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로마서 1:3-4은 바울 이전의 찬송 또는 신앙 고백적 공식으로 여겨진다. 1
1. 로마서 1:3-4에서 분사 두 개를 사용하여 배치된 병행 구문은 바울 이전의 신앙고백을 지지하는 공식으로 이해된다. Rudolf Bultmann,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trans. K. Grobel (New York: Scribner, 1951-55), 1:49-50; C. Barrett, A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2nd ed., BNTC (London: Black, 1991), 20; Ferdinand Hahn, The Titles of Jesus in Christology: Their History in Early Christianity (London: Lutterworth Press, 1969), 246– 51; James D. G. Dunn, “Jesus-Flesh and Spirit: An Exposition of Romans 1:3-4,” JTS 24 (1973): 40-68; Robert Jewett, “The Redaction and Use of an Early Christian Confession in Romans 1:3-4,” in The Living Text: Essays in Honor of Ernest W. Saunders, ed. Dennis E. Groh and Robert Jewett (Lanham, MA: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5), 100-102; A. J. Hultgren, A. J. Paul’s Letter to the Romans (Grand Rapids: Eerdmans, 2011), 44-45; Richard https://doi.org/10.57228/KRJ.69.5 N. Longenecker, The Epistle to the Rom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Grand Rapids: Eerdmans, 2016), 63-64. 포이스레스(Vern S. Poythress)는 바울이 초기 신앙고백에 포함된 전통적인 표현과 개념을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Vern S. Poythress, “Is Romans 1:3-4 a Pauline Confession After All?” ExpTim 87, no. 6 (March 1976): 180-83. 또한 스콧(M. Scott) 은 이 병행 구문의 어휘, 스타일, 신학이 바울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한다. James M. Scott, Adoption as Sons of God: An Exegetical Investigation into the Background of Yiothesia in the Pauline Corpus, WUNT 48 (Tübingen: Mohr Siebeck, 1992), 229-36.
이와 관련하여 불트만(Rudolf Bultmann)은 로마서 1:3의 “다윗의 혈통”이 바울에게는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2
그는 고대의 “메시아”가 이스라 엘의 민족적 소망을 나타내는 표현이지만, 묵시론자들이 천상의 구원을 가져오는 자로 바꾸었다고 설명한다. 3
던(James D. G. Dunn)도 예수를 다 윗의 후손으로 이해하는 것이 헬라파 교회에서는 분명하지 않았다고 주장 한다. 4
던의 견해에 따르면, 이 이해는 유대인들에게만 특별한 것이었고, 정치적이며 민족적인 것이었다. 5
그는 로마서 1:3-4을 “신조적 공식”으로 이해하며, 3절과 4절의 대조를 그렇게 이해한다. 6
4절의 “부활”을 통해서 유대적인 메시아 개념은 죽은 자들의 마지막 부활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을 가진다. 7
한(Ferdinand Hahn)은 “다윗의 혈통”과 “하나님의 아들” 이 모두 기독교화된 표현으로 더 이상 유대 전통으로 이해할 필요가 없다 고 주장한다. 8
2 Bultmann,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1:49.
3 Bultmann,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1:52-53.
4 Dunn, “Jesus-Flesh and Spirit: An Exposition of Romans 1:3-4,” 136-37.
5 Dunn, “Jesus-Flesh and Spirit: An Exposition of Romans 1:3-4,” 136-37.
6 James D. G. Dunn, Romans 1-8, WBC 38A (Nashville: Thomas Nelson Publishers, 1988), 22f.
7 Dunn, Romans 1-8, 23.
8 Ferdinand Hahn, The Titles of Jesus in Christology: Their History in Early Christianity (London: Lutterworth Press, 1969), 248-58; 비슷한 주장으로 Matthew W. Bates, “A Christology of Incarnation and Enthronement: Romans 1:3-4 as Unified, Nonadoptionist, and Nonconciliatory,” CBQ 77, no. 1 (2015): 107-27.
베이츠(Matthew W. Bates)는 로마서 1:3의 “되셨고”(genome. nou)를 하늘의 존재 방식에서 지상의 존재 방식으로 신분이 바뀐 것을 가리킨다고 이해한다. 9
그는 로마서 1:4의 “성결의 영”을 다윗적인 기원보다 그리스도의 영적인 주권에서 나오는 구속의 능력으로 주장한다. 10
그러나 로마서 1:3-4의 “다윗의 혈통”과 “하나님의 아들”은 병행하여 메 시아적 의미를 전달한다.
이 구절의 중요한 개념은 구약과 유대 문헌에서 지속적으로 약속된 메시아 예언의 성취이다.
바울은 “하나님의 아들” 개 념이 구약의 약속들과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11
9 Bates, “A Christology of Incarnation and Enthronement,” 116.
10 Robert Jewett, Romans, Hermeneia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7), 106.
11 “이 복음은 하나님이 선지자들을 통하여 그의 아들에 관하여 성경에 미리 약속하신 것이라”(롬 1:2). 154 개혁논총 열의 메시아를 기대하는 내용으로 로마서 1:3-4를 서술한다. 바울은 로마서 15:12에서 이사야 11:10을 인용한다. 이 인용에서 로마서 1:3-4의 메시아적 인용을 유추할 수 있다. 또 이사야가 이르되 이새의 뿌리 곧 열방을 다스리기 위하여 일어나시는 이가 있으리니 열방이 그에게 소망을 두리라 하였느니라(롬 15:12). “이새의 뿌리”는 예수 그리스도가 다윗의 후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인용은 마소라 본문과 차이를 보이며 칠십인역과 비슷하다. e;stai h` r`i,za tou/ iev ssai. kai. o` anv istam, enoj ar; cein eqv nwn/ epv V autv w| / eq; nh elv pious/ in(롬 15:12). e;stai env th| / hm` er, a| ekv ein, h| h` r`i,za tou/ Iessai kanv istam, enoj ar; cein eqv nwn/ eqv nwn/ epv V autv w| / eq; nh elv pious/ in(LXX 사 11:10). 바울이 인용한 이사야 11:10의 문맥은 메시아와 관련된 약속이 성취되 고(사 11:1-9), 그 결과 이스라엘이 제2의 출애굽을 경험할 날을 예언한다 (사 11:11-16). 이 예언은 모든 열방들을 위한 표적이 된다(사 11:10, 12). 바울은 이사야 11:10을 인용하며 이방인을 하나님의 백성으로 포함하는 메시아 사역을 예수 그리스도가 성취했다고 주장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은 아브라함의 복이 성취되었음을, 이방인이 하나님의 백성이 될 것 이라는 예언이 성취되었음을 보여준다. 하나님을 예배하는 공동체에 이방 인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가 이새의 뿌리, 즉 다윗 계 열의 메시아이며 이스라엘을 출애굽시키는 구원자(참조. 롬 11:26)이며, 이방인을 포함하는 온 열방이 그를 소망한다고 이해했다.
이 글은 로마서 1:3-4의 내용이 대조적인 병행이 아니라 모두 메시아적이라는 것을 제시하려 한 다.
1:2와 1:3-4의 연결성을 고려할 때, 바울은 3, 4절의 내용을 언약적으로 이해했을 것이다. 이 내용을 바울이 로마서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통해 밝 히고자 한다.
또한, 구약과 유대 문헌의 인용과 암시, 그리고 로마서의 내 용을 살피며 로마서 1:3-4의 “다윗의 혈통,” “하나님의 아들”이 대조적인 발전 개념이 아니라 동일하게 구약과 유대 문헌에 나타나는 메시아적 개 념이라는 것을 주장하려 한다.
2 육신으로는 다윗의 혈통에서
2.1 이새의 뿌리
로마서 1:3-4에서 바울은 구약과 유대 문헌에 나타나는 메시아 개념을 반향한다.
이 구절은 예수 그리스도가 다윗 계열의 메시아 소망을 성취하 는 분으로 죽음에서 부활하셨다는 내용이다.
바울은 로마서 1:3-4에서 사 무엘하 7장과 시편 2편을 암시하고 주해한다.
바울은 다윗 언약과 다윗 계 이방인들도 그 긍휼하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심 이라 기록된 바 그러므로 내가 열방 중에서 주께 감사하고 주의 이름을 찬 송하리로다 함과 같으니라(롬 15:9).
