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머리말
仁祖 14년(淸 崇德 원년) 丙子年 12월 8일(1637년 1월 3일) 1) 청군의 선봉부 대가 압록강을 건너면서 丙子胡亂이 발발하였다.
1) 양력(그레고리력) 연도와 날짜로 표시할 경우 병자호란의 발발 연도는 1636년이 아니라 1637년으로 적어야 한다. 丘凡眞, 2005 역법 문제와 한국사 서술: 날짜 표기의 혼란과 오 류 歷史敎育 94, 272-273면 참조.
전쟁은 이듬해 丁丑年 정월 30 일(1637년 2월 24일) 이른바 ‘三田渡의 恥辱’ 속에 막을 내렸다.
두 달도 채 걸 리지 않은 단기전이었지만 전쟁은 조선의 정치․경제․사회․문화․사상 등 거 의 모든 분야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어찌 보면 17세기 중엽 이후의 조선 역사 가 곧 병자호란으로 입은 상처의 치유와 극복의 과정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따라서 병자호란이 임진왜란과 더불어 ‘兩亂’으로 병칭되는 것은 당연 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병자호란에 관한 한국사 분야의 연구는 임진왜란과 비교할 때 아직 충 분히 이루어졌다고 말하기 어렵다. 그나마 이루어진 연구도 대부분 전쟁 자체보 다는 전쟁의 배경이나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전쟁 자체에 대한 관심의 저 조는, 어쩌면 피해는 엄청났을지언정 그래도 장기간에 걸친 거국적인 항쟁 끝에 승리를 거둔 전쟁이라고 할 수 있는 임진왜란과 달리, 병자호란이 제대로 싸워 보지도 못한 채 불과 수십 일 만에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치욕적인 패배를 인정해야 했던 전쟁이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소수에 그치고 있는 전쟁 자체에 대한 연구마저도 청 쪽의 사료를 거의 이용하지 않거나 당시 청의 상황이나 제 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탓에 적잖은 문제를 노정하고 있다. 2)
2) 柳承宙, 2002 丙子胡亂의 戰況과 金化戰鬪 一考 史叢 55, 391-392면에서도 이러한 문 제를 지적하였으나, 그의 논문 역시 乾隆 연간에 改修된 한문본 淸太宗實錄을, 그 중에 서도 병자호란과 직접 관련된 부분만을 참고한 탓에 오류가 적지 않다.
한편 중국사 분야에서도 병자호란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다고 할 수 없다.
병 자호란이 단기전이면서도 청의 일방적인 승전으로 싱겁게 끝나 버린 탓에 연구 자의 흥미가 반감되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지금까지 ‘入關’ 이전의 淸史 연구에서 조선과의 관계가 기껏해야 주변적인 주제로 취급되어 왔 기 때문으로 보인다.
좀 거칠게 말하자면, ‘입관’ 이전의 청사 연구에서 명과의 관계가 ‘主’, 몽골과의 관계가 ‘副’였다면, 조선과의 관계는 간혹 등장하는 ‘에피 소드’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이런저런 이유로 관심이 저조하다 보니 병자호란이라는 전쟁 자체의 전개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 결과 전쟁의 실상에 대한 역사적 이해의 전제가 된다고 할 수 있는 병자호란 당시 청군의 구성과 규모에 대해서조차 본격적인 고찰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당시 침략의 당사자였던 청 쪽 의 기록에는 뜻밖에도 滿文․漢文을 막론하고 청군의 총수에 대한 언급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다만 당시 조선이나 명의 기록에 “십 수만”, 3) “12만”, 4)“14만”,5)“15만”, 6) “30만” 7)등 다양한 숫자가 등장할 뿐이다.
3) 崔鳴吉, 遲川集 卷17, 雜著, 移陳都督咨(丁丑) ; 李植, 澤堂集 卷7, 咨文, 陳都督前咨 文(丁丑) (이상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
4) 南礏, 南漢日記(申海鎭 역주, 2012 남한일기, 보고사), 丁丑 2月 3日, 72-73면 “淸兵 自號二十萬 詳問于丁卯被虜諸人 則實七萬 蒙兵三萬 孔耿兵二萬 合十二萬矣”; 李肯翊, 練 藜室記述(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 卷25, 仁祖朝故事本末, 丙子虜亂丁丑 南漢出城 의 기록도 같다.
5) 羅萬甲, 丙子錄(尹在瑛 譯, 1985 丙子錄, 삼경당), 急報以後日錄 , 丁丑 2月 8日, 305 면 “軍號二十萬 而其實十四萬也.”
6) 談遷, 國榷(張宗祥 校點, 1958 國榷 六, 北京: 中華書局) 卷95, 崇禎 崇德 9년 12월 丁酉, 5772면 “時建虜十五萬騎侵朝鮮 皆西虜及遼將孔有德耿仲明爲先鋒 大殺掠.”
7) 仁祖實錄(조선왕조실록 데이터베이스 http://sillok.history.go.kr) 卷34, 인조 15년 정월 1일 “虜汗合諸軍 結陣于炭川 號三十萬.”
그러나 이들 숫자는 기록 간 편차도 크거니와, 被擄人의 목격담 혹은 傳聞에 의존하거나(南漢日記․國 榷), 명을 상대로 조선의 전쟁 피해를 강조하기 위해 작성되거나(遲川集․澤 堂集), 조선 국내에서 청의 군세를 과장할 정치적 동기가 있었던(仁祖實錄) 기록에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 그대로 신뢰하기 어렵다. 8) 한편 18세기 이 후 청에서 편찬된 官撰․私撰 사료에 등장하는 “10만”이라는 숫자는, 9) 그 기원 을 따져보면 三田渡 碑文, 즉 ‘大淸皇帝功德碑’ 비문의 “皇帝東征, 十萬其師”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10)
8) 참고로 전쟁이 끝난 뒤 조선 조정에서는 청군의 전사자를 7천여 명으로 파악한 바 있는 데(仁祖實錄 卷35, 인조 15년 7월 4일), 이 역시 명확한 근거가 없기는 마찬가지이다.
9) 皇淸開國方略(文淵閣 四庫全書本) 卷27, 崇德 4年 12月 庚戌 “皇帝東征 十萬其師”; 魏 源, 聖武記(韓錫鐸 · 孫文良 點校, 1984 聖武記, 北京: 中華書局) 卷6, 外藩, 國初征 撫朝鮮記 , 258면 “共十萬.” 후자는 전자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10) 宋康鎬, 2011 三田渡 大淸皇帝功德碑의 硏究 만주연구 11, 334-335면 및 356면.
삼전도 비문의 성격상 “10만” 역시 수사적 과장의 결 과가 분명하기에 그대로 믿기 어렵다는 것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병자호란 관련 연구에서는 대체로 漢文 사료의 기 록 중 하나를 골라서 청군의 규모로 제시하는 수준에 그쳤다. 다만 병자호란에 대한 종합적인 軍事史 연구서인 柳在城의 丙子胡亂史에서는 청군의 병력으로 “128,000명”이라는 숫자를 제시하고 여러 부대의 편제와 각각의 규모까지 일목 요연하게 정리한 바 있다. 11)
11) 柳在城, 1986 丙子胡亂史, 國防部戰史編纂委員會, 134-135면.
