 번째 아내인 어킨슨은 성인 남성들이 포함된 집회를 인도했고, 비록 그 당시에 보수주의자들이 편견 을 갖고 있었지만, 피니는 거의 저항받지 않았다.24)

 

     19) E. S. Moyer, Great Leaders of the Christian Church, 457.

     20) Finney, Finney’s Systematic Theology, ed. J. H. Fairchild (Minneapolis: Bethany House, 1994), xiii.

     21) Ralph G. Turnbull, A History of Preaching, Vol. 3 (Michigan: Baker Book House, 1974), 88.

    22) Williston Walker,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3rd ed,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69), 510.

    23) Mark A. Noll,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Grand Rapids, MI: W.B. Eerdman Publishing Co., 1992), 176

     24) Finney, Memories of Rev. Charles G. Finney, 412.

 

이런 관점에서, 피니 는 여성 사역자들의 역할에 관해 중대한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셋째, 그의 부흥 운동은 노예제도 폐지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 다.

피니는 노예제도 폐지 정서를 확산시켰던 시어도어 드와이트 웰드 (Theodore Dwight Weld, 1803-1895)를 개종시켰다.

넷째, 피니의 부흥 운동은 평신도 사역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들 중 대표적인 사람은 무디다.

무디는 후에 제3차 부흥 운동의 선구자가 되었 다.25)

평신도의 리더십은 2차 대각성 운동의 특징이 되었다.26)

 

    25) 백낙준, 『한국개신교회사』(서울: 연세대출판사, 1973), 73.

    26) Walker,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3rd ed., 508.

 

다섯째, 부흥 운동의 여파로 회중교회, 장로교회, 감리교회, 침례교회 는 나뉘었다.

비록 이단들의 발흥이 피니의 부흥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 만, 안식교, 여호와증인, 몰몬교, 크리스챤 사이언스와 같은 이단들이 이 시기에 나타났다.

 

III. 피니의 부흥신학

 

피니의 부흥신학을 알기 위해서는 그가 말하는 부흥의 정의, 인간의 부패성과 자유의지, 완전성화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1. 부흥의 정의

 

피니는 종교가 “사람의 일”이라고 진술했다.

여기에서 종교는 부흥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는 “그것은 사람이 행하는 어떤 것이다. 그 것은 하나님께 복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사람의 의무다”라고 주장했다.27)

 

     27) Finney, Revival Lectures, 1.

 

이런 진술은 우리에게 부흥은 인간의 일이라고 정의하려는 그의 경향을 보여준다.

비록 피니는 부흥에서 성령의 역할을 부인하지는 아니했지만.

피니는 부흥을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정의했다.

첫째, 참된 부흥은 죄 에 대한 깊은 확신으로 귀결된다.

둘째, 자신의 죄를 회개하는 사람은 타 락한 그리스도인들이다.

셋째, 신자는 자신의 믿음을 새롭게 한다.

넷째, 부흥은 “그리스도인에 대한 세상과 죄의 권세를 깨뜨린다.”

다섯째, “깨지 고 변화하는 것”은 죄인들의 심령이다.28)

에릭 밀러(Eric Muller)는 “부흥을 타락한 신자들의 그룹에 종교적 열정 이 갑작스럽게 주입되는 것이며, 부흥 운동은 설교, 기도, 관련된 수단들 을 통하여 그런 주입을 진척시키는 협력된 노력”이라고 정의한다.29)

논자가 보기에, 밀러의 정의는 부흥과 부흥 운동에 관한 피니의 개념과 일치한다. 피니는 부흥이 기적이 아니며, “전적으로 본성의 능력을 바르게 사용 하는 것으로 이뤄진다”고 확신했다.

부흥은 “구성된 수단들의 바른 사용 의 순수한 철학적 결과”다. 사도들의 부흥은 기적과 관련이 있지만 부흥 그 자체는 기적이 아니다.

비록 피니가 하나님께서 주신 수단이 하나님의 은혜 없이는 부흥을 가져올 수 없지만, 그것은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가 아 니며 자연법과 거의 같은 일반 은혜라고 강조했다.30)

다른 말로 하면, 부 흥의 수단을 사용하는 것은 농부가 들에 씨를 뿌리는 것과 유사하다.

만약 농부가 곡식을 뿌리면, 그 곡식의 채소를 거두는 것과 같이, 우리가 부흥 의 수단을 사용한다면, 부흥의 열매를 얻을 수 있다.31)

 

       28) Finney, Revival Lectures, 7-8.

       29) Eric C. Miller, “The Means of Revival: Charles Grandison Finney’s Rhetoric Theory, 71.

       30) Finney, Revival Lectures, 4-5.

       31) Finney, Revival Lectures, 5.

 

2. 인간의 부패성과 자유의지

 

피니는 도덕적 부패가 인간의 본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자발적이고 책임 있는 선택”에 있다고 믿었다.32)

죄가 인류에게 그렇게 자연스 러운 이유는 “그들의 본성이 그 자체로 죄가 있기 때문이 아니라 욕구와 열심히 너머 강하게 자기만족의 경향이 있기 때문이지만......죄 자체가 이런 욕구와 성향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은 아니며 의지가 탐욕에 자발적 으로 굴복하는 것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33)

사람은 자유의지를 갖고 있기에, 하나님께 복종하기를 선택할 수 있 다. 그러므로 죄인은 단지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을 뿐이다.