이방인들이 드리는 예배의 목적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 12
이 예배는 이방인과 유대인을 모두 포함한다. 이사야서는 종말론적으로 이방 인의 구원을 예언하는데, 그의 예언에서 이방인들이 드릴 예배에 대한 기 대가 나타난다(예. 사 2:1–4; 12:4–5; 17:7–8; 19:18–25; 25:3–9; 42:4, 6, 10–12; 44:5; 45:14, 22; 49:6; 52:15; 55:3–5; 56:3–8; 59:19; 60:3; 65:1; 66:19–21). 13
12 T. Schreiner, Romans, 2nd ed., BECNT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18), 728.
13 Schreiner, Romans, 733.
바울의 인용은 메시아인 예수 그리스도가 이사야의 예언, 즉 이방인들의 구원과 예배에 관한 예언을 성취한다는 내용이다. 또한 이 구절에서 바울은 칠십인역 시편 17:50의 의로운 고난 받는 자의 언어를 소개한다.
바울이 인용하는 칠십인역 시편 17:50의 문맥은 메시아 적이다. 이어지는 칠십인역 시편 17:51는 로마서 15:7-13의 바울의 언어와 같이 긍휼하심과 메시아, 그리고 다윗과 그의 씨(spe,rma)를 노래한다.
megalun, wn taj. swthria, j tou/ basilew, j autv ou kai. poiwn/ el; eoj tw| / cristw| / autv ou,/ tw| / Dauid kai. tw| / aper, mati autv ou/ ew[ j aiwv n/ oj(칠십인역 시 17:51).
[그 의 왕의 구원을 크게 하시고 그의 기름 부음 받은 자에게 긍휼을 베푸심이 라. 즉, 영원히 다윗과 그 씨(spe,rma)에게로다]
바울은 이 부분에서 메시아의 사역을 발견한다.
메시아는 시편 인용에 서 중요한 주제로 등장한다.
바울이 인용하는 시편의 메시아(롬 15:9)는 “이새의 뿌리”와 관련된 내용(롬 15:12)으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서술된 다. 14 바울의 시편 인용은 사무엘하 22:50와 밀접하게 병행된다. 15
칠십인 역 시편 17편과 사무엘하 22장에서 다윗은 자신을 위협하고 죽이려는 적 들로부터 구원하신 하나님을 노래한다.
하나님의 개입은 다윗이 모든 열 방을 다스리는 머리로 세워지는 결과를 가져온다(시 18:46-48). 16
14 Mark A. Seifrid, “Romans,” in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ed. by G. K. Beale and D. A. Carson (Grand Rapids: Baker, 2007), 688.
15 Seifrid, “Romans,” 688.
16 Seifrid, “Romans,” 689.
다윗은 위의 인용(칠십인역 시 17:51)과 같이 노래한다.
바울은 칠십인역 시편 17:50을 인용하며 다윗 계열의 메시아가 예수라 고 고백한다.
부활하신 메시아는 열방들 가운데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모든 민족들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한다.
메시아 예수의 사역의 결과 인 모든 이방인들의 찬송을 다룬 다음(롬 15:9-11), 바울은 “이새의 뿌리” 를 다시 제시한다(롬 15:12).
따라서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가 이스라엘뿐 만 아니라 이방인을 포함하여 자기 백성으로 삼고 그들로 하나님께 영광 을 돌리게 하는 일은 이새의 뿌리로서 메시아적 사역을 이룰 것을 가리킨 다고 볼 수 있다.
2.2 다윗의 씨
로마서 1:3에서 바울은 다윗의 “씨”(개역개정. ‘혈통’)를 설명한다.
“육 신으로는 다윗의 혈통(evk spe,rmatoj Daui.d kata. sa,rka)에서 나셨고”라는 표현은 육체적 약함이나 지상에서 보이는 인간적 특징을 설명하기보다 그 리스도의 다윗 계통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바울의 언어는 예수님의 다윗 계열의 메시아를 위한 족보적 배경을 제공한다.
바울에게 사무엘하 7:12 의 다윗 언약의 “씨”와 관련된 중요한 표현(‘네 씨를 네 뒤에 세워,’ avnasth,sw to. spe,rma sou meta. se,)은 로마서 1:3-4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구약과 유대 문헌에서 다윗 계열에서 오는 메시아적 인물은 다윗의 “씨” 로 기대된다.
다윗의 씨는 예수님이 기름 부음을 받은 왕적인 메시아로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다윗 계열의 메시아임을 명확하 게 가리킨다(사 11장; 렘 23:5-6; 33:14-18; 겔 34:23-31; 37:24-28; Ps. Sol. 17:23-51; 4QFlor 1:10-13; 4QpGen 49; 4QpIsaa 2:21-28).
“다윗의 씨”는 로마서 9:6-13의 “아브라함의 씨”와 관련하여 그리스도가 다윗의 씨로서 하나님의 언약을 이루는 것을 보여준다.
하나님의 언약적인 신실하심과 남은 자를 강조하는 로마서 9:14-29의 마지막 구절은 이사야 1:9를 인용한 다.
“또한 이사야가 미리 말한 바 만일 만군의 주께서 우리에게 씨를 남겨 두지 아니하셨더라면 우리가 소돔과 같이 되고 고모라와 같았으리로다 함 과 같으니라”(롬 9:29).
바울은 이 부분에서 이사야 10:22를 반향하며 “씨” 언어를 사용한다.
즉, 아브라함의 씨는 단순히 육체적인 씨가 아니라 하나 님께서 이루실 약속과 관련이 있다.
로마서 1:3의 “육신으로는 다윗의 혈통에서 나셨고”는 로마서 11:1과 고 린도후서 11:22의 아브라함과 연결된다.
그러므로 내가 말하노니 하나님이 자기 백성을 버리셨느냐 그럴 수 없느니 라 나도 이스라엘인이요 아브라함의 씨에서 난 자요 베냐민 지파라(롬 11:1).
그들이 히브리인이냐 나도 그러하며 그들이 이스라엘인이냐 나도 그러하 며 그들이 아브라함의 후손이냐 나도 그러하며(고후 11:22).
“다윗의 후손”(spe,rma, 롬 1:3)과 “아브라함의 후손”(spe,rma, 갈 3:16)의 연결성은 구약과 유대 문헌에서 다음과 같이 서술된다.
하늘의 만상은 셀 수 없으며 바다의 모래는 측량할 수 없나니 내가 그와 같 이내종 다윗의 자손과 나를 섬기는 레위인을 번성하게 하리라 하시니라 (렘 33:22).
하늘의 만군을 셀 수 없고 바다의 모래를 헤아릴 수 없듯이, 내가 내종다 윗과 나를 섬기는 레위인의 씨를 번성하게 하리라(Targum of Psalm 89:3- 4).
바울은 다윗의 씨이면서, 로마서 9장에 등장하는 씨 개념과 관련하여 아 브라함 이후 계속해서 약속하신 하나님의 언약을 성취하는 메시아로서 예 수를 제시한다.
바울은 15장에서 언약적 언어를 서술하면서, 특별히 이새 의 뿌리로 예수 그리스도가 다윗 계열의 메시아이심을 설명한다. 이새의 뿌리인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언약을 성취하는 자이다.
로마서 15:8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할례를 섬기는 자(개역개정. ‘추종자,’ 디아코노스, dia,konoj)이며 조상들에게 주신 약속들을 견고하게 하신다. 17
로마서 15:8의 할례를 섬기는 자(개역개정. ‘추종자,’ 디아코노스, dia,konoj), 그리스도는 옛 이스라엘의 언약을 섬기는 자일 뿐 아니라 조상 들에게 주신 약속들을 견고하게 하시는 자이다.
그리스도는 약속된 “씨” 로서 하나님의 언약을 신실하게 섬기시는 분이다.
할례를 섬기는 자는 하 나님의 진실하심(avlh,qeia qeou/)을 위한 자이다.
바울은 “그리스도께서 하 나님의 진실하심을 위하여 할례의 추종자”가 되셨다고 언급한다.
“하나님 의 진실하심”은 그분의 언약적 신실하심, 곧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약 속하신 언약들에 대한 신실하심이다. 18
17 “내가 말하노니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진실하심을 위하여 할례의 추종자가 되셨으 니 이는 조상들에게 주신 약속들을 견고하게 하시고”(롬 15:8).