병자호란사가 제시한 청군의 규모와 편제는 적잖 은 연구자가 인용하였지만, 저자 본인이 밝혔듯이 사료적 근거가 없이 임의로 작성한 것이었다.12)
12) 위의 책, 308면의 주24)
관견에 한해 실증적 증거에 기초하여 실상에 접근하려고 한 연구자는 臺灣의 黃一農이 유일했던 것으로 보인다. 黃一農은 八旗漢軍 문제를 다룬 논문에서 병 자호란 당시의 청군과 관련하여 종래 인용되어 온 병력 숫자의 비현실성을 비판 하고, 사료상의 증거에 기초하여 청의 원정군이 “披甲軍士”, 즉 정규 병력 약 2 만 명과 약간의 “閑散無甲之人”으로 구성되어 있었다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13)
13) 黃一農, 2004 紅夷大炮與皇太極創立的八旗漢軍 歷史研究 2004-4, 93면. 黃一農의 병 력 추산 근거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병자호란 당시 八旗滿洲에서 니루마다 32명의 甲士 (uksin)를 참전시켰다는 기록과 崇德 4년(1639) 팔기만주의 니루 숫자가 약 240개였다는 사실을 결합하여 팔기만주의 참전 병력을 약 7,000명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漢軍을 전원 동원했다는 기록에 근거하고, 1636년 당시 漢軍이 약 38개 니루로 이루어졌으며 니루마 다 200명의 병력이 있었다고 보아, 漢軍 역시 약 7,000명이 참전했을 것으로 추산했다. 여기에 외번몽고의 병력이 4,000~5,000명 있었다고 추정하였는데, 이는 崇德 2년(1637) 정월 조선에서 출발했던 와르카(Warka) 원정군 3,600명과 4월의 椵島(=皮島) 공격에 투입된 병력을 합한 것이다. 그리고 당시 “三順王”으로 통칭되며 팔기로부터 독립된 별 도의 부대(天佑兵과 天助兵)를 거느렸던 孔有德․耿仲明과 尙可喜의 병력이 약 1,900명 이었다고 파악하였다.
黃一農이 제시한 약 2만 명이라는 숫자는 당시의 滿文․漢文 기록에 근거하여 산출된, 현재 시점에서 가장 실증적인 수치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문 제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黃一農 스스로 인정하였듯이, 八旗蒙古의 참전 병 력이 누락되었으며, 14) 漢軍 병력에 대한 추정은 근거가 박약하다. 또한 黃一農은 병자호란 참전 外藩蒙古15) 병력이 거의 전부 崇德 2년 초의 와르카(Warka) 원 정에 나섰다고 간주하였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실은 그렇지 않았다.
14) 위의 논문, 95면.
15) 이 글에서는 蒙古와 몽골(Mongol)을 ‘몽골’로 통일하되, ‘팔기몽고(jakūn gūsa i monggo)’ 와 ‘외번몽고(tulergi golo i monggo)’는 청의 제도 용어이며 만주어 표기도 ‘monggo’라는 사실을 감안하여 ‘몽고’로 쓰기로 한다. 한편 ‘외번몽고’라는 개념의 성립에 대해서는 이 선애, 2014 淸 初期 外藩(tulergi golo) 형성과정과 理藩院, 고려대학교 사학과 박사학 위논문, 104-110면 참조.
결과적 으로 黃一農은 병자호란 당시 청군의 규모를 과소평가하였다. 이 글에서 우리는 이상과 같은 연구 상황을 참조하는 동시에 당시 청의 상황과 기록에 근거하여 병자호란에 참전했던 청군의 구성과 정규 병력의 규모를 재 구성해 보고자 한다. 16)
16) 이 글의 본문에서 다루는 청군의 병력 규모는 정규병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노복으로서 주인을 따라 종군하는 쿠툴러(kutule, 從僕) 같은 존재는 일단 논외로 삼는다. 다만 맺음 말에서 그들의 수가 대략 얼마나 되었는지 간단히 추정해 볼 예정이다
먼저 제 2장에서는 병자호란 전야 ‘다이칭 구룬(Daicing Gurun, 大淸國)’ 자체의 전시 병력 동원 능력이 어느 정도나 되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서 병자호란 무렵 八旗滿洲, 八旗蒙古, 우전 초하[ujen cooha, 烏眞超哈(훗날의 八旗漢軍)], 天佑兵․天助兵 등 ‘다이칭 구룬’ 자체에서 동원이 가능했던 최대 병력이 어느 정도였는지 드러날 것이다. 다음으로 제 3장에서는 滿文․漢文 기록에 근거한 계산을 통해 병자호란 당시 조선에 출병한 팔기와 우 전 초하 및 天佑兵․天助兵의 병력을 추산할 것이다. 이어서 제 4장에서는 ‘다이 칭 구룬’과 군사적 동맹 관계에 있던 외번몽고 각 집단의 병자호란 참전 병력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따져볼 것이다. 결론을 미리 밝히자면, 병자호란 당시 외번몽고를 포함한 청군 진영의 정규 병력은 대략 34,000명 정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물론 병자호란의 실상을 재구성하는 데에도 의미가 있을 터이지만, 당시 ‘다이칭 구룬’의 군사적 역량, 조 선이 직면해야 했던 군사적 도전의 규모, 17)
17) 병자호란이 전쟁사적으로 조선에 끼친 영향과 이로 인한 군대 편성의 변화에 대해서는 노영구, 2012 16~17세기 鳥銃의 도입과 조선의 軍事的 변화 韓國文化 58, 130-134 면 참조.
그리고 전쟁을 도발한 홍타이지의 입장에서 병자호란의 의미 등에 대한 역사적 이해에도 적잖이 기여할 수 있으리 라 기대한다.
2. 병자호란 전야 ‘다이칭 구룬’의 軍勢
병자호란 당시 조선에 출병한 청군의 구성과 병력 규모를 고찰하기에 앞서, 그 전제 조건, 즉 조선 침공 직전 ‘다이칭 구룬’의 軍勢를 파악해 볼 필요가 있 다.
‘다이칭 구룬’의 군사 역량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었는가? 그 군사 역량을 구성하는 각 요소는 과연 얼마나 많은 병력을 낼 수 있었는가? 병자호란 직전의 시점에서 ‘다이칭 구룬’ 자체의 군사 역량은 상시 조직으로서 의 편성 여부를 기준으로 크게 팔기 내부와 외부의 조직으로 나눌 수 있다.
전 자는 다시 팔기만주와 팔기몽고로, 후자는 다시 ‘우전 초하(ujen cooha, 重軍)’와18) 天佑兵(abkai aisilaha cooha)․天助兵(abkai nonggiha cooha)으로 구성되어 있 었다.
18) 후술하듯이 崇德 2년의 구사 편성 전까지 우전 초하 소속 인원은 평시에는 팔기 각 구사 의 니루에 편입되어 있었으나, 전시에는 팔기와는 별개의 조직으로 편성되어 활동하였다. 따라서 팔기만주․팔기몽고와 같은 상시적인 니루․구사 조직과는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하여, 아래에서는 먼저 팔기만주․팔기몽고의 병력을, 이어서 우전 초하와 天佑兵․天助兵의 병력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1) 팔기만주․팔기몽고
널리 알려진 대로, 八旗(jakūn gūsa)란 여덟 개의 구사(gūsa)를 의미하며, 각 구사는 기층 조직 단위인 니루(niru)가 여럿 모여 이루어진 행정․군사 조직이 었다. 니루와 구사는 원래 필요에 따라 임시로 조직되는 것이었으나, 19)
19) 여진어로 ‘화살’을 뜻하는 ‘니루’는 원래 10명 정도로 구성되는 임시 수렵 조직이었다. 滿洲 實錄(1985 淸實錄 1, 北京: 中華書局 영인본) 卷3, 辛丑年(1601), 117上-118下면 및 유소 맹(이훈․이선애․김선민 옮김), 2013 여진 부락에서 만주 국가로, 푸른역사, 112-118면 참조. ‘구사’는 여진어로 ‘軍團’을 뜻하는 말에서 파생된 것으로서, 원래 50騎를 단위로 하 였다고 한다(三田村泰助, 1962 初期滿洲八旗の成立過程について: 明代建州女眞の軍制 淸水博士追悼記念明代史論叢, 東京: 大安, 327-332면).
누르하치 의 국가 건설 과정에서 점차 상시 조직으로 탈바꿈하였다. 누르하치는 세력 확 장 과정에서 무력으로 복속시켰거나 자발적으로 복속해 온 사람들을 니루-구사 로 조직해 나갔다. 1601년경에는 300명마다 니루 어전(nirui ejen)을 1명씩 두는 니루의 ‘개조’가 이루어졌다. 이어서 1607년경에는 4개의 구사가 확립되었고, 1615년에 다시 8개 구사로 확대되어 팔기 체제가 성립되었다. 20)
20) 팔기의 성립 과정에 대해서는 수많은 연구가 있다. 간략한 설명으로는 유소맹, 앞의 책, 219-255면 참조.