피니에 따르 면, 중생과 성화는 “성령이 하나님과 영적인 세계, 그리고 우리의 더 높은 본성과 관련된 모든 부류의 대상들을 계시하여 이성을 의지의 통제 아래 두는 것이다.” 34)

개혁신학과 피니의 신학의 차이점은 전자에서 중생의 주체가 오직 하 나님인데 반해 후자에서는 하나님과 인간의 의지라는 것이다.35)

만약 누 군가 인간의 의지의 역할을 부인하고 수동적으로 남아서 하나님께서 자 신을 중생시키실 때까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부흥을 대적하 는 것과 같다.36)

이런 식으로 인간의 부패와 부흥에 대한 피니의 관점은 개혁파의 관점 과 다르다.

그는 죄인들조차도 중생하고 회심하기 위한 자유의지를 갖고 있다고 믿었다.

비록 그가 회심은 성령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할지라도, 그 는 회심을 위한 죄인의 능력과 승리하는 기도의 효율성 또한 강조함으로 써 개혁신학자들의 적이 되었다.37)

 

     32) Finney, Finney’s Systematic Theology, 236

     33) Finney, Finney’s Systematic Theology, 257

     34) Finney, Finney’s Systematic Theology, 258

     35) Finney, Finney’s Systematic Theology, 284.

     36) Finney, Finney’s Systematic Theology, 285. “It is of a most fatal tendency to represent the sinner as under a necessity of waiting to be passively regenerated before he gives himself to God.”

     37) Larsen, Biographical Dictionary of Evangelicals, 227. 

 

또한 피니는 중생, 회심, 성화를 같은 용어로 보았다.38)

그에게 중생과 회심은 “인간과 신적인 행위의 순간적인 역사를 의미한다.”

하나님께서 죄인에게 죽은 자들로부터 일어나라고 명 령하실 때, 죄인은 듣고 생명으로 나온다.39)

피니는 회심에서 의지의 결정에 큰 중요성을 두었다.

그는 죄인이 회 개할 능력이 없기에 자신을 회심시키기 위해 하나님을 기다리라고 말하 는 것은 잘못된 것으로 간주했다.40)

피니는 그들이 회개하도록 요청할 때 즉각적으로 복종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죄인들에게 하나님께 즉각적으 로 순종하라고 요구함이 없이 회개할 능력을 달라고 기도하는 목회자들 을 혹독하게 비판했다.

왜냐하면 그것은 하나님께 복종할 인간의 책임을 박탈하고 하나님을 모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피니는 우리가 우리 죄를 깨달은 후에도 회개하지 않고, 회개할 능력을 주시도록 하나님을 기다리 는 것은 신학이 부패했기 때문이라고 진술했다.

피니는 인간이 항상 회개 할 능력이 있다고 믿었다. “우리는 도덕적 행위자로서, 하나님께 복종할 능력이 있으며 완전히 복종할 수 있다.” 41)

이런 관점은 ‘의지가 노예 상태 에 결박’되어 있다고 강조하는 칼빈주의의 전적 부패 교리와 반대되는 것 이다.

피니는 죄를 사람이 하나님의 뜻을 자발적으로 위반하는 것으로 보았 다. 그는 인간의 신체와 마음의 부패,

즉 인간의 본성이 죄성이 있다고 보 지 않았다.

사람은 죄의 유혹에 자발적으로 복종할 때만 죄를 범한다. 결 과적으로 피니의 관점이 거의 펠라기안 인간론이라고 보인다.42)

 

    38) Finney, Finney’s Systematic Theology, 258. “I use regeneration and conversion as synonymous terms.”

    39) Finney, Finney’s Systematic Theology, 284.

    40) Finney, Revival Lectures (Grand Rapids, MI, Fleming H. Revell, 1995), 423.

    41) Finney, Reviva Lectures, 401.

    42) 실제로, 피니는 구프린스턴 신학자들로부 강하게 비판받았다. 박용규, 『세계부흥운동사』, 579; James I. Packer, A Quest for Godliness: The Puritan Version of the Christian Life (Wheaton: Crossway Books, 1990), 299.

 

피니가 프린스턴에서 공부하기를 거절한 것은 그 학교 출신의 목회자들이 예정론과 전적부패에 지나치게 경도되어서 전도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43)

그는 부흥이 발생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칼빈주의 목회자들 이 자신들의 역할을 행하지 않고 부흥이 단지 하나님의 손에 달려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믿었다.44)

“여러분들은 부흥이 없는 이유를 알고 있 다. 그것은 단지 당신들이 부흥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당신들은 부흥 을 위해 기도하지 않고 부흥을 열망하지도 않으며 부흥을 위해 노력하지 도 않는다.” 45)

피니는 또한 교회의 연합을 부흥의 중요한 원으로 고려했다.46)

요약하면, 피니는 부흥의 더욱 중요한 원인으로 인간의 의지를 하나님 의 주권보다 더 강조했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칼빈주의보다 알미니안주 의에 가깝다.