18 Ernst Käsemann, Commentary on Romans, trans. Geoffrey W. Bromiley (Grand Rapids: Eerdmans, 1980), 385; C. E. B. Cranfield,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ICC; Edinburgh: T&T Clark, 1975-1979), 2:741; James D. G. Dunn, Romans 9-16, WBC 38b (Dallas: Word Books, 1988), 847; Schreiner, Romans, 728-29.
그리스도께서 할례를 섬기는 자가되신 것은 “조상들에게 주신 약속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주석가 들은 이 약속이 족장들에게 한 약속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19
“견고 하게 하다”(bebaio,w)는 “성취하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20
앞에서 살펴보았 던 이방인들이 다윗 계열의 메시아를 소망하고 언약적 긍휼하심으로 하나 님께 영광을 돌린다는 바울의 인용은 그리스도의 언약을 섬기는 일과 맞 물린다.
하나님은 이방인을 자기 백성에 포함시킴으로 아브라함에게 주신 약속을 이루신다. 21
19 Robert H. Mounce, Romans, NAC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261; Cranfield, Romans, 2:741-42.
20 Mounce, Romans, 261; Cranfield, Romans, 2:741-42.
21 Douglas J. Moo, The Epistle to the Romans, 2nd ed., NICNT (Grand Rapids: Eerdmans, 1996), 891-92.
22 Dunn, Romans 1-8, 13.
따라서 바울의 언어에서 로마서 시작 부분의 1:3-4의 병행은 로마서 15장에서 계속 울린다.
그 핵심적인 내용은 부활하신 메시 아인 예수를 통한 하나님의 언약의 성취, 즉 유대인/이방인을 모두 포괄하 는 하나님의 언약적 긍휼하심과 신실하심이다.
3 성결의 영으로는 하나님의 아들로 선포되셨으니
3.1 거룩함의 영 ‘
사륵스’(sa,rx)는 인간의 연약함, 관계, 필요, 욕구와 같은 인간의 죽음의 특징과 조건으로 규정되는 인간이다. 22
육신은 제한적이고 잠정적인 영역 이며 영의 영역과 대조된다.
하나님의 약속은 육신과 반대된다(롬 9:8).
다 른 곳에서 인간의 육체 자체가 타락과 하나님에 대한 적대감의 원천으로 이해되는 부정적 용법으로 사용된다(8:5, 7, 12; 13:14; 갈 5:13, 24; 6:8; 골 2:11, 13, 18, 23). 23
특히 사륵스(sa,rx)가 프뉴마(pneu/ma, 2:28; 8:6, 9; 갈 3:3; 5:16, 17, 19; 빌 3:3, 4)와 병행될 때, 특히 여기서처럼 kata. sa,rka / kata. pneu/ma(8:4-5; 갈 4:29) 형태가 될 때 분명히 부정적이다. 24
예수가 다윗의 후손이라는 언급은 그의 육체적 존재에 대한 언급이며,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언급은 그의 영적인 존재에 대한 언급이다. 25
로마서 1:4은 예수가 승귀를 통해서 하나님의 아들로 임명되었다는 기독론과 관 련된 신앙고백적 공식이다. 26
승귀한 그리스도는 성결의 영에 따르는 것이 며 성령의 영역에 들어감을 의미한다. 27
이 두 영역은 반대되며 예수가 육 의 영역에서는 다윗 계열의 메시아이지만, 이 구절에서 결정적인 내용은 성령의 영역으로 오셨다는 내용이다. 28
무(Douglas J. Moo)는 다른 대조점 을 제시한다. “육신”과 “영”을 구속사적인 측면에서 이해한다.
두 시대가 다른 시대와 반대되는 위치에 세워져 있다고 주장한다.
죄, 죽음, 육신은 옛 시대이고, 의, 생명, 성령의 은사로 대표되는 새로운 시대이다. 29
23 Dunn, Romans 1-8, 13.
24 Dunn, Romans 1-8, 13.
25 E. Schweizer, “pneu/ma,” in TDNT, 6:417.
26 Schweizer, “pneu/ma,” 6:417.
27 Schweizer, “pneu/ma,” 6:419.
28 E. Schweizer, “sa,rx,” in TDNT, 7:126.
29 Moo, Romans, 48.
그러나 로마서 1:4의 “거룩함의 영”(개역개정. ‘성결의 영’)은 예수님이 다윗 계열 메시아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지지한다. “육신/영”의 대조가 아니라 메시아적 언어다.
“거룩함의 영”이 신약 성경과 칠십인역에 등장 하지 않지만, 유대 문헌에서 등장한다(1QH 7:6-7; 9:32; 1QS 4:21; 8:16; 9:3; CD 2:12; T. Levi 18:11).
특정 유대 문헌(T. Levi 18:11; Ps. Sol. 17:37) 은 다윗 계열 메시아의 중요한 특징으로, 성령에 대한 종말론적인 기대를 표현한다. 30
다윗 계열의 메시아 예언인 이사야 11:2은 성령이 메시아 위에 강림해서 메시아로서 역할을 실행하는 그림을 그린다.
다윗 계열 메시아의 성령 수 여는 모든 피조물의 적대감이 사라지고 창조 질서를 회복하게 만든다(사 11:6-9). 31
그는 여호와의 영을 소유하는 왕으로 다스리며 여호와의 종과 같이 묘사된다(사 11:2; 42:1). 32
성령을 통한 다윗 계열 메시아의 통치의 결과는 정의와 공의이며(사 11:3-5), 샬롬을 이룬다(사 11:6-9).
이어서 바 울이 인용하는 이사야 11:10의 제2 출애굽을 이끌어낸다.
다윗 계열 메시 아는 성령의 기름 부음이 예언되고 성령은 다윗의 왕권을 정의한다.
이사 야 52:13의 “지혜롭게 행하리니”(개역개정. ‘형통하리니,’ שכל(는 “하나님 또는 그분의 영에서 오는 것으로 언급된다.”33
기름 부음은 주의 영의 수여 를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시편에 나타난 다윗 계열 메시아의 중요한 특징이다. 34
다윗 계열 메시아는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을 소유하기 위해서 성령을 받아야 한다. 35
30 Timo Eskola, Messiah and the Throne: Jewish Merkabah Mysticism and Early Christian Exaltation Discourse, WUNT 142 (Tübingen: Mohr Siebeck, 2001), 240; Richard N. Longenecker, The Epistle to the Romans, NIGTC (Grand Rapids: Eerdmans, 2016), 73.
31 G. V. Smith, Isaiah 1-39, NAC 15 (Nashville: Broadman & Holman, 2007), 273-74.
32 Richard Schultz, “The King in the Book of Isaiah,” in The Lord’s Anointed: Interpretation of Old Testament Messianic Texts, ed. Gordon J. Wenham, Richard S. Hess, and Philip. E. Satterthwaite (Grand Rapids: Baker, 1995), 155.
33 Klaus Baltzer, Deutero-Isaiah: A Commentary on Isaiah 40-55, trans. Margaret Kohl, Hermeneia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1), 394.
34 J. H. Christopher Wright, Old Testament Ethics for the People of God (Downers Grove: InterVarsity, 2004), 278.
35 Hans-Joachim Kraus, Psalms 60-150, trans. Hilton C. Oswald (Minneapolis: Augsburg, 1989), 77.
이사야 탈굼 11:1-2에서 메시아적 인물에 대한 영은 “지혜”, “총명”, “모략”, “재능”, “지식”, “주님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도록 한다. 36
성령을 수여받은 메시아적 인물은 구원의 대리자로 간주된다.
제2성전기 유대 문헌에서 메시아적인 왕의 특징은 성령과 그로부터 오 는 능력이다(T. Levi 18:11; Ps. Sol. 17:37).
하나님은 기름 부음 받은 자를 일으키고(Ps. Sol. 18:6), 그 왕에게 영적인 수여를 실행한다.
성령의 수여 는 죄로부터 정결케 되는 것을 의미하며 권능을 의미한다(Ps. Sol. 17:41- 42 [36-37]). 37
솔로몬의 시편은 이사야 11:2를 상기시킨다(참조. Ps. Sol. 17:37).
성령의 역할은 메시아의 통치와 연관성이 있다.
성령을 통한 이해, 힘, 의로움으로 자기 백성을 통치한다. 38
에녹 1서(The book of the Parables)에서도 다윗 계열의 메시아에게 의의 영이 거하고, 그 결과 그는 은밀한 것을 심판할 것이다(1 En 49:3).