1615년에 일단 완성을 본 팔기 체제는 홍타이지 시기에 들어서서 양적․질적 팽창을 경험하였다. 天聰 9년(1635) ‘팔기몽고’가 새로 편성되었고, 누르하치 이래의 팔기는 ‘팔기만주’로 불리게 되었다. 漢人의 니루-구사 조직은 비교적 늦은 시기에 단계적으로 이루어졌다. 崇德 2년(1637) 7월 처음으로 ‘팔기한군’ 21)
21) 우전 초하의 漢名을 ‘漢軍’으로 정한 것은 順治 17년(1660)의 일이지만, 여기에서는 편의 상 ‘팔기한군’이라는 말을 썼다
2개 구사가 만들어졌고, 崇德 4년(1639) 6월 4개 구사를 거쳐, 崇德 7년(1642) 6월 8 개 구사의 편성이 완료되었다. 이로써 팔기 안에 팔기만주․팔기몽고․팔기한군 이 병립하는 체제가 완성되었다. 따라서 이 글의 주제와 관련해서는 병자호란 전야의 팔기에 팔기만주와 팔기몽고만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병자호란 전야 팔기만주․팔기몽고에서 동원할 수 있었던 정규 병력 은 얼마나 되었을까? 滿洲實錄은 팔기의 형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태조 쿤둘런 한(taidzu kundulen han)은 곳곳을 평정하고 3백 壯丁에 1 니루 어전 (nirui ejen), 5 니루에 1 잘란 어전(jalan i ejen), 5 잘란에 1 구사 어전(gūsai ejen), 구사 어전의 左․右 두 翼에 하나씩 머이런 어전(meiren i ejen)을 두었다. 22)
22) 滿洲實錄 卷4, 乙卯年(1615), 183上면.
이 기록에 따르면 300丁이 1개 니루를, 5개 니루가 1개 잘란을, 5개 잘란이 1 개 구사를 각각 구성한다. 따라서 각 구사에는 25개 니루, 7,500丁이 있었다는 계산이 나온다. 또한 正黃․鑲黃․正紅․鑲紅․正藍․鑲藍․正白․鑲白의 8개 구사가 있었으므로, 팔기의 니루는 모두 합해서 200개, 壯丁은 총 60,000丁이었 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1615년경의 ‘표준’을 밝힌 것이며, 그나마도 실상을 그대로 반영한 것은 아니다. 실제 각 구사의 니루 수, 각 니루의 壯丁 수는 해당 구사․니루의 상황에 따라, 그리고 시기에 따라 달랐다. 23) 예컨대, 天命 6년 (1621) 윤 2월의 시점에서 팔기의 니루는 모두 합해서 232개였다. 24)
23) 楠木賢道, 2009 淸初対モンゴル政策史の硏究, 東京: 汲古書院, 18면의 주7).
24) 단 ‘半個 니루(hontoho)’를 0.5개로 계산하면 231개 니루가 된다. 이밖에 니루로 편성되지 않은 995甲이 있었다. 張晉藩․郭成康, 1988 淸入關前國家法律制度史, 瀋陽: 遼寧人民 出版社, 200면 참조.
그 가운데 .니루가 가장 많았던 鑲藍旗에는 61개 니루가 있었지만 가장 적었던 鑲白旗에는 15개 니루밖에 없을 정도로 구사 간 격차가 컸다. 25)
25) 滿文老檔(滿文老檔硏究會 譯註, 1955~1963 滿文老檔 I~VII, 東京: 東洋文庫) I, 太 祖 18, 天命 6年 閏 2월 26일, 274-275면. 1607년경 4개 구사의 성립 당시 누르하치(黃 旗)․슈르가치(Šurgaci, 藍旗)․추영(Cuyeng, 白旗)․다이샨(Daišan, 紅旗)이 각각 하나 씩의 구사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그 뒤로 黃旗․紅旗는 각각 正․鑲으로 갈라졌고, 藍旗 는 그대로 鑲藍旗가 되어 슈르가치의 아들 아민(Amin)에게 계승되었으며, 白旗는 추영 의 死後 正藍․正白․鑲白의 세 구사로 쪼개졌다. 니루 수에서 구사 간 편차가 컸던 것 은 이러한 사정 때문이었다. 增井寛也, 2009 マンジュ國<四旗制>初建年代考 立命館東 洋史學 32, 20-23면 참조.
‘각 구사 25개 니루, 팔기 전체 총 200개 니루’는 어디까지나 ‘이상’이었던 것이다. 또한 니루 자체가 기존 집단을 해체해 버리고 완전히 새로 편성한 것이 아니라 기존의 혈연․지연 집단 을 그 존재 양태를 감안하여 재편한 것이었기 때문에 장정의 숫자도 니루마다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었다. 26) 이에 天聰 연간 들어서서 홍타이지는 ‘각 구사 30 개 니루, 8개 구사 240개 니루’로의 표준화를 추구하는 한편, 27) 각 니루의 장정 수를 감축하여 200정을 표준으로 삼았다. 28)그런데 여기서 특히 주목해야 할 대목은 니루당 甲數, 즉 甲士(uksin)의 수이 다. 29)
26) 유소맹, 앞의 책, 225면 참조. 단, 張晉藩․郭成康, 앞의 책, 211-212면에서는 天命 연간에 편성된 니루들의 경우는 장정이 300명에 “접근”했다고 보았다.
27) 內國史院檔: 天聰八年(東洋文庫淸朝滿州語檔案史料の総合的研究チーム 譯註, 2009 內國史 院檔: 天聰八年 本文, 東京: 東洋文庫東北アジア硏究班), 天聰 8년 9월 21일, 302-305면.
28) 전투 손실을 비롯한 여러 가지 원인으로 天命 연간의 니루당 300정이라는 ‘표준’을 유지 할 수가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谷井陽子, 2015 八旗制度の硏究, 京都: 京都大學學術 出版會, 231면). 張晉藩․郭成康, 앞의 책, 212-213면에서는 天聰․崇德 연간에 새로 편 성된 니루는 300丁의 定制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음을 지적하면서, 이는 니루의 규모가 점차 축소되고 있던 추세를 반영한다고 보았다. 다만 니루당 300명에서 200명으 로 감소한 시점은 八旗通志初集의 기술이 애매하여 확정할 수 없다고 하였다. 한편, 承 志가 소개한 正藍旗 滿洲 소속 니루의 내력을 기록한 문서를 보면(承志, 2009 ダイチ ン․グルンとその時代, 名古屋: 名古屋大學出版會, 428면), 니루 규모의 축소가 공식화 된 것은 天聰 8년(1634)의 일이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이미 天聰 5년(1631)의 大凌河 원 정 때 니루마다 200명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60甲을 동원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므로 (楠木賢道, 앞의 책, 149면), 실질적으로는 天聰 초부터 니루의 규모가 300명에서 200명 으로 변화해 간 것으로 보인다.
29) 만주어의 “uksin”은 ‘甲’ 또는 ‘甲을 갖춘 정규 병사’를 의미한다. 이 글에서 “uksin”은 모 두 후자, 즉 甲士의 의미이다. 楠木賢道, 앞의 책, 149면 참조.