그러나 그는 부흥이 성령의 사역이라는 것을 부인하지 않았 다.47)

이런 관점은 피니가 성령의 능력으로 부흥운동을 이끌었다는 박용 규의 관점과 유사하다.

논자의 견해로는, 피니가 성령의 인도와 인간의 자 유의지를 거의 동등하게 강조하였다.

피니는 성령의 임재를 위해서 신자는 성경에 쓰인 방법을 따라서 기도해야만 하며, 동시에 신자는 성령이 자신 을 기도하도록 이끄실 때, 성령의 인도에 복종해야만 한다고 진술했다.48)

 

       43) Finney, The Autobiography of Charles G. Finney (Minn., Minnesota: Bethany House Publishers, 2006), 48-49.             44) 박용규, 『세계부흥운동사』, 578.

      45) Finney, Revival Lectures, 34.

      46) Finney, Revival Lectures, 345.

      47) Finney, Revival Lectures, 93-135. 여기서 피니는 “the Spirit of Prayer and On Being Filled with the Spirit”를 길게 다루었다. 그러므로 피니가 중생, 회심, 부흥에 관해 성령의 역할을 경시 했다는 것은 틀린 주장이다.

      48) Finney, Revival Lectures, 134. 

 

 

3. 완전성화(완전주의)

 

완전성화에 대한 피니의 교리는 신자가 자신들의 죄를 회개할 수 있게 하고 죄를 완전히 버리며 새로운 삶을 살게 하는 부흥 운동과 밀접한 관련 이 있기에 이 논문에서 다룰 필요가 있다.

피니는 완전 성화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전 존재의 하나님께로의 성별. 다시 말하면, 그것은 도덕법에 요구된 하나님과 그를 섬기 위해 헌 신된 상태다. 완전성화나 완전은 율법에 대한 복종이외에 아무것도 아 니다......완전은 이것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나 그 위에 있는 것도 아니 다.” 49)

피니는 웨슬리의 책,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관한 논문”의 영향으로 완 전성화를 이룰 수 있다고 가르쳤다.

그리스도인의 삶이 더 높고 더 완전한 삶의 형태를 얻는 것이고, 이것이 그리스도인의 특권이라고 했다.50)

임경 근은 피니가 성화를 강조한 것이 웨슬리의 사상을 미국의 상황에 적용한 것으로 보았다.51)

역사적 상황을 고려한다면 임경근의 관점은 타당하게 보인다.

성령세례를 강조하면서, 피니느 완전성화를 체험적인 믿음이 그리스 도의 완전한 성품으로 인도하는 것으로 간주했다.

완전성화에 대한 이런 개념은 두 가지 측면을 갖는다. 첫째, 하나님께 대한 복종과 헌신, 둘째, 계속적인 삶 속에서 헌신과 복종.52)

완전 성화는 완전한 상태에서가 아니 라 죄의 유혹과 끊임없이 싸우면서, 은혜 가운데서 계속 성장하는 것을 의 미한다.53)

 

     49) Finney, “The Oberlin Evangelist” Lectures I – IX, Sanctification, https://www.whatsaiththescripture.com/Voice/Oberlin_1840/OE1840.Sanctification. html. 2024.5.21.

    50) Finney, Memories of Reverend Charles G. Finney (Scotts Valley, CAL: Create 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7), 340.

     51) 임경근, 『세계교회사 걷기』 (Seoul: Duranno, 2019), 308.

     52) Finney, Finney’s Systematic Theology, 341.

     53) Charles Finney, Principle of Holiness, ed. Louis G. Parkhurst. Jr. (Minneapolis: Bethany House Publisher, 1980), 151. 

 

“쓰인 율법에 완전히 복종하는 것을 목표로 하라.”

그는 우리가 죄와의 관계를 완전히 끊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너희는 너희 하늘 아버지가 완전하신 것처럼 완전하라.”

“이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 사람은 죄 가 운데 사는 것이다.” 54)

많은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피니의 완전성화가 많은 그리스도인들의 삶을 변화시켰다는 것을 인정한다.55)

문제는 완전성화가 이생에서 불가 능하다는 것이다.

개혁파 신학자들은 피니가 완전성화를 강조한 것을 공 격했다.

특별히 찰스 하지(Charles Hodge, 1797-1878)56)와 루이스 벌콮 (Louis Berkhof, 1873-1957)57) 피니의 완전 성화를 강하게 비판하였다.

하지는 “죄의 본성, 인간의 능력, 율법에 관한 의무의 범위에 관해” 오 벌린 신학자들이 펠라기안과 유사하다고 비판했다. 동시에 하지는 그들 사이의 차이점을 지적했다.

전자는 성화에서 성령의 사역을 인정하지 않 지만, 후자는 인정한다.

또한 “비록 사람들은 자신들이 완전한 의무를 행 할 수 있을지라도, 하나님의 은혜에 감화받지 않는다면, 그것을 바르게 행 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니에게 완전 성화에서 성령의 역사 보다 인간의 일에 더욱 강조점이 놓여있다.58)

나아가서, 하지는 피니의 완전주의를 두 가지로 비난하였다.

하나는 행동이 결함이 있어서 하나님의 용서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완전하다고 말하는 것이 모순이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어떤 완전한 사람도 심판의 기준을 자신의 기준까지 낮추기까지는 자신을 완전하다고 간주할 수 없 다는 것이다.59)

 

     54) Finney, Finney’s Systematic Theology, 106.