은밀한 것을 심판하는 메시아는 그 안에 지혜의 영이 거한다.
지혜의 영은 의의 영이며 메시아 위에 부어진다. 성령은 그를 하늘의 법정인 하늘 보좌에 앉힌다(1 En 61:8).
그 결과 그는 모든 압제자를 심판한다(1 En 62:2). 에녹 1서(1 En 49:2-4)의 주제는 다윗 왕의 재판적인 기능을 강조하고 이사야 11:2-5를 암시한다. 39
에녹 1서에 등장하는 메시아는 성령의 수여를 통해서 지식과 능력을 갖추고 통치와 심판의 임무가 가능하게 된다. 40
36 M. Turner, Power From on High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1996), 114-18, 132- 33; The Holy Spirit ad Spiritual Gifts: Then and Now (Carlisle: Paternoster, 1996), 17-18.
37 William Horbury, “Messianism in the Old Testament Apocrypha,” in King and Messiah in Israel and the Ancient Near East: Proceedings of the Oxford Old Testament Seminar, ed. John Day, JSOTSup 270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1998), 431-32.
38 조영모, 『누가와 바울이 말하는 성령과 하나님 나라』 (경기: 킹덤북스, 2018), 44.
39 George W. E. Nickelsburg, “Salvation without and with a Messiah: Developing Beliefs in Writings Ascribed to Enoch,” in Judaisms and Their Messiahs at the Turn of the Christian Era, ed. Jacob Neusner, William Scott Green, and Ernest Frerich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60-61.
40 R. H. Charles, The Book of Enoch or 1 Enoch (Oxford: Clarendon, 1912), 217.
11Q13에서 메시아적인 인물, 멜기세덱은 성령의 기름 부음으로 특징지어지고 그리스도와 연결된 개념으로 발전된 다. 41 메시아적 인물인 “다윗의 줄기”(4Q161 8-10 11, 18)는 분명히 종말론 적 심판자이다.
그는 영광스러운 보좌에 앉아 거룩한 왕관을 쓰고 빛나는 옷을 입고 모든 나라를 다스릴 것이다.
하나님이 그를 강력한 영으로 보존 할 것이다. 42
이사야 예언과 성령에 대한 이해는 이러한 요소들을 묶는다.
바울은 육체와 영을 대조하기보다는 오히려 메시아인 예수 그리스도가 성령으로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셨고, 동일하게 그리스도의 영인 성령 이 그리스도인 안에서 생명의 영으로 역사하신다는 개념을 전달한다.
율 법이 줄 수 없는 생명과 관련해서 바울은 설명한다.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법이 죄와 사망의 법에서 너를 해방하였음이 라”(롬 8:2).
이것은 새로운 출애굽과 성령, 그리고 생명(겔 37:5, 9-10; 욜 3:1-5)이라는 중요한 주제를 전달하며 메시아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을 묘 사한다. 43
41 William Horbury, Herodian Judaism and New Testament Study (Tübingen: Mohr Siebeck, 2006), 80.
42 James C. VanderKam, “Messianism in the Scrolls,” in The Community of the Renewed Covenant: The Notre Dame Symposium on the Dead Sea Scrolls, ed. Eugene Charles Ulrich and James C. VanderKam (Notre Dame, I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94), 216.
43 N. T. Wright, Romans, vol. 10 of New Interpreter’s Bible, ed. Leaner E. Keck (Nashville: Abingdon Press, 2002), 419.
바울은 성령이 육신과 대조되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메시아적인 특징을 드러내고 성령을 통해서 메시아적인 구원과 관련된 역 할에 대한 암시를 보여 준다.
3.2 부활하사
로마서 15:12의 이사야 인용은 “부활”을 암시한다. 이새의 뿌리는 “일어 나시는 이”(o` avnista,menoj)이다. 바울은 “이새의 뿌리,” 즉 메시아적 인물의 부활을 인용한다.
아니스테미(avni,sthmi)는 신약에서 부활을 언급할 때 자주 사용된다(행 17:3; 살전 4:14; 엡 5:14).
로마서 15:12의 이사야 인용 과 관련한 부활은 다윗 계열의 메시아와 관련하여 제2성전기 문헌에서도 찾을 수 있다.
에스라 4서에서 메시아적 인물은 다윗의 씨에서 “일어날 것 이다”(4 Ezra 12:32)로 언급된다.
"지극히 높으신 이가 마지막 날까지 보존 한 메시아는 다윗의 씨에서 일어날 것이다”(4 Ezra 12:31-32).
이 부분은 사무엘하 7장의 다윗 언약이 발전되었음을 보여준다.
사무엘하 7:12의 다 윗 언약의 언어인 “세울 것이다”(개역개정. ‘세워’; הקימתי]MT], avnasth,sw [LXX])는 다윗의 씨의 부활(avnasta,sewj, 롬 1:4)과 가까우며 바울 당시의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익숙한 용어였다.
바울은 부활을 메시아적 언어로 사 용한다. 로마서 15:12의 이사야 인용에서 암시되는 “부활”은 로마서 1:4-5와 병 행을 이룬다.
바울은 로마서 1:4-5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죽은 자들 가운 데서 부활”은 “이방인의 순종”이라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설명한다.
마찬 가지로 로마서 15:12 “일어나시는 이”는 “열방이 그에게 소망”을 두게 한 다.
그리스도의 높아지심은 이방인들을 아브라함의 약속 가운데로 받아들 인다. 44
다시 말해, 로마서 1:4의 “부활”은 예수 그리스도의 새로운 상태나 지위에 대한 임명과 관련해서 서술되는 내용이 아니라 바울의 메시아적 언어이다.
바울은 로마서 1:4에서 부활과 하나님의 아들 개념을 연결한다.
바울은 구약을 인용하며 부활이 하나님의 백성의 의를 이룬다는 것을 보여준다 (참조. 롬 4:25; 8:34). 45
44 Christopher G. Whitsett, “Son of God, Seed of David: Paul’s Messianic Exegesis in Romans 2[sic]:3-4,” JBL 119, no. 4 (2000): 672.
45 김명일, “로마서에 나타난 ‘그 종’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종 바울,” 「갱신과 부 흥」 통권32호 (2023. 9): 42-45.
예수 그리스도는 화목제물(i`lasth,rion, 롬 3:25)로서 자신을 믿는 자들을 의롭게 한다.
그의 죽음과 부활은 칭의를 가져온다 (롬 4:25).
다시 말해, 로마서 1:4에 나타나는 “성결의 영”, “부활”은 메시아 를 통해 하나님의 의를 이루는 암시로 이해할 수 있다.
3.3 그의 아들에 관한 복음
1:2-4에서 바울은 “하나님의 아들”과 관련하여 복음은 그의 아들에 관한 소식이라고 언급한다(‘이 복음은 … 그의 아들에 관하여 …’[롬 1:2]).
“복 음”은 유대 문헌과 관련하여 메시아적인 존재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 및 통 치하심과 연결된다.
바울은 이사야 본문(사 40:9; 52:7; 60:6; 61:1)과 제2 성전기 문헌(Ps. Sol. 11:1; 1QH 18:14; 11Q13)을 배경으로 복음과 관련된 언어를 사용한다.
이 구절들에서 “복음”은 다윗 계열 메시아와 관련된 내 용이다.
이사야 본문의 배경에서 복음의 내용은 하나님의 주권과 다스리 심이 실행되는 것과 연관된 구원과 해방의 소식이며(사 40:9; 52:7; 60:6; 61:1), 종말론적인 하나님의 승리를 묘사한다.
이 복음과 관련해서, 이사야 52:7의 복음을 전하는 자는 이사야 61:1의 기름 부음을 받은 자, 곧 다윗 계 열 메시아이다.
복음을 전하는 자로서 “메시아적 인물”은 로마서 10장에서 복음의 내용 과 연결해서 설명된다.
특히 바울은 이사야 52:7의 복음을 전하는 자와 52:13-53:12의 “고난 받는 종”을 복음의 측면에서 설명한다.
로마서 10장 에서 이사야 52:7의 인용은 복음을 전하는 사역과 관련해서 중요하게 설 명된다.
보내심을 받지 아니하였으면 어찌 전파하리요 기록된 바 아름답도다 좋은 소식을 전하는 자들의 발이여 함과 같으니라(롬 10:15).