이론적으로는 니루의 모든 장정이 출전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으나, 무장과 출전에 따르는 각종 부담을 甲士가 지는 당시의 현실에서 300정이든 200정이든 니루 소속 장정 전원에게 甲士로서의 군역을 부과하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했다. 누르하치 시기에는 요동 정복 이후 니루당 최대 150명(300丁의 2분의 1)의 甲士 를 동원한 사례도 보이지만, 30) 명과의 군사적 대립이 장기화한 상황에서 장정의 절반을 甲士로 삼는 것은 지속가능한 일이 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늦어도 天 聰 5년(1631) 이후에는 니루마다 60甲, 즉 전체 200정의 대략 3분의 1 정도를 甲士로 동원하는 방식이 정착되었다. 31) 홍타이지가 “滿洲出兵, 三丁抽一”이라고 밝혔듯이, 32) 天聰 후기 팔기 각 니루의 병력 동원 기준은 60갑이었던 것이다. 한편 누르하치 이래의 팔기 조직과 별도로 팔기몽고가 창설된 것은 天聰 9년 (1635)의 일이었지만, 33) 몽골인의 내속은 天命 초년부터 꾸준히 일어나고 있었 다. 누르하치는 天命 9년(1624)에 이르러 이들 몽골인을 팔기 조직에 편입시켜 구사마다 5개 니루씩 총 40개 니루로 편성하였다. 평시에 이들은 각 구사에 分 屬되어 있었지만, 전시가 되면 각 구사에서 추출되어 별개의 ‘구사’, 즉 작전단위 가 되어 ‘蒙古兵(monggo cooha)’이라고 불렸다. 34) 그 뒤로 차하르(Cahar) 35)릭단(Ligdan) 칸의 압박을 받아 복속해 오는 몽골인이 증가하자, 홍타이지는 天聰 2년(1628) 기존의 ‘몽고병’과 합쳐 ‘몽고의 2개 구사’를 만들었다.
30) 張晉藩․郭成康, 앞의 책, 215-216면; 谷井陽子, 앞의 책, 255면의 주4).
31) 楠木賢道, 앞의 책, 149면; 天聰五年八旗值月檔(中國第一歷史檔案館, 2001 天聰五年 八旗值月檔(二) 歷史檔案 2001-1) 天聰 5년 7월 20일, 17면. 대릉하 원정 당시 니루 당 60명의 갑사 가운데 3분의 2는 출정하고 나머지 3분의 1은 본국 수비를 맡았다.
32) 淸太宗實錄(1985 淸實錄 2, 北京: 中華書局 영인본) 卷17, 天聰 8년 정월 癸卯.
33) 이하 팔기몽고의 창설 과정에 관한 서술은 별도의 주기가 없는 한 張晉藩․郭成康, 앞의 책, 263-291면 및 楠木賢道, 앞의 책, 31-44면에 근거한 것이다.
34) 사료에 등장하는 “구사”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평시의 행정․사회 조직으로 서 니루의 집합체를, 다른 하나는 전시의 작전단위, 즉 ‘軍團’을 뜻한다. 이 글에서는 후 자를 뜻하는 경우 작은따옴표(‘ ’)를 붙여 양자를 구별하기로 한다. 楠木賢道, 앞의 책, 4 면 및 146면 참조. 아울러 몽골의 군사조직 호쇼(qosiɣu) 역시 만주어 사료에서는 ‘구사’ 로 표기되는데, 이 글에서는 八旗(jakūn gūsa)와 구별하기 위해 이 역시 따옴표를 붙이 기로 한다. 다시 말해서 이 글에서 작은따옴표가 붙지 않은 구사는 팔기 체제의 구사만 을 가리킨다.
35) 본고에서는 필자들이 몽골어에 익숙하지 못한 점, 필자들이 이용한 사료가 만주어 자료 로 한정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여 전사와 표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몽골어 고유명사는 滿文老檔의 만주어 전사 및 발음에 따라 표기하였음을 밝힌다. 단, 주15)에서 밝 힌 바와 같이 ‘몽골(Mongol)’은 몽골로 표기한다.
사료에서 ‘舊蒙 古(fe monggo)’라고 불린 것은 바로 이들이었다. 天聰 9년(1635)에 이르러 홍타이지는 팔기 內․外의 카라친(Karacin)․투메트 (Tumet) 장정에 대한 編審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파악한 카라친․투메트의 17,000丁을 모두 11개 구사로 나누었는데, 이 가운데 약 9,000丁을 外藩 카라 친․투메트의 3개 ‘구사’로 삼고, 나머지 8,000丁을 ‘舊蒙古’와 합쳐서 8개의 구사, 즉 ‘팔기몽고’로 재편하였다. 다시 말해서 天聰 9년에 창설된 팔기몽고는 기존의 전시 조직 ‘舊蒙古’와 새로 편심한 카라친․투메트 장정을 합쳐서 구성한 조직이 었던 것이다. 어디까지나 전시 조직이었던 ‘舊蒙古’와 달리 팔기몽고는 전시 조직이자 평시 조직으로서 팔기만주와 병립하는 위상을 점하게 되었지만, 그 규모에서는 팔기 만주보다 작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종래의 ‘舊蒙古’ 40개 니루에 天聰 후기 까지 최소 10개 니루가 추가되었고, 天聰 9년 팔기몽고 창설 시에 구사마다 2개 씩 합계 16개 니루가 추가되었다. 여기에 새로 편심을 거쳐 파악한 카라친․투 메트 壯丁은 16~20개 니루 및 軍役을 지지 않는 “閑散蒙古(sula monggo)”로 편성되었다. 이들을 모두 합한 팔기몽고의 니루 수는 80개 남짓이 되며, 장정 수 는 약 18,000丁 정도로 추산된다. 36)
36) 단, 後金에 복속한 모든 몽골인이 팔기몽고에 편입된 것은 아니었다. 예컨대 天命 7년 (1622)에 來附한 우루트(Urut)와 天命 9년(1624)에 歸附해 온 바요트(Bayot)는 기존의 사회 조직을 유지하면서 평시․전시를 막론하고 팔기로부터 독립된 ‘구사’로 존재하였다. 天聰 6년(1632) 홍타이지는 이들의 독립 ‘구사’를 폐지하고 ‘舊蒙古’와 함께 행동하도록 하 였지만, 天聰 9년 팔기몽고 편성 시에는 이들을 팔기만주에 잔류시켰다. 이들을 포함하여 팔기만주에 잔류한 몽골인 니루는 모두 18개였다. 張晉藩․郭成康, 앞의 책, 263-269면 및 284-291면; 楠木賢道, 앞의 책, 31-44면 및 48-56면 참조.
그렇다면 홍타이지는 병자호란 전야에 팔기만주와 팔기몽고로부터 얼마나 많 은 병력을 동원할 수 있었을까? 甲士를 내는 부담은 구사가 아닌 니루의 몫이었 으므로,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니루의 총수이다. 입관 전 팔기의 니루 총수에 대 한 추정으로는 먼저 房兆楹(Fang Chaoying)의 연구가 주목할 만하다. 그는 八 旗通志初集의 기록에 근거하여 1601~1735년간 니루 총수의 변동 내역을 추적 한 바 있다. 37) 이에 따르면 1636년에는 팔기만주 269개, 팔기몽고 113개, 팔기한 군 38개, 합계 420개 니루가 존재하였다. 38) 그러나 房兆楹의 추산은 후대의 편찬 자료인 八旗通志初集에 근거한 것이고, 성립 연대가 불확실한 니루의 편성 시 기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특정 시점의 니루 숫자를 너무 크게 잡았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39)房兆楹과 달리 郭成康은 八旗通志初集 외에도 후대가 아닌 당대의 사료 기 록까지 폭넓게 활용하여 비교적 신뢰도가 높은 입관 전 니루 총수를 제시하였 다. 40)
37) Chaoying Fang, 1950 “A Technique for Estimating The Numerical Strength of The Early Manchu Military Forces,”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Vol. 13, no. 1/2, pp. 208-209, Table 2.
38) 그러나 후술하듯이 1636년 시점에서 팔기한군은 엄밀히 말하자면 존재하지 않았다. 다만 우전 초하라는 이름의 전시 조직이 있었을 뿐이고, 팔기만주에서와 같은 성격과 내용의 정규 니루로 조직되어 있지는 않았다.
39) 房兆楹이 추정에 사용한 방법은 Chaoying Fang, op.cit., pp. 195-196 참조.
40) 張晉藩․郭成康, 앞의 책, 199-210면. 이 내용은 원래 郭成康, 1987 淸初牛彔的數目 淸 史研究通訊 1987-1을 통해 발표된 것이다.