     55) 김기홍, 『이야기 교회사 하』(Seoul: Duranno, 1994), 197.

     56) Charles Hodge, Systematic Theology, vol. 3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reprint., 1977), 255-58.

     57) Louis Berkhof, Systematic Theology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1996), 537-540. 여기에서 그는 완전주의를 길게 비판하였다. 벌코프는 피니를 포함한 오벌린 신 학자들이 “이런 율법의 요구들을 인간의 부패한 능력과 현재 능력에 적응시키는 것을 허용했다”고 진술했다”(538).

     58) Hodge, Systematic Theology, vol. 3, 257.

     59) Hodge, Systematic Theology, vol. 3, 258.  

 

요약하면, 완전 성화에 관한 피니의 관점은 성령의 사역보다 인간의 사역을 더 강조한다는 점에서 개혁파 관점과 다르다.

 

IV. 피니의 새 방법론

 

피니는 하나님이 부흥을 위한 특별한 방법체계를 만들지 않았으며 자 신이 점차 일련의 새로운 방법들을 만들었다고 한다.60)

세상은 유혹으로 가득 차 있으며 우리는 그것들을 대적할 새로운 수단들을 고안하고 채택 해야만 한다.61)

 

     60) Finney, Revival Lectures, 280.

     61) Finney, Revival Lectures, 309. 

 

비록 이런 수단들이 오늘날의 기준에서 보면 통상적인 것 이지만, 당시에는 매우 많은 논쟁을 야기했다.

그 방법론 중에는 상담전도 집회, 연장 집회, 구도자석, 감정에 호소함 등이 있다.

 

1. 상담전도집회(Anxious Meeting)

 

피니는 뉴잉글랜드 교회들이 그리스도를 찾는 죄인들과 상담하고 서 로 상의하며 그들을 즉시 그리스도에게 인도하는 집회를 개최한다는 소 식을 들었다.

상담전도 집회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각 개인들의 마음 상태를 알기 위해 개인적인 대화를 잠시 한 후에 전체 집회에서 연설할 때 그들의 오류를 찾아서 그들의 어려움을 제거함으로써

 (2) 각자에게 돌아가면서 각 개인의 사안을 찾고, 개별적으로 전반적인 이유 를 정검하고 그들을 하나님께 드리기로 약속하도록 함으로써.62)

 

    62) Finney, Revival Lectures, 296. 

 

그러나 피니는 비록 이런 방법들이 성공적인데도 많은 사람들이 그것들을 비판했다고 개탄했다.

논자가 보기에 이런 방법은 나쁘거나 잘못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2. 연장 집회

 

연장 집회의 목적은 여러 날 동안 영적인 일에 사람들을 몰두하게 하 는 것이다.

피니는 이 집회를 위해 다음과 같이 일종의 지침을 세웠다.

첫째, 회중이 연장 집회를 개최하기에 시기가 적합한지 살펴보라.

농부들이 씨를 뿌리는 때, 상인들이 무역할 때는 집회를 피하라.

둘째, 가능하면, 연장 집회는 집회에 참석하는 사람들을 이해하는 같은 목사에 의해 인도되어야 한다.

셋째, 너무 자주 모여서 공공집회가 가족들의 의미나 개인기도 시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라.

넷째, 너무 많은 연회를 함으로 기도나 다른 의무를 경시하지 않도록 하라.

다섯째, 불필요하게 너무 오래 밤에 머무르지 않도록 주의하라. 그러면 상처받기 쉽다.

여섯째, 어떤 분파주의에도 빠지지 말라.

일곱째, 연장 집회가 자동적으로 부흥을 가져 준다고 기대하지 말라. 여덟 째, 부흥이 연장 집회 없이 기대될 수 없다고 생각하지 마라.63)

 

     63) Finney, Revival Lectures, 296-302. 

 

논자의 견해로는, 피니의 연장 집회와 지침은 합리적이고 지혜로운 것 같다.

 

3. 구도자석(Anxious Seat)

 

피니는 구도자석을 “집회 장소에서 특별한 자리로, 거기에서 열망하는 사람들이 와서 특별히 설교를 듣고 기도의 대상이 되며, 때로는 개별적으로 대화하는 좌석”으로 정의했다.” 64)

요즘에는 많은 부흥 운동이 피니의 방법을 극렬히 반대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많은 논란이 있었다. 피니 또한 “이런 수단은 어느 다 른 것보다 많은 반대를 직면했다”고 고백했다.65)

그때, 청교도 목회자들은 구도자들에게 예수님을 영접하라고 강요하기보다는 예수를 찾으라고 조 언했다.

개혁파 신학자들은 그런 방법은 죄인들이 “망상과 거짓된 희망을 갖게 만든다”고 비난했다.66)

그럼에도, 피니는 두 가지 목적을 위해 구도 자석을 준비했다.

하나는 구도자가 그 의자에 앉음으로 자신의 교만을 던 져버리고 마음을 열어 “회심을 향한 중요한 전기를 얻는 것이다.” 67)

다른 하나는 거짓말과 망상을 발견하여 헛된 소망으로부터 자유하게 하는 것 이다.