그 복음의 내용은 이사야 53:1의 “고난 받는 종”의 소식과 연관되어 있 다.
바울은 이렇게 인용한다.
그러나 그들이 다 복음을 순종하지 아니하였도다 이사야가 이르되 주여 우 리가 전한 것을 누가 믿었나이까 하였으니(롬 10:16).
이사야 52:13-53:12의 고난 받는 종은 복음의 핵심적인 내용이며, 또한 로마서의 핵심적인 내용인 “의롭다는 선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로마서 에 소개된다.
예수는 우리가 범죄한 것 때문에 내줌이 되고 또한 우리를 의롭다 하시기 위하여 살아나셨느니라(롬 4:25).
이 의롭게 하는 “고난 받는 종”은 이사야 본문에서 다윗 계열 메시아로 이해할 수 있다. 46
46 Joseph Blenkinsopp, Isaiah 40-55: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AB 19A (New York: Doubleday, 2002), 349-57; Daniel Block, “Bringing Back David,” in Wenham, Hess, and Satterthwaite, The Lord’s Anointed, 43-49; Schultz, “The King in the Book of Isaiah,” 141-65; John Goldingay,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Isaiah 40-55, ICC (London: T&T Clark, 2006), 2:289.
하나님의 아들에 관한 복음은 적극적으로 바울이 메시 아적인 언어로 그 내용들을 예수 그리스도가 성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따라서 로마서 1:4의 “하나님의 아들”은 1:3의 다윗의 혈통과 대조 되지 않고, 복음의 내용에서 메시아적 인물이라는 것을 로마서 10장의 이 사야 인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
3.4 하나님의 아들
하나님의 아들은 다윗 계열 메시아이며 로마서 1:3의 다윗의 씨와 연결 되어 있다.
왜냐하면 구약과 유대 문헌에서 하나님의 아들로 가장 자주 주 목받는 인물은 다윗 계열의 왕 또는 그 계열의 종말론적 인물이기 때문이 다.
바울이 이해하는 메시아적 성취는 구약과 유대 문헌에서 기대하는 하 나님의 아들에 대한 내용이기도 하다.
구약과 유대 문헌에서 “하나님의 아 들”은 메시아적 개념으로 다윗 계열의 종말론적 왕으로 기대된다(삼하 7:14; 시 2:7; 89:26-27; 1QSa 2:11-12; 4QFlor 1:10 ff.; 4Q246 2:1).
사무엘하 7:12-16은 “아버지-아들의 양자 공식(과 하나님과 다윗의 관 계 설정), 영원한 다윗 왕조에 대한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인 약속”을 보여 준다. 47
47 Andrew Chester, Future Hope and Present Reality, WUNT 293 (Tübingen: Mohr Siebeck, 2012), 208.
하나님의 아들 개념은 다윗 계열에 대한 하나님의 영원한 약속을 기초로 종말론적 인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윗 계열의 왕은 여호와의 기름 부음 받은 자이며(시 2:2), 그의 아들(2:6-8)이다.
다윗 계열의 “씨”와 하나님의 관계는 쿰란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사무 엘하 7장의 다윗에 대한 약속의 페쉐르(4Q174)에서 “하나님의 아들” 개념 이 발견된다.
또한 다윗의 후손인 메시아는 “하나님의 아들”과 “지극히 높 으신 분의 아들”로 불린다(4Q246).
그는 종말론적, 묵시론적 문맥에서 다 윗 보좌를 상속하는 자는 메시아적 인물이며 그 보좌로 나아가는 이는 하 나님의 아들이다. 내가 그를 세웠고, 그는 보좌에 앉았다(4Q246 1:1).
그는 하나님의 아들이라 불릴 것이다(4Q246 2:1). 그리고 그들은 그를 지극히 높으신 분의 아들이라고 부를 것이다(4Q246 2:1).
그의 왕국은 영원한 왕국이 될 것이며, 그의 모든 길은 진리일 것다(4Q246 2:5).
이러한 내용은 4Q246이 다윗 계열 메시아 사상의 한 특징으로 신성한 아들 됨에 대한 중요한 증거가 될 것이다. 48
4Q369에서 메시아적 인물은 “장자”로 묘사되며, 시편 2:7-8과 비슷하게 온 세상을 통치하는 시편 89:28 의 “장자”이다. 49
다윗 계열의 왕과 4Q369의 메시아적 인물은, 둘 모두 기 업을 기다리며(4Q369 1 II, 1), 둘 모두 영원히 약속된 것이며(4Q369 1 II, 1, 4), 둘 모두 대대로 약속된 것이며(4Q369 1 II, 4), 둘 모두 “씨”이며 (4Q369 1 II, 4), 둘 모두 온 세상을 다스리는 자이며(4Q369 1 II, 7), 둘 모 두 왕관을 받으며(4Q369 1 II, 8), 둘 모두 하나님의 아들이다(4Q369 1 II, 10). 50
여기서 다윗적인 아들의 개념이 등장한다.
이 구절들에는 우주적인 통 치와 메시아가 높여지는 묘사가 있다.
이런 개념들이 이미 1세기 이전에 다윗 계열의 왕이 천상의 보좌에 앉는다는 개념이 있었다는 것을 설명한 다.
“하나님의 아들” 칭호는 메시아를 위한 칭호로 유대인 그리스도인들 에게 공유되었을 것이고, 로마의 그리스도인들은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 들”로 부르는 신학적이고 종교적인 언어를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에게 차 용했을 것이다. 51
48 N. C. Johnson, “Romans 1:3-4: Beyond Antithetical Parallelism,” JBL 136, no. 2 (2017): 473.
49 Andrew Chester, Messiah and Exaltation: Jewish Messianic and Visionary Traditions and New Testament Christology, WUNT 207 (Tübingen: Mohr Siebeck, 2007), 237.
50 Johnson, “Romans 1:3-4: Beyond Antithetical Parallelism,” 470.
51 Longenecker, Romans, 68.
제2성전기 문헌에서 복음은 메시아와 관련된 심판을 묘사한다.
심판을 실행하는 메시아적 인물은 복음과 관련이 있다(1 En. 48:7; Ps. Sol. 11:1; 17:23-27; 1QS 4:6-7; 1QH 18:14; 4Q521; 11Q13 등).
이러한 측면은 “선포 되셨으니”와 함께 이해할 수 있다.
이 단어를 사용(o`ri,zw)하여 바울은 예 수 그리스도의 하나님의 아들 됨과 복음에 나타난 그를 통한 하나님의 심 판을 설명한다.
로마서 1:4에서 바울은 “하나님의 아들로 선포”되셨다고 서술한다.
“선포하다”(o`ri,zein)는 “임명되다”라는 의미이다. 52
이 단어는 메시아적 설교인 사도행전 10:42에서 나타나는 단어이다. 우리에게 명하사 백성에게 전도하되 하나님이 살아 있는 자와 죽은 자의 재판장으로 정하신(w`rismen, oj) 자가 곧 이 사람인 것을 증언하게 하셨고 그 에 대하여 모든 선지자도 증언하되 그를 믿는 사람들이 다 그의 이름을 힘 입어 죄 사함을 받는다 하였느니라(행 10:42-43).
임명된 메시아는 재판을 실행하는 자로 묘사되고 이 고백은 선지자적 예언의 성취이다.
구약에서 다윗 계열의 메시아적 인물은 하나님의 심판 을 실행하는 자이다. 53
52 BDAG, 723.
53 Myongil Kim, God’s Judgment through the Davidic Messiah: The Role of the Davidic Messiah in Romans 1:18-4:25 (Eugene, OR: Wipf & Stock, 2020), 40-75.
“임명하다”는 사무엘하 7:12, 14의 내용을 기초에 둔다.
이 내용은 다윗의 “씨”가 하나님의 아들로 약속되는 내용과 관련이 있다.
바울이 전하는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실행되는 심판을 담고 있 다.
곧 나의 복음에 이른 바와 같이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사람 들의 은밀한 것을 심판하시는 그 날이라(롬 2:16).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는 심판에 나타나는 기독론적 요소이다.
로마 서 2:16은 “은밀한 것”을 심판하는 에녹 1서의 인자의 심판과 병행된다(1 En. 49:6; 61:9).
이 단어는 또한 바울 서신에서 사용된다.