郭成康의 추산에 따르면, 팔기 체제 성립 초기의 니루 총수는 약 200개였 으나, 天命 6년(1621) 약 230개, 天聰 6년(1632) 288개를 거쳐 天聰 말기 약 330 개로 증가하였으며, 입관 직전에는 팔기만주가 약 250개, 팔기몽고가 약 100개, 팔기한군이 약 150개 등으로 합계 약 500개의 니루가 있었다. 41)
41) 한편 阿南惟敬은 사르후(Sarhū) 전투가 있었던 天命 4년(1619)에 약 200니루, 天聰 8년 (1634) 250개 이하의 니루가 존재했다고 보았다. 阿南惟敬, 1961 淸初の甲士に関する考 察 歷史敎育 8-11, 184면 및 阿南惟敬, 1966 滿洲八旗國初ニルの硏究 防衛大學校 紀要人文․社會科學編 13, 241면(楠木賢道, 앞의 책, 150면에서 재인용) 참조. 그러나 天聰 5년(1631) 대릉하 원정 당시 최소 250니루가 존재했던 것이 확인되므로(楠木賢道, 앞의 책, 149-150면), 阿南惟敬의 추정치는 과소평가로 판단된다. 참고로, 谷井陽子는 각 구사 30니루, 각 니루 壯丁 200명을 전제로 팔기만주의 壯丁 수를 약 48,000丁으로 추정 하고 여기에 팔기몽고 약 18,000丁을 더하여, 天聰 말 팔기만주․팔기몽고의 壯丁 총수가 7만을 넘지 못했다고 추산하였다(谷井陽子, 앞의 책, 231-232면).
이 밖에도 청 황제 및 종실 王公들이 소유한 니루, 즉 ‘보오이 니루(booi niru, 包衣 니루)’가 입관 직전 약 64개에 달하였다고 한다. 42)
42) ‘보오이 니루’는 ‘보오이 니얄마(booi niyalma, 家人)’ 또는 ‘보오이 아하(booi aha, 家奴)’ 라고 불렸던 청 황제 및 종실 왕공 소유의 노복들을 니루로 편성한 것이었다. ‘booi niyalma’, ‘booi aha’, ‘booi niru’ 등 관련 명칭이나 그 운영에 대해서는 增井寛也, 2008 淸 初ニル類別考 立命館文學 608, 111-124면 및 谷井陽子, 앞의 책, 149-168면 참조.
지금까지 소개한 두 가지 추정치 가운데 신뢰도가 더 높은 郭成康의 연구 결 과에 기초하여 병자호란 전야 팔기만주․팔기몽고의 니루 총수를 추산하면 다음 과 같다. 먼저 팔기만주의 경우는 입관 직전 약 250개 니루가 있었지만 崇德 연 간의 증가분을 감안하면 병자호란 전야에는 약 240개 니루가 있었던 것으로 보 면 무난할 것이다. 팔기몽고는 위에서 서술한 대로 80개 남짓의 니루로 구성되 어 있었다. 따라서 병자호란 전야 팔기만주․팔기몽고의 니루 총수는 320~330 개 정도로 볼 수 있는데, 이는 天聰 말기의 니루 총수가 약 330개였다는 郭成康 의 추산과도 부합한다. 이 숫자에 天聰 말 니루당 동원 가능 갑사 60명을 곱하 면, 팔기만주․팔기몽고의 정규 병력 총수는 약 2만 명 수준으로 계산된다. 43)
43) 단 이 숫자에는 ‘보오이 니루’의 병력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보오이 니루’에 속한 사람들 은 전쟁 참가, 전리품의 분배, 전공에 대한 포상 등에서 팔기의 일반 니루에 속한 사람들 과 별 차이가 없었다(谷井陽子, 앞의 책, 265면). 또한 병자호란 이후의 기록에 언급된 것 이긴 하지만, ‘보오이 니루’에도 ‘니루당 60명의 갑사’라는 ‘표준’이 적용되었다. 淸太宗實 錄 卷55, 崇德 6년 4월 甲子 “上召衆於篤恭殿 諭曰 八家所屬每牛彔 (중략) 每牛彔滿洲 三人中 許一人披甲 以六十名爲常數 其中或多或少 務於三人中選一人 他牛彔甲雖有餘 亦 不許補不足者.” 참고로 楠木賢道, 앞의 책, 149면에서는 이 사료를 팔기만주의 일반 니루 에 관한 것으로 보았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八家(jakūn boo) 소속’ 니루, 즉 ‘보오이 니 루’에 대한 것이었다.
2) 우전 초하와 天佑兵․天助兵
이번에는 우전 초하, 天佑兵․天助兵 등 팔기 조직 외곽의 병력에 대하여 차 례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팔기한군은 만주어로 ‘우전 초하(ujen cooha, 重 軍)’라고 불렸으며, 병자호란 전야에는 아직 정식의 니루-구사로 편성되지 않은 상태였다.
우전 초하는 火器를 다루는 병종으로 출발하였고, 병자호란 전야에는 天聰 9년 팔기몽고 편성 이전의 ‘舊蒙古’와 마찬가지로 평시에 팔기 각 구사의 니루에 분속되어 있다가 전시에 각 니루로부터 추출되어 별도의 ‘구사’로 조직되어 출전하였다. 44) 이에 따라 우전 초하의 전시 동원에는 팔기의 각 니루와는 다 른 기준이 적용되고 있었다. 우전 초하는 天聰 5년(1631) 정월 來投한 漢人 軍民을 佟養性[si uli efu]에게 관할하도록 맡긴 데에서 출발하였다. 45) 이에 따라 그들은 “시 울리 어푸(si uli efu)의 구사”, 혹은 “니칸 초하(nikan cooha, 漢兵)”라고 불렸다. 天聰 5년 3월 홍타이지가 新編 니칸 초하에 대한 열병을 실시할 때 그 병력은 行營․駐守 병 력을 합쳐 총 3천여 명이었다. 46)
44) 細谷良夫, 1994 烏眞超哈(八旗漢軍)の固山(旗) 松村潤先生古稀記念淸代史論叢, 東 京: 汲古書院, 174-182면; 楠木賢道, 앞의 책, 154면.
45) 淸太宗實錄 卷8, 天聰 5년 正月 乙未.
46) 天聰五年八旗值月檔 天總 5년 3월 13일, 5면; 黃一農, 앞의 논문, 84-85면.
니칸 초하는 같은 해 벌어진 大凌河 전투에 참 가, 홍이포 등의 火器를 다루어 큰 공을 세웠다. 이듬해인 天聰 6년(1632) 정월 에도 니칸 초하의 총수는 여전히 3천 명 수준을 넘지 못하였지만, 47) 天聰 7년 (1633) 5월 홍타이지가 만주인 가정에 속한 漢人 10명당 1명에게 綿甲을 입히도 록 함으로써 1,580명의 신규 병력을 확보하였고, 이에 따라 니칸 초하는 약 5천 명 규모로 불어났다. 48) 天聰 8년 5월에 이르러 홍타이지는 니칸 초하를 우전 초 하로 개칭하였다. 49)한편 우전 초하에 대한 니루 편성은 崇德 2년의 구사 성립 전부터 그 단서가 보여, 崇德 원년까지 적어도 31개 니루가 만들어졌다. 50)
47) 天聰朝臣工奏議(潘喆․孫方明․李鴻彬 編, 1989 淸入關前史料選輯(二), 北京: 中國 人民大學出版社 點校本), 佟養性謹陳末議奏 天聰 6年 正月 22日, 9면 “目今新編漢兵 馬步兵僅三千 兵力似少 火器不能多拿”; 張晉藩․郭成康, 앞의 책, 308면.
48) 淸太宗實錄 卷14, 天聰 7년 7월 辛卯; 內國史院檔: 天聰七年(東洋文庫淸代史硏究室 譯註, 2003 內國史院檔: 天聰七年, 東京: 東洋文庫) 天聰 7년 7월 1일, 96면; 張晉藩․ 郭成康, 앞의 책, 308면.