구도자석에 앉는 것은 하나님 편에 서는 것이다.

그것은 믿는 자가 세례를 받는 것과 비슷하다. 모이어는 피니의 구도자석을 부흥의 효과적인 수단으로 평가했다.68)

 

     64) Finney, Revival Lectures, 302-03.

     65) Finney, Revival Lectures, 302.

     66) Finney, Revival Lectures, 303-04.

     67) Finney, Revival Lectures, 303-04.

     68) Elgin S. Moyer, Great Leaders of the Christian Church (Chicago: Moody Press, 1959), 456. 

 

모이어의 평가는 다소 그럴듯하지만, 논자가 볼 때, 부작용은 구도자석에 있는 사람이 수치심을 느끼게 하고 강요에 의한 거짓된 회심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4. 감정에 호소함

 

피니는 감정을 자극함으로 청중을 움직이려고 시도했다.

그는 “인간은 자극받을 때 행동한다”고 믿었다.69)

 

    69) Kenneth Curtis, The 100 Most Events in Christian History, 153. 

 

이런 목적으로 그는 자신의 설교에서 대화체를 사용하여 큰 영향을 미쳤다.70)

즉, 피니는 집회를 인도하기 위해 신랄한 구어체를 사용했다.71)

그는 하나님께서 자극하는 방법을 사용해서 사람들이 하나님의 법에 순종하도록 한다고 주장했다.

사람들은 영적으로 나태하고 하나님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어서, 그들은 자극받아 일깨워질 필요가 있다.

물론, 피니 는 자극 자체는 영적인 것이 아니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세상의 정욕에 빠진 사람들을 자극해서 세속적 욕망을 제거하고 그들이 하나님께 복종 적이 되도록 영적으로 일깨울 필요성을 인정했다.

다시 말하면, 피니는 교 회가 파괴적인 세력이 강한 시대에 특별한 자극이 없이는 교회가 성장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했다.

하나님께서는 사람들이 자극받지 않으면 움직 이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죄인들의 감정을 자극하심으로 복종하게 하신 다.72)

 

   70) Finney, Revival of Religion, 233.

   71) Walker,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3rd ed., 508.

   72) Finney, Revival Lectures, 2-4. 

 

피니는 이런 방법이 천년왕국이 올 때까지 계속 사용될 것이라고 예 견했다.

 

5. 방법론에 대한 초기의 반성

 

1845년에 피니는 “성령의 임재와 능력의 필요성을 모르고 있던 많은 사람이 그 방법으로 자극을 받아 희망적으로 흥분하곤 했다”고 진술했 다.73)

피니는 또한 방법과 수단들을 사용하는 것이 힘 있는 부흥 운동이 아닌 특이한 흥분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그것은 순전한 부흥이 전혀 아 니고 회개한 것처럼 보이는 거짓된 부흥이라고 고백했다.74)

 

    73) Finney, Reflection on Revival, ed. Donald Dayton (Minneapolis: Bethany House Inc., 1979), 17-18.

    74) Finney, Reflection on Revival, 60. 

 

나아가서, 그 는 이런 통제된 수단과 방법들 때문에, 부흥이 지난 수년간 심히 쇠퇴해서 인위적으로 부흥을 일으키려는 이런 율법적이고 기계적인 방식으로 인해 참된 부흥의 영이 탄식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고백했다.75)

위의 진술은 1836년에서 1846년 사이에 피니의 사역 실패를 암시한다.

그러나 이런 고백들은 1846년판 󰡔조직신학강의󰡕에서 사라지고 그 흔적들 은 1866년 󰡔회고록󰡕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1866년부터 1868년까지 피니 는 자신의 교리적 개혁운동에 찬성하지 않는 모든 사람을 외면했다.76)

  

      75) Finney, Reflection on Revival, 102

     76) Ian Murray, Revival and Revivalism (Edinburgh: The Banner of Truth Trust, 1994), 294, 297.

   

그의 고백이 실천되었다면, 피니의 부흥 운동은 장로교 신학자들의 비 난에서 벗어나 균형 잡힌 운동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그 런 일은 발생하지 않았다.

 

V. 분석과 평가

 

1. 분석

 

피니는 뛰어난 부흥사임은 틀림없으나 그가 구도자들에게 회심할 것 을 강요한 것은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그런 강요는 의지에 대한 직접적인 압력을 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통상적인 순서에 의하면, 지성이 우선 진 리를 이해하고, 다음에 감정이 동의하며 마지막으로 의지가 결정하는데, 결단을 강요하는 것은 지성과 감정에 앞서 의지를 움직이려는 시도이기 때문이다.77)

 

     77) 로이드-존스도 논자와 같은 생각이다. D. M. Lloyd-Jones, Preaching and Preachers (London: Hodder and Stoughton, 1971), 271를 참조하라. 

 

만약 의지가 너무 많은 압력 아래 놓이게 되면, 사람들이 복 음을 영접하기 위해 앞으로 나오는 것이 진리에 대한 확신이나 동의가 아 니라, 설교자의 인품이나 율법의 정죄를 두려워해서 혹은 집회의 심리적 영향이나 회중의 기대 때문일 수 있다. 