오직 은밀한 가운데 있는 하나님의 지혜를 말하는 것으로서 곧 감추어졌던 것인데 하나님이 우리의 영광을 위하여 만세 전에 미리 정하신 것이라 이 지혜는 이 세대의 통치자들이 한 사람도 알지 못하였나니 만일 알았더라면 영광의 주를 십자가에 못 박지 아니하였으리라(고전 2:7-8).
이 부분은 시편 2편의 기독론적 적용으로 초기 기독교의 기독론적 배경 을 제공한다.
시편 2편의 하나님의 명령, 통치자들, 십자가, 부활이라는 주 제들이 엮여 있다.
그 주제들에 대한 해석이 1:4에서 사용되었을 것이다.
복음에 나타난 그리스도를 통한 심판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까?
구약 과 유대 문헌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신원은 메시아적 기대와 연 결되며 그 내용은 이방인에 대한 심판으로 묘사된다(시 2:8-9; 72:8-9; 110:1; Pss. Sol. 17:30; 11QPs).
로마서에서 이 심판은 메시아적 사역과 어떻게 연결될까?
로마서 3:25 에서 화목제물(i`lasth,rion)은 이사야의 종의 노래의 개념을 전달한다. 54
또한 화목제물(i`lasth,rion)은 대속죄일에 이루어지는 희생과 속죄, 그리 고 하나님의 진노를 누그러뜨림을 그린다. 55
대속죄일에 속죄소에 피가 뿌 려지는 그림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심판을 위한 대제사장 역할을 가정한다. 56
54 LXX에서 이 단어는 속죄소로 나타난다(출 25:17, 18, 19, 20, 21, 22; 31:7; 35:12; 38:5, 7, 8; 레 16:2, 13, 14, 15; 민 7:89).
55 Kim, God’s Judgment through the Davidic Messiah, 176-77.
56 힐라스테리온(i,lasth,rion)에 나타난 대속죄일의 속죄소의 그림이 속죄와 진노를 누 그러뜨림(propitiation) 개념은 포함한다는 내용은 다음을 참조하라. Kim, God’s Judgment through the Davidic Messiah 178-79.
바울은 로마서 3:23에서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 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라고 선언한다.
슈라이너는 “이사야 53장을 암시하는 내용이 등장하는데, 다윗 메시아가 이루는 속죄의 희생을 통해 죄인들은 의롭게 여겨진다”라고 주장한다. 57
이사야 53장의 제의적 암시 는 고난 받는 종이 죄를 짊어지는 역할로 죄인을 대신함으로 재판적 의미 에서 의롭다는 선언을 이루게 한다.
로마서 11:26은 “구원자가 시온에서 올 것”을 말한다.
바울은 칠십인역 시편 109편(시 110편)을 염두에 두면서 11:26의 파루시아를 언급한다.
시 편 110:2의 “시온에서부터”는 다윗 메시아를 통한 심판을 중요한 주제로 다룬다. 바울은 로마서 11:26에서 이사야 59:20을 인용한다.
바울은 야곱 의 경건하지 않음을 “우둔하여졌느니라”(evpwrw,qhsan, 롬 11:7)와 “혼미한 심령”(pneu/ma katanu,xewj, 롬 11:7-8)으로 설명한다.
이어서 바울은 시편 69:22-23을 인용하면서 하나님의 심판을 그린다(‘그들의 밥상이 올무와 덫과 거치는 것과 보응이 되게 하시옵고,’ 롬 11:9). 58
57 Thomas R. Schreiner, Paul, Apostle of God’s Glory in Christ: A Pauline Theology (Downers Grove: InterVarsity, 1991), 236.
58 Matthew Scott, The Hermeneutics of Christological Psalmody in Paul: An Intertextual Enquiry (New York: CUP, 2014), 51.
로마서 11:26에서 구 원자가 야곱의 “경건하지 않은 것”을 돌이키는 내용은 심판의 개념과 관 련해서 이해할 수 있다.
바울은 로마서 5:10에서 “그의 아들의 죽으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목하게 되었은즉”이라고 언급하며, “그의 아들”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다.
그의 아들의 죽음은 9절과 연결성을 고려할 때, 예수 그리스도의 피와 관련해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면 이제 우리가 그의 피로 말미암아 의롭 다 하심을 받았으니”(롬 5:9).
9절과 10절의 표현은 레위기에 기록된 희생제물로서 그리스도의 역할을 강조한다. 59
이것은 메시아의 대속적 사역의 특징을 보여준다. 바울은 이 구절에서 화목과 구원에 대한 기독론적 이해 를 보여준다. 우리는 하나님의 아들의 죽음으로 화목하게 되었다. 60
“하나 님의 아들”은 메시아적인 표현이며 그 메시아의 죽음과 부활로 이루시는 하나님의 역사를 보여준다. 61
“하나님의 아들”이 메시아 사역을 설명하는 언어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 은 로마서 8:3에 또다시 등장한다.
바울은 “곧 죄로 말미암아 자기 아들을 죄 있는 육신의 모양으로 보내어 육신에 죄를 정하사”라고 “아들” 언어를 사용한다. 개역개정 성경에서 “정하사”는 “심판하다”(patakri,nw)로 해석 할 수 있다.
법정적 유죄 선언을 의미한다. 62
하나님은 이 심판을 “자기 아 들”을 보내는 방식으로 실행하신다.
이 구절에서 “하나님의 아들”은 “속죄 제물”(개역개정. ‘죄로 말미암아’; peri, a`marti,aj)로서 죄를 심판한다.
페 리 하마르티아스(peri, a`marti,aj)는 칠십인역에서 거의 대부분 속죄제물을 의미한다. 63
이 구절에서 특징적인 언어는 하나님의 아들의 육신이다.
십 자가 사건의 예수 그리스도의 육체는 하나님의 아들의 속죄 제물을 의미 하는 방식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볼 때, “하나님의 아들”이라 는 표현은 메시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64
59 Schreiner, Romans, 272.
60 Wright, “Romans,” 520.
61 Wright, “Romans,” 520.
62 Moo, Romans, 513. 다음에 반대. Käsemann, Romans, 218; Cranfield, Romans, 1:383; Dunn, Romans 1-8, 422.
63 Käsemann, Romans, 216; Dunn, Romans 1-8, 422; Moo, Romans, 512; E. H. Riesenfeld, “peri,,” in TDNT, 6:55; Peter Stuhlmacher, Paul’s Letter to the Romans: A Commentary, trans. Scott Hafemann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4), 119-20; Brendan Byrne, Romans, Sacra Pagina (Collegeville, MN: Liturgical Press, 1996), 243; Wright, Romans, 220-25; Schreiner, Romans, 399.
64 Wright, “Romans,” 580.
미리 아신(proe,gnw) 자들을 “그 아들의 형상을 본받게 하기 위하여” 미 리 정하셨다(prow,risen)는 내용에서 택하신 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언약적 사랑이 표현된다. 65
아들과 관련된 중요한 언어는 언약적이며, 아들에 대 한 구약적 이해로서 백성과 그들이 이루어야 할 내용들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의 아들의 “형상”은 창조의 회복이라는 주제를 상기시킨 다(참조 8:18-23). 66
“형상”은 하나님이 자기 형상으로 인간을 창조한 사건 을 떠올리게 하며(창 1:26–27; 5:1; 9:6), 바울의 개념에서 참된 인류의 회 복이 부활한 하나님의 아들이 그 모델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참조. 고 전 15:49; 고후 3:18; 4:4; 골 1:15). 67
바울의 관점에서 하나님의 아들이라 는 개념은 참된 인간이라는 개념과도 연결성이 있다.
새로운 존재가 된 참 된 인간으로서 하나님의 아들의 형상이다.
메시아 예수, 즉 하나님의 아들 안에서 회복된 하나님의 백성은 단순히 예수 그리스도를 담는 것을 넘어 서 마치 그리스도처럼 세상의 피조물에 자유와 생명과 회복을 이루게 하 는 역할을 기대하게 한다. 68
65 Schreiner, Romans, 444–445.
66 Frank Thielman, Romans, ZECNT (Grand Rapids: Zondervan, 2018), 411.
67 Thielman, Romans, 411. 174 개혁논총
이어지는 내용에서 아들인 그리스도의 개념은 언약적으로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에게 이루고자 하는 일들과 그것을 메시 아적 인물을 통해 실행할 목적을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바울은 이 아들과 관련된 표현에서 “맏아들” 개념을 사용한다. “하나님이 미리 아신 자들을 또한 그 아들의 형상을 본받게 하기 위하여 미리 정하셨으니 이는 그로 많은 형제 중에서 맏아들이 되게 하려 하심이니라”(롬 8:29).