49) 內國史院檔: 天聰八年 天聰 8년 5월 5일, 135-136면. 細谷良夫는 入關 이후에도 八旗漢 軍의 만주어 명칭이 우전 초하였음을 지적하면서, 우전 초하=漢軍은 군사적 목적으로 편성되었으므로 팔기만주․몽고와 동일한 방식으로 파악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細谷 良夫, 앞의 논문, 165-166면).
50) 張晉藩․郭成康, 앞의 책, 313면.
그러나 우전 초하 전체 가 니루로 편성된 것은 아니었을 뿐만 아니라 니루마다 규모의 편차도 컸다. 게 다가 당시 우전 초하의 니루는 팔기만주․팔기몽고의 니루와 제도적․실질적으 로 달랐고, 이로 인해 전장에서 군기가 해이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 다. 이에 홍타이지는 崇德 2년 7월 우전 초하를 팔기만주의 예에 따라 니루로 편성, 2개 구사로 조직하였다. 51)
51) 淸太宗實錄 卷37, 崇德 2년 7월 乙未; 張晉藩․郭成康, 앞의 책, 311-313면.
이로써 니루-구사의 정규 편제를 갖추게 된 우 전 초하는 崇德 4년(1639) 6월 4개 구사로 증편되었는데, 이 시점에 각 구사에 는 18개씩의 니루가 있었다. 崇德 7년(1642) 우전 초하는 팔기만주․팔기몽고와 마찬가지로 8개 구사로 증편되었으며, 이 해에만 99개 니루가 새로 편성되는 등 명실상부하게 팔기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52)
52) 張晉藩․郭成康, 앞의 책, 314-318면.
팔기한군의 성립 경위가 이상과 같다면, 병자호란 전야 우전 초하의 병력 규 모는 어느 정도였을까? 당시 우전 초하는 아직 팔기만주․팔기몽고와 같은 완전 한 의미의 니루-구사 조직이 아니었으므로 니루당 몇 명의 갑사를 내는 방식으 로 병력이 동원되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전시 조직이었던 우전 초하의 경우는 사료상의 병력 총수가 중요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天聰 7년 니칸 초하는 약 5천 명 규모였다. 그리고 사료에 따르면 崇德 2년(1637) 7월 우전 초하의 병 력 총수는 1만 명에 가까웠다. 53)
53) 明淸史料 丙編 第一本(國立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 編, 1936 明淸史料 丙編 第一 本, 上海: 商務印書館), 鮑承先奏本 崇德 2년 7월 16일, 51면 “今我國漸大 人衆砲多 然 馬步兵丁近萬.”
병자호란 이후 崇德 2년 7월까지 우전 초하의 병력에 큰 변동이 있었음을 알려주는 사료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병자호란 전야의 우전 초하 병력은 약 1만 명으로 추산해도 별 문제는 없어 보인다. 다음으로 天佑兵․天助兵을 보기로 하자. 평시에는 팔기 조직에 편입되어 있 던 우전 초하와 달리, 天佑兵․天助兵은 평시와 전시 모두 팔기 조직 바깥에 머 물러 있었다. 그들은 明을 등지고 홍타이지에게 복속해 온 孔有德․耿仲明과 尙 可喜의 부대였다.
원래 毛文龍의 부하로 椵島(=皮島)에 주둔하고 있던 孔有 德․耿仲明․尙可喜는 毛文龍이 袁崇煥에 의해 주살된 뒤 각지를 떠돌았다. 孔 有德․耿仲明은 登萊巡撫 孫元化 휘하에 들어갔다가 반란을 일으켜 쫓기던 끝에 天聰 7년(1633) 後金에 투항하였고, 尙可喜는 廣鹿島에 주둔하고 있다가 天聰 8 년(1634) 투항하였다. 54)
54) Frederic Wakeman Jr., 1985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Vol. 1,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196-200.
홍타이지는 이들의 투항을 크게 환영하면서 그 휘하 병 력을 팔기에 편입시키지 않고 별도의 부대로 유지시키는 등의 우대 조치를 베풀 었다. 天聰 8년(1634) 5월 홍타이지는 孔有德․耿仲明의 부대에 天佑兵(abkai aisilaha cooha), 尙可喜의 부대에 天助兵(abkai nonggiha cooha)이라는 이름을 부여하였다. 55)사료에 의거하면, 天佑兵은 崇德 3년(1638) 孔有德 휘하에 약 3,000명, 耿仲明 휘하에 약 2,300명이 있었다. 56)
55) 內 國史院檔: 天聰八年 天聰 8년 5월 5일, 135-136면; 淸太宗實錄 卷18, 天聰 8년 5월 庚寅.
56) 淸初內國史院滿文檔案譯編 上(中國第一歷史檔案館 編, 1989 淸初內國史院滿文檔案譯 編 上, 北京: 光明日報社), 崇德 3년 6월 18일, 320면. 단 이 사료의 天佑兵 관련 기록에 대해서는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할 여지가 없지 않다. 崇德 3년 內國史院檔의 출판 텍 스트는 모두 3종(季永海․劉景憲 譯編, 1988 崇德三年滿文檔案譯編, 瀋陽: 遼瀋書社; 中國第一歷史檔案館 編, 1989 淸初內國史院滿文檔案譯編 上, 北京: 光明日報社; 河內 良弘 譯註․編著, 2010 內國史院滿文檔案譯註: 中國第一歷史檔案館藏 崇徳二․三年分, 京都: 松香堂書店)이 있는데, 崇德 3년 6월 18일의 해당 기사는 中國第一歷史檔案館 編 淸初內國史院滿文檔案譯編에만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北京第一歷史檔案館에는 崇 德 3년 6월 11일 孔有德이 秘書院에 보낸 手本이 남아 있고[ 恭順王孔有德爲照例派兵事 致秘書院手本 (中國第一歷史檔案館, 1982 淸崇德三年漢文檔案選編 歷史檔案 1982- 2), 25면], 그 내용은 淸初內國史院滿文檔案譯編 崇德 3년 6월 18일 기사의 孔有德 관 련 부분과 거의 같다. 따라서 淸初內國史院滿文檔案譯編에 실린 崇德 3년 6월 18일의 해당 기사는 그대로 신뢰해도 좋을 것으로 보인다
병자호란 전야에도 이와 거의 차이가 없었을 것 으로 보인다. 天助兵의 병력 총수를 전하는 기록은 보이지 않으나, 天聰 8년의 귀순 당시 尙可喜가 거느린 男丁이 1,405명이었으므로, 57) 그 휘하의 병력은 이보 다 많았다고 보기 어렵다.
57) 內國史院檔: 天聰八年 天聰 8년 2월 16일, 79면; 淸太宗實錄 卷17, 天聰 8년 2월 癸酉.
따라서 병자호란 전야의 天佑兵․天助兵은 대략 6,700 명, 아무리 많아야 7,000명 수준이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天佑兵․天助兵은 팔기 소속 각 니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시에 전 원을 출정시킬 수 없었다. 그들 역시 생산 활동에 종사하고 가족을 돌보아야 하 는 처지에 있었기 때문이다.
병자호란 이전의 기록에서는 天佑兵․天助兵의 전 시 동원 비율을 알 수 없다. 만약 팔기 소속 니루처럼 대략 3분의 1을 동원하였 다면 실질적인 동원 가능 병력은 2,200~2,300명에 그치게 된다.
하지만 崇德 3 년의 기록에 天佑兵은 10명마다 “一馬一步”, 즉 마병 1명, 보병 1명, 합계 2명 동원이 종전의 常例였음을 밝혀 주는 내용이 보인다. 58)
58) 淸初內國史院滿文檔案譯編 上, 崇德 3년 6월 18일, 320면 “懷順王奏稱 (중략) 亦照舊 例 十人之中 遣步騎各一 以爲規矩 爲時久矣”; 恭順王孔有德爲照例派兵事致秘書院手本 , 25면 “切查上年蒙皇上差貴院來諭 本爵下官兵每十人派三名 本爵卽欽遵派馬步官兵八百員 名 後不爲例 今後隨征 除恩准優免外 實在官兵三千員名 照例十人一馬一步 共該馬步官兵 六百員名 永爲後例 永爲遵守.” 단, 淸初內國史院滿文檔案譯編의 문장은 만주어 원문의 漢譯이다.