로이드 존스는 집회에서 회심하도록 구도자들을 초대하는 “결단에의 요청”과 “구도자석”은 알미니우스를 따랐던 존 웨슬리조차 사용하지 않았 던 새로운 방법이라고 주장했다.78)

로이드 존스의 이런 진술은 웨슬리가 오랫동안 그런 방법을 사용했다는 이안 머리의 관점과 반대된다.79)

문제 는 분위기에 따라서 앞으로 나오는 이런 결단이 진리에 대한 참된 깨달음 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서 피상적인 회심에 이르게 된다는 점에 있다.80)

논자가 볼 때, 피니의 방법론은 구도자의 영들은 죄와 범죄로 죽어 있 다고 성경이 말하기 때문에 비성경적이다.

다시 말하면, 피니는 구도자들 이 자신의 의지로 중생하기로 결심할 때, 성령이 그들을 중생시킨다고 진 술함으로 전적 부패 교리를 부인하였다. 엄격히 말한다면 이것은 펠라기 우스의 관점과 유사하다.

물론, 피니는 중생과 회심에서 인간의 자유의지와 마찬가지로 성령의 사역을 말했다는 점에서 칼빈주의와 알미니우스주의 사이에서 균형을 이 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견해는 회심에서 인간의 자발적인 선 택이 성령의 사역보다 더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간주했다는 점에서 알미 니안 관점에 치우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피니가 부흥 집회의 성공과 실 패는 목회자들이 얼마나 그것을 잘 준비했는지에 달려있다고 진술한 데 서 증명된다.81)

 

   78) Lloyd-Jones, Preaching and Preachers, 270.

   79) 이안 머리는 이 구도자석이 어떤 메쏘디스트들에 의해 25년간 사용되었다고 진술한다. Ian Murray, Revival and Revivalism, 242.

  80) 로이드-존스와 앨버트 다드 역시 논자와 같은 생각이다. Lloyd-Jones, Preaching and Preachers, 275-77; 앨버트 다드는 “어느 누구도 구도자석에 대한 요청에 순종하는 것을 거부할 수 없었는데, 왜냐하면 그렇게 하는 것이 그리스도를 위하는 것이며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런 구도자석을 반대했다. Albert Dodd, Biblical Repertory and Theological Review, n.s, VII (Oct. 1835), 642-43.

   81) Tony N. S. Lane, A Concise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253. “Finney stressed the importance of preparation for revival...in fact, he appeared to imply that they will inevitably follow when certain conditions are fulfilled.” 

 

2. 평가

 

1) 긍정적인 평가

 

첫째, 스튜어트 피긴(Stuart Figgin)은 피니가 역사적인 예수 그리스도 를 믿었고 기도를 부흥의 본질적인 요소로 믿었으며 영혼 구원에 있어서 열정적이었고, 일상적인 용어로 정확하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복음의 핵심 을 전달했다고 언급한다.82)

피니의 사역 결과를 본다면, 피긴의 관점은 타 당해 보인다.

둘째, 김대진은 피니가 인간의 부패를 부인하지 않았고 오직 은혜가 죄인을 구원한다는 점에서 알미니안도 아니고 펠라기안도 아니라고 주장 한다. 그는 구원이 아니라 성화와 관련해서 인간의 책임을 강조했다고 피 니를 옹호했다.83)

그러나 김대진의 평가는 피니를 너무 옹호하고 있는 것 으로 보이는데, 왜냐하면 피니는 단지 하나님의 은혜만이 아니라 인간의 회개, 믿음, 인내를 칭의의 조건으로 강조했기 때문이다.

이런 것은 알미 니우스주의의 칭의관과 매우 유사하다.84)

셋째, 마크 놀(Mark A. Noll)은 피니를 성공적인 알미니안으로 긍정적 으로 평가하였다.

피니는 “전통적인 칼빈주의를 수정하여 새 시대의 정 서에 적합하도록 쉽게 수정하는 데 성공했다.” 85)

 

    82) Stuart Piggin, Firestorm of the Lord: The History of and Prospects for Revival in the Church and the World (Cumbria, UK: Paternoster Publishing, 2000), 132-35.

   83) 김대진, 『부흥 찰스 피니에게 듣다』, 243-44.

   84) Finney, Finney’s Systematic Theology , 389-90. 또한 피니는 회심과 중생이 “the simultaneous exercise of both human and Divine agency”에 의해 일어난다고 했다, 284.

    85) Noll,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178. 

 

다시 말하면, 피니는 회 심에 있어서 하나님의 주권보다 인간의 자발적인 결단을 더 강조했다.

박 명수의 관점은 피니가 예정론에서 기인하는 고칼빈주의의 운명론적인 경 향을 극복하고 알미니안 복음주의를 가져왔다고 주장했다는 점에서 놀과 유사하다.

요약하면, 피니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던 사람들이 더 많을 것이다.

그 런데도, 그들의 관점은 위 세 부류 안에 들어 있다.

논자의 관점으로는 피 긴의 견해는 합당하다.

놀의 관점은 그런대로 받아 들일만 하지만 김대진 의 관점은 다소 치우쳤고, 박명수의 관점은 개혁파의 관점에서 보면 너무 관대하다.