아들의 형상을 본받는 것의 목적을 맏아들과 연관시킨다. 구약에서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맏아들이었다(출 4:22).
그러나 이제 예수 그리스도가 맏아들이 며, 형제 자매라고 표현된 방식을 통해 맏아들인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권속으로 연합된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69
바울은 모든 민족이 아브라함을 통해 복을 받을 것이라는 언약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안에서 성취되었 음을 보여준다. 70
바울은 로마서 8:32에서 다시 “아들”을 사용한다.
“자기 아들을 아끼지 아니하시고(o[j ge tou/ ivdi,ou ui`ou/ ouvk evfei,sato) 우리 모든 사람을 위하여 내주신 이가 어찌 그 아들과 함께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시지 아니하겠느 냐”(롬 8:32).
학자들은 이 부분을 창세기 22장의 이삭 사건과 연관시킨다.
칠십인역 창세기 22:16의 반향으로 이해한다(ouvk evfei,sw tou/ ui`ou/ avgaph tou/). 71
창세기의 아브라함 시험 내러티브에서 하나님은 숫양을 대체해서 주신다. 72
하나님께서 자기 위치를 아브라함의 위치로 바꾸신다. 73
또한 아버지가 그의 종을 죽음으로 내어준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는 이 사야 53:6, 12를 암시한다(pare,dwken, 6절; paredo,qh, 12절). 74
앞에서 서술 한 이사야 53장의 메시아적 인물과 복음, 그리고 고난 받는 종의 사역을 통 해 이루어지는 하나님의 백성의 의 개념과 하나님께서 자기 아들을 내어 주셨다는 개념은 연결성을 가진다.
모두를 위한 하나님의 아들의 죽음은 이사야 53장과 같은 넘겨줌이다(u`pe.r h`mw/n pa,n twn pare,dwken auvto,n). 75
69 Schreiner, Romans, 444–445.
70 Schreiner, Romans, 444–445.
71 Seifrid, “Romans,” 634.
72 Seifrid, “Romans,” 634.
73 Seifrid, “Romans,” 634.
74 Schreiner, Romans, 450–452.
75 Schreiner, Romans, 450–452.
바울은 아들이라는 표현을 모든 사람을 위한 속죄적 죽음과 연결시키고 있다.
하나님의 내어주심과 이어지는 내용에서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후 하나님 보좌 우편에서 사역을 설명한다.
로마서 8:32에 이어서 그리 스도의 죽음, 부활, 보좌 우편에 앉으심은 시편 110:1과 110:5을 암시한다. 법정적 이미지와 간구는 “심판에서 우리에게 적용되는 그리스도의 죽으 심으로 의롭다 하는 평결을 보증한다.”76
그 핵심은 간구이다. “누가 정죄 하리요 죽으실 뿐 아니라 다시 살아나신 이는 그리스도 예수시니 그는 하 나님 우편에 계신 자요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시는 자시니라”(롬 8:34).
로 마서 8:34는 예수 그리스도의 메시아 사역에 비중을 둔다.
그리스도인의 정죄에 관련된 간구가 하나님 우편에 계신 자의 사역이라고 할 수 있고 그 사역은 심판적 언어를 사용한다.
이사야 50:8의 반향과 함께 메시아의 성 취를 보여주는 부분이다. 77
그의 죽음은 죄를 심판하고(8:3), 그의 부활은 칭의를 성취하며(4:24-25), 영화롭게 된 메시아와 영화롭게 된 그의 백성 에 대한 이미지(8:17, 29-30)는 이사야 53:12의 고난 받는 종의 중재 사역 에 대한 언급으로 이해할 수 있다. 78
76 Moo, Romans, 542.
77 Wright, “Romans,” 613.
78 Wright, “Romans,” 613.
4 결론
로마서 1:3-4에서 바울이 사용하는 “다윗의 혈통”과 “하나님의 아들”이 라는 표현은 구약과 유대 문헌에 뿌리를 둔 메시아적 개념이다.
이 두 표현 은 대조되고 발전되는 개념을 병행한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언약과 메시아적 약속이 성취된 것을 나타낸다.
바울은 이 구절 들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가 다윗의 혈통에서 나셨으며, 부활을 통해 하나 님의 아들로 선포되었음을 강조한다.
먼저,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가 다윗의 후손으로서 이스라엘의 메시아적 기대를 충족시키는 인물임을 보여준다.
이는 구약의 예언들과 일치하며, 다윗 계열 메시아가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하나님의 약속을 성취하는 분임 을 의미한다.
바울은 로마서 15장에서 이사야 11:10을 인용하여 예수 그리 스도가 이방인까지 포함하는 구원의 메시아임을 밝힌다.
이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이 아브라함의 복을 성취하고, 모든 열방이 그에게 소망 을 두게 함을 설명한다.
이 내용이 “이새의 뿌리”, 즉 다윗의 “씨”에 표현된 다.
또한,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가 성결의 영을 통해 부활하심으로 하나님 의 아들로 선포되었음을 강조한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 단순한 신분 변화, 또는 존재의 변화, 신적 존재로 격상되었음이 아니라, 메시아가 이루는 구원과 통치에 대한 예언이 성취되었음을 의미한다.
바울은 이사 야서와 에녹서, 쿰란 문헌 등에서 예언된 메시아적 인물의 성령 수여와 부 활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메시아적 정체성을 드러낸다.
바울이 사용한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표현은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 의 아들로서 다윗 언약을 성취하신 분이시며, 메시아적 통치를 통해 이방 인과 유대인을 포함하는 하나님의 구원을 이루는 분임을 나타낸다.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은 하나님의 의를 이루고, 그를 믿는 자들을 의롭 게 하며, 하나님의 백성으로 삼는 구원의 핵심이다.
특히 로마서에서 사용 되는 “아들” 개념은 메시아적 언어에 더 가깝다.
결국, 로마서 1:3-4의 “다윗의 혈통”과 “하나님의 아들”은 예수 그리스 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완성하는 메시아적 개념으로, 바울은 이 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가 구약의 약속들을 성취하고 새로운 언약을 이루 는 메시아임을 선포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를 구 원하셨음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바울이 선포한 메시지는 중요한 기독론적 선언이다.