아마도 홍타이지는 天佑 兵 등이 귀부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사정을 감안하여 팔기의 각 니루보다 낮 은 동원 비율을 적용하는 우대 조치를 베풀고 있었던 것 같다. 이에 따른다면, 일반적인 경우 天佑兵․天助兵으로부터 동원할 수 있었던 병력은 1,300~1,400명 수준으로 잡아야 할 것이다.
3. 병자호란 당시 청군의 구성과 병력
지금까지 병자호란 전야 ‘다이칭 구룬’이 팔기 안팎에서 동원할 수 있었던 병 력 규모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에 따르면, ‘다이칭 구룬’은 팔기만주․팔기 몽고에 320~330개 니루, 니루마다 60명의 甲士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팔 기 조직에서 동원 가능한 정규 병력은 약 2만 명 수준이었다. 여기에 더하여 전 시 조직으로서의 우전 초하 병력이 약 1만 명 존재하였으므로, 팔기만주․팔기 몽고․우전 초하의 동원 가능 병력 합계는 약 3만 명으로 계산된다.
여기에 전 시에 동원할 수 있었던 天佑兵․天助兵의 1,300~1,400명까지 합하면 ‘다이칭 구 룬’이 팔기 안팎에서 동원할 수 있는 정규 병력 총수는 31,000~32,000명으로 계 산된다.
이와 같은 수치는 후술하는 외번몽고의 병력까지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종래 최소 10만 명에 달하는 사료상의 병자호란 당시 청군 병력이 얼마나 비현실적이었는지를 잘 드러낸다고 할 것이다.
게다가 31,000~32,000명이라는 숫자도 어디 까지나 최대 동원 능력을 나타내는 것이지, 병자호란 당시 청군의 병력 규모 자 체가 될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머리말에서 언급했듯이 청 쪽의 당시 기록에는 滿文이든 漢文이든 청군의 병력 총수가 등장하지 않지만, 지금까지의 서술과 병 자호란 관련 사료의 기록을 결합하면 ‘다이칭 구룬’이 팔기 안팎에서 동원한 병 력의 규모를 추산하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구체적인 병력 추산에 앞서 병자호란 당시 청군, 즉 원정군 전체의 편제를 滿 文老檔의 기록에 기초하여 재구성해 보면 <표 1>과 같다. 59)
<표 1> 병자호란 당시 청군의 편제 (* 전거: 滿文老檔 Ⅶ, 太宗 崇德 38.)
부대명 지휘관 병력 또는 구성
선봉부대 제1대 마푸타(Mafuta) 로사(Loosa) 300명(前鋒, gabsihiyan)
제2대 도도(Dodo) 쇼토(Šoto) 니칸(Nikan) 1,000명(護軍, bayara)
제3대 요토(Yoto) 양구리(Yangguri) 3,000명
左翼 부대 도르곤(Dorgon) 호거(Hooge) - 正白․鑲白․正藍旗의 만주와 몽고
- 외번몽고 左翼
右翼 부대 홍타이지 - 正黃․鑲黃․正紅․鑲紅․鑲藍旗의 만주와 몽고
- 외번몽고 右翼
후위[輜重] 두두(Dudu) 孔有德․耿仲明․ - 니루당 甲士 3명
尙可喜 石廷柱․馬光遠 - 天佑兵․天助兵
- 우전 초하
59) 김종원, 1999 근세 동아시아관계사 연구: 朝淸交涉과 東亞三國交易을 중심으로, 혜안, 197-198면의 주178)에서는 淸太宗實錄의 기록에 근거해서 병자호란 당시 청군의 편제 를 首隊․前軍․中軍․後軍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표 1>과 거의 다름이 없 다. 그러나 김종원은 병력 규모에 대하여 滿洲 7旗 52,500명 미만, 蒙古 3旗 22,500명 미 만, 蒙古 左翼軍 및 蒙古 諸王의 親率軍 도합 30,000명 미만, 孔有德 등의 ‘漢軍’을 합해서 총 10만 명에서 14만 명으로 추산된다고 하여[위의 책, 184면의 주154)], 종래의 다른 연 구들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柳承宙, 앞의 논문, 397-398면 역시 淸太宗實錄을 인용하 여 청군의 선발대 총 4,300명이 세 차례에 걸쳐 南漢山城에 도착하였다고 언급하였으나, 청군의 총 병력에 대해서는 柳在城, 앞의 책, 134-135면의 약 13만 명을 답습하였다.
다음으로 병자호란 당시 청군의 병력 규모를 추산해 보자. <표 1>에서 보듯이 원정군의 좌익과 우익에는 외번몽고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들의 병력 규모에 대한 논의는 다음의 제 4장으로 미루고, ‘다이칭 구룬’ 자체에서 동원한 병력이 얼마였는지를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팔기만주․팔기몽고와 우전 초하의 참전 병력은 당시 兵部 사무를 맡고 있던 버일러(beile, 貝勒) 요토가 내린 동원령을 수록한 滿文老檔의 崇德 원년 11월 19일 조 기사를 통해 어렵지 않게 계산할 수 있다.
1 니루의 騎兵(aliha cooha) 15명, 步兵(beki cooha) 10명, 護軍(bayara) 7명, 합계 32명, 암반 장긴(amban janggin) 石廷柱의 우전 초하 전부[amban janggin ši ting ju i ujen cooha yooni] (후략) 60)
60) 滿文老檔 Ⅶ, 太宗 崇德 36, 崇德 元年 11월 19일, 1450면. 단, “amban janggin ši ting ju”를 舊滿洲檔에서는 “amba janggin ši ting ju”로 적었다[舊滿洲檔(國立古宮博物 院 編, 1969 舊滿洲檔 一~十, 臺北: 國立古宮博物院) 十, 宇字檔, 崇德 元年 11월 19일, 5308면]. 한편 “ujen cooha yooni” 부분과 관련하여, 현재 통용되고 있는 乾隆三修 漢文 本 淸太宗實錄 卷32, 崇德 元年 11월 己未조에서는 “昂邦章京石廷柱所統漢軍 每甲士一 人 箭五十枝 甲士二人 備長槍一杆 (후략)”이라고만 적어 우전 초하의 병력 총수를 알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록 改修 과정에서 만주어 원문의 “전부(yooni)”를 누락하 고 그 다음에 바로 이어서 원정군이 소지할 무기와 장비에 관한 명령을 서술한 것이다. 滿 文老檔이나 舊滿洲檔에는 명백히 “石廷柱의 우전 초하 전부”로 기록되어 있다. 이른 바 淸三朝實錄이라는 이름으로 일본에 현존하고 있는 康熙重修 漢文本 淸太宗實錄 의 鈔本을 보면, 역시 “昂拜章京石廷柱所統烏眞超哈全軍”(卷32, 崇德 元年 11월 己未)이 라 하여 우전 초하 전군의 동원 사실을 밝히고 있다. 일본에 현존하는 淸三朝實錄에 대해서는 神田信夫, 1993 日本に傳存する淸三朝實錄の来歷について 日本所在淸代 檔案史料の諸相, 東京: 東洋文庫淸代史研究室(神田信夫, 2005 淸朝史論考, 東京: 山 川出版社에 재수록) 참조. 여기에서 이용한 康熙重修 漢文本은 京都大學 人文科學研究所 附屬 漢字情報硏究センター의 東方學デジタル圖書館(http://kanji.zinbun.kyoto-u.ac.jp/ db-machine/toho/html/top.html)에서 제공하는 內藤文庫本이다. 日本國立國會圖書館デ ジタルコレクショ(http://dl.ndl.go.jp/info:ndljp/pid/2606128)에서 제공하는 國立國會 圖書館本도 내용은 같으나 자구에 일부 異同이 있다. 참고로, 이 글에서 인용하는 淸太 宗實錄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乾隆三修 漢文本을 가리킨다.