 

2) 부정적인 평가

 

첫째, 피니는 비록 신체의 부패성은 인정했지만, 인간의 원죄와 전적 부패를 인정하지 않았다.86)

사람들은 본성이 부패했기 때문이 아니라 의 지적으로 선한 결정을 할 수 없기에 부패한 것으로 간주 되었다.

그는 사 람이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의지적 결정이 회심에서 본질적이고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결론지었다.

이것은 의지와 죄에 관한 펠라기우 스의 관점과 거의 유사하다.

차이점은 피니는 회심에서 성령의 사역을 부 인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의지적 결단이 성령의 사역보다 구원에 더 결정적이라는 그의 견해를 고려한다면, 피니가 “전통적인 웨스 트민스터 신앙고백을 떠났다”는 임경근의 평가는 타당해 보인다.87)

둘째, 피니는 성령의 사역이 필수적이라고 하였지만, 부흥의 결정적인 요인은 인간의 의지적 결단이기에 이런 결단을 촉구하는 새로운 방법이 잘 사용된다면 일어나게 된다고 믿었다.

피니가 제시하는 새로운 방법들 은 명백히 인간의 심리적인 면을 자극하도록 의도되었다.

비록 이것이 어 떤 효력을 갖고 있다고 말해질 수 있지만, 그것은 회심은 하나님의 주권에 전적으로 달렸다는 개혁파 신학과 반대된다.88)

 

     86) 박응규, “Dialogue on Conversion between Jonathan Edwards and Charles Finney,” KRJ 16 (2010): 306.

     87) 임경근, 『세계교회사 걷기』, 309.

     88) 특히 조대준은 “피니의 많은 교리들이 보수적인 신학을 무시하지만, 성경의 진리를 가르치고 있 다”고 말한다. 조대준, 『그리스도의 성화』, 154.

 

이런 점에서 피니의 신학이 펠라기안 신학이라는 조대준의 관점은 일정 부분 타당해 보인다.89)

이 안 머리는 피니에게, 회심에서 성령의 사역은 단지 죄인들이 회심하도록 설득하는 것이라고 진술하였다.90)

셋째, 피니의 부흥 운동에 관해, 이안 머리는 인간적인 수단들을 신뢰 하고 사용했다는 점에서 성령에 의한 참된 부흥이라고 결론짓기 어렵다 고 진술했다.91)

머리의 진술은 피니가 목회자들이 방법론에 충실하다면 부흥은 항상 발생한다고 종종 말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타당성을 가진 다.

그러나 방법을 지혜롭게 사용함으로 성령이 우리의 기능을 자극하고, 우리 심령에 진리를 조명하며, 죄책감을 느끼게 하여 회개하게 한다고 피 니가 말한 것을 고려해야만 한다.92)

그러므로 이안 머리의 위의 진술은 다 소 지나친 것으로 보인다.

넷째, 회개하려는 인간의 자발적인 결단은 성령에 의한 사역과 혼동될 수 있다는 양낙흥의 관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93)

 

     89) 조대준의 관점은 이안 머리와 유사하다. Ian Murray, Revival and Revivalism, 294. “Finney had put himself among the Pelagians who denied the reality of man’s ruined nature.”

     90) Ian Murray, Revival and Revivalism, 250.

     91) Finney, Revival and Revivalism, 252.

     92) Finney, Revival Lectures, 95, 130.

     93) 양낙흥, “현대 복음 전도 방식의 원조 찰스 피니의 신학 재고”, 「한국개혁신학회」 25 (2013): 176.

 

이는 새로운 방법이 사 용될 때 회심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은 성령의 사역 결과일 수도 있고, 혹 은 인위적인 결단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후자의 경우에, 부흥은 감정적인 흥분이 사라질 때, 대부분 같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VI. 결론

 

지금까지, 피니의 부흥신학과 방법론은 상세하게 연구되었다.

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피니의 부흥 운동은 그가 성령의 사역을 무시하지 않고 기도를 강조했고, 당시에 노예제도의 폐지와 사회적 변화를 이끌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그는 인간의 원 죄를 무시하고 회심에 있어서 자유의지의 역할을 과도하게 강조함으로써 개혁파 신학에서 알미니안 신학으로 이동해 갔다.94)

이런 측면은 당시의 부 흥 운동을 이끌었던 신학적 경향과 유사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시 말하면, 웨슬리의 신학과 부흥 운동이 피니에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개혁파 신학의 관점에서 그런 변화가 수용되기는 쉽지 않다.

또한 비록 이런 새 방법론이 부흥 운동을 더욱 촉진했다고 말할 수도 있지만, 부흥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성령의 주권적 사역보다 인위적인 방 법들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피니의 방법론은 다소 위험하다.

그러나 1845 년에 피니는 사람들이 성령의 사역보다 새로운 방법론에 더 의존하는 것 에 대해 염려했다.

어떤 방법이라도 그것이 성령의 주권적 사역을 앞선다고 주장할 수 없 다.95)

일반적으로 말해서, 만약 우리가 성경에 약속된 은혜의 방법을 사용 한다면, 성령께서 약속대로 부흥을 위해 역사하실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동시에 우리는 부흥에서 하나님의 주권적인 주도권과 부흥의 때는 하나 님의 손에 달렸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96)

 

     94) 이 신학은 종종 알미니안화된 칼빈주의로 불린다.