<참고문헌>
김명일. “로마서에 나타난 ‘그 종’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종 바울.” 「갱신과 부 흥」 통권32호 (2023. 9): 39-70. 조영모. 『누가와 바울이 말하는 성령과 하나님 나라』. 경기: 킹덤북스, 2018. Baltzer, Klaus. Deutero-Isaiah:ACommentary on Isaiah 40-55.Translated by Margaret Kohl. Hermeneia.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1. Barrett, C. K. The Epistle to the Romans. Black’s New Testament Commentaries. New York: Harper & Row, 1957. Bates, Matthew W. “A Christology of Incarnation and Enthronement: Romans 1:3-4 as Unified, Nonadoptionist, and Nonconciliatory.” TheCatholicBiblical Quarterly 77, no. 1 (2015): 107-27. Blenkinsopp, Joseph. Isaiah 40-55: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Anchor Bible 19A. New York: Doubleday, 2002. Block, Daniel I. “Bringing Back David.” In The Lord’s Anointed: Interpretation of Old Testament Messianic Texts, edited by Gordon J.Wenham,Richard S. Hess, and Philip E. Satterthwaite, 167-88. Grand Rapids: Baker, 1995. Bultmann,Rudolf. Theology of theNewTestament.Translated by K. Grobel. NewYork: Scribner, 1951-1955. Charles, R. H. The Book of Enoch or 1 Enoch. Oxford: Clarendon, 1912. Chester,Andrew. Future Hope and Present Reality. 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zum Neuen Testament 293. Tübingen: Mohr Siebeck, 2012. ______. Messiah and Exaltation: Jewish Messianic and Visionary Traditions and New Testament Christology. 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zum Neuen Testament 207. Tübingen: Mohr Siebeck, 2007. Cranfield, C. E. B. A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The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Edinburgh: T&T Clark, 1975-1979. Dunn, James D. G. “Jesus-Flesh and Spirit: An Exposition of Romans 1:3-4.” The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24, no. 1 (April 1973): 40-68. ______. Romans 1-8. Word Biblical Commentary 38A. Dallas: Word Books, 1988. ______. Romans 9-16. Word Biblical Commentary 38B. Dallas: Word Books, 1988. Eskola,Timo. Messiah and the Throne: Jewish Merkabah Mysticism and EarlyChristian Exaltation Discourse. 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zum Neuen Testament 142. Tübingen: Mohr Siebeck, 2001. Goldingay, John.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Isaiah 40-55. The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London: T&T Clark, 2006. Hahn, Ferdinand. The Titles of Jesusin Christology: Their History in Early Christianity. London: Lutterworth Press, 1969. Horbury, William. “Messianism in the Old TestamentApocrypha and Pseudepigrapha.” In King and Messiah in Israel and the Ancient Near East: Proceedings of the Oxford Old Testament Seminar, edited by John Day, 402-33.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Supplement Series 270.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1998. ______. Herodian Judaism and New Testament Study. 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zum Neuen Testament 193. Tübingen: Mohr Siebeck, 2006. Hultgren, A. J. Paul’s Letter to the Romans. Grand Rapids: Eerdmans, 2011. Jewett, Robert. “The Redaction and Use of an Early Christian Confession in Romans 1:3-4.” In The Living Text: Essays in Honor of Ernest W. Saunders, edited by Dennis E. Groh and RobertJewett, 99-12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5. ______. Romans, Hermeneia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7), 106. Johnson, N. C. “Romans 1:3-4: Beyond Antithetical Parallelism.” Journal of Bible Literature 136, no. 2 (2017): 467-90. Käsemann, Ernst.Commentary on Romans.Translated by GeoffreyW.Bromiley. Grand Rapids: Eerdmans, 1980. Kim, M. God’s Judgment through the Davidic Messiah: The Role of the Davidic Messiah in Romans 1:18-4:25. Eugene, OR: Wipf & Stock, 2020. Kraus, Hans-Joachim. Psalms 60-150. Translated by Hilton C. Oswald. Minneapolis: Augsburg, 1989. Longenecker, Richard N. The Epistle to the Rom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Eerdmans, 2016. Moo, DouglasJ. The Epistle to the Romans. New International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s, 1996. Mounce, R. H. Romans. The New American Commentary 27. Nashville: Broadman & Holman, 1995. Nickelsburg, George W. E. “Salvation without and with a Messiah: Developing Beliefs in Writings Ascribed to Enoch.” In Judaisms and Their Messiahs at the Turn of theChristian Era, edited by Jacob Neusner,William Scott Green, and Ernest Frerichs, 49-68.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Poythress, Vern. S. “Is Romans 1:3-4 a Pauline Confession after All.” The Expository Times 87, no. 6 (March 1976): 180-83. Scott, James M. Adoption as Sons of God: An Exegetical Investigation into the Background of yiothesia in the Pauline Corpus. 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zum Neuen Testament 48. Tübingen: Mohr Siebeck, 1992. Schreiner, Thomas R. Paul, Apostle of God’s Glory in Christ: A Pauline Theology.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1. ______. Romans. 2nd ed. Baker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Baker Academic, 1998. Schultz,Richard. “The King in the book ofIsaiah.” In The Lord’sAnointed:Interpretation of Old Testament Messianic Texts, edited by Gordon J. Wenham, Richard S. Hess, and Philip E. Satterthwaite, 141-66. Grand Rapids: Baker, 1995. Seifrid, Mark A. “Romans.” In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edited by G. K. Beale and D. A. Carson, 607-94. Grand Rapids: Baker, 2007. Smith, G. V. Isaiah 1-39. New American Commentary 15. Nashville: Broadman & Holman, 2007. Stuhlmacher, Peter. Paul’s Letter to the Romans: A Commentary. Translated by Scott Hafemann.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4. Thielman, Frank. Romans, Zondervan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NewGrand Rapids: Zondervan, 2018. Turner, M. Power From on High.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1996. ______. The Holy Spirit ad Spiritual Gifts: Then and Now. Carlisle: Paternoster, 1996. VanderKam, James C. “Messianism in the Scrolls.” In The Community of the Renewed Covenant: The Notre Dame Symposium on the Dead Sea Scrolls, edited by Eugene Charles Ulrich and James C. VanderKam, 211-34. Notre Dame, I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94. Whitsett, Christopher G. “Son of God, Seed of David: Paul’s Messianic Exegesis in Romans 2[sic]:3-4.”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119, no. 4 (Winter 2000): 661-81. Wright,J. H. Christopher. Old Testament Ethicsforthe People of God.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2004. Wright, N. T. Paul and the Faithfulness of God.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13. ______. Romans. Vol. 1 of The New Interpreter’s Bible. Edited by Leander E. Keck, 395-770. Nashville: Abingdon Press, 2002.
< 국문초록 >
로마서 1:3-4는 종종 바울 이전의 찬송이나 신앙 고백적 공식으로 여겨진다. 불 트만(Rudolf Bultmann)은 로마서 1:3에서 “다윗의 혈통”이 바울에게는 중요하지 않 다고 주장하며, 메시아 개념이 이스라엘의 민족적 소망에서 천상의 구원자로 진화 했다고 설명한다. 던(James D. G. Dunn)의 신학적 관점을 살펴보면, “육신을 따라” 와 “거룩한 영을 따라”라는 표현은 메시아적 대비를 형성한다고 보지 않는다. 대신, 그는 이 대조가 예수 그리스도의 이중적 정체성을 나타낸다고 해석한다. 그러나 로 마서 1:3-4의 “다윗의 혈통”과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표현은 통합된 메시아적 의 미를 전달한다. 바울은 구약과 유대 문헌에서 메시아적 약속이 성취되었음을 보여 준다. 이 논문은 로마서 1:3-4가 구약과 유대 전통에 뿌리를 둔 메시아적 개념을 반 영하고 있으며, 예수 그리스도가 이 약속들을 성취하는 메시아임을 강조한다. 바울 의 언어 사용을 통해 “다윗의 혈통”과 “하나님의 아들” 모두 메시아적 성격을 지닌 다는 점을 강조하며, 예수 그리스도가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에게 구원을 가져오는 메시아임을 보여준다.
주제어: 하나님의 아들, 복음, 다윗의 혈통, 이새의 뿌리, 다윗의 씨
Abstract
The Messianic Language in Romans 1:3-4:Focusing on “Descendant of David” and “Son ofGod”
Myongil Kim (Adjunct Professor of New Testament, Korea Theological Seminary)
Romans 1:3-4 is often regarded as a pre-Pauline hymn or a creedal formulation. Bultmann argues that the reference to “the seed of David” in Romans 1:3 is not significant for Paul, suggesting that the concept of the Messiah has evolved from a national hope of Israel to a heavenly savior. When examining James Dunn’s theological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flesh” and “according to the Spirit of holiness” does not forms a messianic contrast. Instead, he interprets this contrast as highlighting the dual identity of Jesus Christ. However, the expressions “seed of David” and “Son of God” in Romans 1:3-4 convey a unified messianic meaning. Paul demonstrates the fulfillment of the Messianic promises in the Old Testament and Jewish literature. This paper argues that Romans 1:3-4 reflects a Messianic concept rooted in Old Testament and Jewish traditions, showing that Jesus Christ fulfills these promises. Paul’s use of language in Romans highlights the Messianic nature of both “seed of David” and “Son of God,” emphasizing that Jesus is the awaited Messiah who brings salvation to both Jews and Gentiles.
Key Words: Son of God, Gospel, Lineage of David, Root of Jesse, Seed of David
논문투고일: 2024.07.24. 논문수정일: 2024.09.09. 게재확정일: 2024.09.23.
개혁논총 69권(2024.9)
'신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넨베르그의 선취개념과 존재론적 사유형식으로서의 신앙에 대한 이해/안유경.뮌헨大 (0) | 2024.11.17 |
---|---|
솔로몬의 꿈에 나타난 왕정 이념과 제왕 신탁의 요소들/윤동녕.서울장신대 (0) | 2024.11.17 |
존 폴킹혼의 케노시스 창조론에 대한 비판적 평가/박찬호.백석대 (0) | 2024.11.13 |
찰스 피니의 부흥신학과 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평가/유창형.칼빈대 (0) | 2024.11.12 |
생태학적 정치신학에 관한 연구: 생태 위기 극복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정치 참여/박성철.경희대 (0) | 202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