     95) 박용규 또한 “피니는 부흥의 저자가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임을 경시했다”고 주장한다. 『세계부흥 운동사』, 580.

     96) Ian Murray, Revival and Revivalism, 380. 

 

이것이 부흥에 관한 균형 잡힌 견해일 것이다.

 

<Abstract>

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Charles Finney’s Revival Theology and Methodology

Chang Hyung Yoo (Calvin University)

Revival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topic in Christian history. Moreover,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church’s rapid decline in size, the significance of revival becomes even greater. In this situation, studying the revival theology and methodology of Charles Finney, a key figure in the 19th-century American revival movement, can be considered highly meaningful. Finney’s revival move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Christians through his theology and new methodology, and had a tremendous impact on American society, including the abolition of slavery and the expansion of women’s rights. However, Finney’s theology shifted from Calvinism to Arminianism, and his methodologies sparked much controversy. This suggests that Finney was influenced by the trends of his time, and it calls for a proper analysis and evaluation of his revival theology and method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Finney denied the total depravity of humanity and emphasized human agency over God’s sovereignty in revival. These aspects should be critiqued in light of Reformed theology. Reformed theology, while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human agency in revival, follows the path of Edwards, who placed greater emphasis on God’s sovereignty.

[Key words: Charles Finney, Revival, Methodology, Calvinism, Arminianism, Freewill]

 

<참고문헌>

김기홍. 󰡔이야기 교회사󰡕. 서울: 두란노, 1994. 김대진. 󰡔부흥 찰스 피니에게 듣다󰡕. 용인: 목양, 2016. 박명수. “19세기 미국 찰스 피니의 부흥 운동(1)]”. 「활천」(1997): 46-55. 박용규. 󰡔세계부흥운동사󰡕. 서울: 한국기독교연구소, 2018. 박응규. “Dialogue on Conversion between Jonathan Edwards and Charles Finney.” 「한국개혁신학」. 16 (2010): 280-315. 백낙준. 󰡔한국개신교회사󰡕. 서울: 연세대 출판사, 1973. 양낙흥. “나다나엘 테일러의 회심론과 현대 전도설교의 대두”. 「역사신학논 총」. 24 (2012): 63-95. 조대준. 󰡔크리스천의 성화󰡕. 서울: 쿰란, 2004. ------------. “현대 복음전도방식의 원조 찰스 피니의 신학 재고”. 「한국개혁신학」. 25 (2013): 176-182. Ahlstrom, Sidney E. A Religious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72. Curtis, Kenneth & et al. The 100 Most Events in Christian History. n.p: Levell, 1998. Finney, Charles G. The Autobiography of Charles G. Finney. Minnesota: Bethany House Publishers, 2006. ----- -------. Finney’s Systematic Theology. Edited by J. H. Fairchild. Minneapolis: Bethany House, 1994. ------------. Memoirs of Charles G. Finney. Edited by Garth M. Rosell & Richard A.G. Dupuis.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89. ------------. Principle of Sanctification. Compl. & edited by Louis G. Parkhurst. Jr. Minneapolis, MI: Bethany Publisher, 1986. ------------. Revival Lectures. MI: Grand Rapids, Fleming H. Revell, n.d.  Hardman, Keith J. Charles Grandison Finney. 1792-1875: Revivalist and Reformer.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87. Hodge, Charles. Systematic Theology. Vol. 3.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Reprint., 1977. Lane, Tony N. S. A. Concise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New York: T&T Clark, 2006. Larsen, Timothy & et al. Biographical Dictionary of Evangelicals. Leicester: IVP, 2003. Marsden, George M. The Evangelical Mind and the New School Presbyterian Experience: A Case Study of Thought and Theology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Eugene, Oregon: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3. McLoughlin, William G. Jr. Modern Revivalism: Charles Grandison Finney to Billy Graham. New York: The Ronald Press Company, 1959. Miller, Basil. Charles Finney. Minneapolis: Bethany House Publisher, 1942. Miller, Eric C. “The Means of Revival: Charles Grandison Finney’s Rhetoric Theory.”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Religion. Vol. 44 (2021): 63-79. Miller, Perry. The Life of the Mind in America: From the Revolution to the Civil War. New York: Harcourt, Brace and World, 1965. Moyer, E. S. Great Leaders of the Christian Church. Chicago: Moody press, 1959. Noll, Mark A.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Michigan: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6. Packer, James I. A Quest for Godliness: The Puritan Version of the Christian Life. Wheaton: Crossway Books, 1990. Peter, John. Martyn Lloyd-Jones, Preacher. Exeter: the Paternoster Press, 1986. Piggin, Stuart. Firestorm of the Lord: The History of and Prospects for Revival in the Church and the World. Cumbria, UK: Paternoster Publishing, 2000. Taylor, Nathaniel W. Practical Sermons. New York: Garland Pub., 1987. Turnbull, Ralph G. A History of Preaching. Vol. 3. Michigan: Baker Book House, 1974. Walker, Williston.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3rd Edition.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69

 

 

 조직신학연구 제47권 (2024년) 

논문 투고일: 2024.07.01. 수정 투고일: 2024.07.24. 게재 확정일: 2024.08.14

조직신학 47호-전자책.pdf
2.4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