이 무렵 니루 단위로 출정 병력을 할당한 것은 팔기만주와 팔기몽고였다. 따 라서 이 기록에 보이는 騎兵(aliha cooha), 步兵(beki cooha), 護軍(bayara)을 합 한 “32명”은61) 당시 팔기만주․팔기몽고의 320~330개 니루를 대상으로 한 것이 된다. 이로부터 팔기만주․팔기몽고의 참전 병력은 대략 1만 명 남짓이었다는 계산이 나온다. 62)
61) 騎兵(aliha cooha), 步兵(beki cooha), 護軍(bayara) 등 병종에 대해서는 谷井陽子, 앞의 책, 255-265면 참조.
62) 팔기만주․팔기몽고의 일반 니루 외에 ‘보오이 니루’에 속하는 자가 병자호란이나 그 직 후의 가도 원정에 참전한 사례가 확인된다(淸太宗實錄 卷36, 崇德 2年 6月 甲子; 劉建 新․劉景憲․郭成康, 1982 一六三七年明淸皮島之戰 歷史檔案 1982-3, 88면). 특히 18 세기 조선에도 널리 알려졌던 金常明의 조부 新達理(Sindari)는 正黃旗 소속 보오이(包 衣)로 병자호란에 참전, 강화도 점령 과정에서 세운 공을 인정받아 조선인으로 구성된 ‘보오이 니루’의 우두머리가 되었다(우경섭, 2009 17세기 전반 滿洲로 歸附한 조선인들: 『八旗滿洲氏族通譜』를 중심으로 朝鮮時代史學報 48, 192-194면). 제 2장에서 언급 했듯이 입관 직전에는 64개의 ‘보오이 니루’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보오이 니루’ 수의 최댓값으로 잡고 팔기의 일반 니루에서와 동일한 기준이 적용되어 니루당 32 명의 갑사가 조선 침공에 동원되었다고 가정하면, 그 총수는 약 2,000명으로 계산된다. 그러나 이 무렵 ‘보오이 니루’의 수를 알 수 없기 때문에 팔기의 병자호란 참전 병력에는 산입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우전 초하에 대해서는 “전부”를 동원하였다. 당시 우전 초하 병력은 약 1만 명이었으므로, 병자호란 참전 병력 역시 약 1만 명이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위의 기록만으로는 天佑兵․天助兵으로부터 얼마나 많은 병력을 동원했 는지 알 수가 없다. 앞에서 天佑兵․天助兵은 보통 10명당 2명을 동원하는 것이 종전의 常例였다고 언급한 바 있으나, 崇德 3년 6월의 기록에 따르면 “東征” 즉 병자호란 당시 이번만은 특별히 더 많은 병력을 파견해야 한다는 특명에 따라 孔有德은 800명, 耿仲明은 650명을 출전시켰다고 한다. 63) 天佑兵은 常例에 따른 1,060명(←5,300명×0.2)보다 390명 많은 1,450명의 병력을 출전시켰던 것이다. 한 편 天助兵에 대해서는 참전 병력을 명시해 주는 사료가 없지만, 만약 天佑兵과 마찬가지로 대략 30퍼센트의 동원 비율이 적용되었다면 약 420명(←1,405명×0.3) 정도가 참전했으리라는 계산이 나온다. 64) 여기에 역시 비슷한 동원 비율(3명당 1명)이 적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65) 崇德 4년(1639) 松山 등지에 출정했던 天助 兵의 수가 530명이었던 사실도 참고할 만하다. 66) 그렇다면 天佑兵․天助兵의 출 전 병력 합계는 대략 1,900명 정도이고, 아무리 많아야 2,000명을 넘지 못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63) 淸初內國史院滿文檔案譯編 上, 崇德 3년 6월 18일, 320면; 恭順王孔有德爲照例派兵事 致秘書院手本 , 25면; 黃一農, 앞의 논문, 93면.
64) 黃一農, 앞의 논문, 93면.
65) 崇德 3년 6월 공유덕과 상가희는 20퍼센트 동원이라는 종전의 常例로 돌아갈 것을 요청 하였으나, 홍타이지는 “三丁中一人披甲”을 명령하였다(淸初內國史院滿文檔案譯編 上, 崇德 3년 6월 18일, 320면). 따라서 崇德 3년 6월 이후의 출병에는 이 비율이 적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66) 明淸史料 丙編 第一本, 智順王尙咨秘書院文 崇德 4년 2월 3일, 60면; 張晉藩․郭成 康, 앞의 책, 400면.
요컨대, 병자호란 당시 ‘다이칭 구룬’이 팔기 안팎에서 동원했던 정규 병력은 팔기만주․팔기몽고에서 약 1만 명 남짓, 우전 초하에서 약 1만 명, 天佑兵․天 助兵에서 1,900~2,000명 등을 합한 약 22,000명 정도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수치 는 최소 10만 명 이상으로 잡았던 종래의 통설에 비해 현저히 적어 보이지만, 병자호란 직전 전시 동원 능력의 실질적인 최대치 31,000~32,000명의 무려 70퍼 센트에 해당한다.
여기에 崇德 元年(1636) 6~10월에 아지거를 사령관으로 카라 친․투메트와 함께 화북에 출정시켰던 병력을67)
재차 출정시키기 어려웠던 사정 과 對明 전선 및 수도 盛京을 비롯한 여러 요충지에 적잖은 수의 수비 병력을 유지해야 했던 현실 등을 감안하면, 병자호란 당시 홍타이지는 ‘다이칭 구룬’이 보유한 군사 역량의 거의 전부를 조선에 출병시켰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표 1>에서 보듯이 청군의 좌익과 우익에는 외번몽고의 병력이 가담해 있었다. 이에 관한 고찰은 장을 바꾸어 진행하기로 한다.
4. 외번몽고의 병자호란 참전 규모
외번몽고의 참전 규모와 관련하여, 68) 머리말에서도 언급했듯이 黃一農은 崇德 2년 초의 와르카 원정에 나섰던 3,600명에 崇德 2년 4월 椵島 공격에 참여한 병 력을 더하여 4,000~5,000명의 외번몽고가 조선에 출병했다고 보았다. 69) 그러나 그의 추정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먼저, 椵島 공격에 참가한 외번몽고는 병자 호란 종결 이후 아지거의 부대와 함께 증원 병력으로 추가 투입된 카라친․투메 트의 병력이었다. 70) 따라서 이들은 병자호란 참전 병력에 산입할 수 없다. 다음으로, 병자호란 참전 외번몽고 병력 전부가 와르카 원정에 참여했다고 볼 수 없다. 崇德 2년 정월 23일 홍타이지는 蒙古衙門 承政 니칸(Nikan)에게 외번 몽고의 병력과 함께 서울 인근의 청군 진영을 출발하여 강원도와 함경도를 거쳐 두만강을 건너는 와르카 원정에 나설 것을 명하였다. 71) 5월에 이르러 니칸이 홍 타이지에게 올린 보고에 따르면, 와르카 원정에 참가한 외번몽고 각 ‘구사’의 병 력은 합계 3,600명이었다. 이는 병자호란 당시 외번몽고의 참전 병력으로 사료에 등장하는 유일한 숫자이긴 하지만 이를 곧바로 조선에 출병한 외번몽고 전체와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 병자호란에 분명히 참전했으나 와르카 원정에는 합류하 지 않은 외번몽고의 존재가 확인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두르벤 커오커트(Durben Keoket, 四子)의 수장 다르한 조릭투(Darhan Joriktu)는 병자호란 참전 사실이 확인되지만72) 와르카 원정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73)
68) 이하 병자호란 당시 외번몽고의 참전 규모와 조선 침공에 앞서 崇德 원년 10월에 열린 외번몽고 회맹 등에 관한 좀 더 자세한 고찰은 拙稿, 숭덕 원년의 외번몽고 회맹과 병자 호란 (미간)을 참조.
69) 黃一農, 앞의 논문, 93면의 주5).
70) 欽定外藩蒙古回部王公表傳(文淵閣 四庫全書本) 卷23, 傳7, 扎薩克多羅杜稜貝勒固嚕思 竒布列傳 ; 淸太宗實錄 卷34, 崇德 2년 3월 丁未.
71) 內國史院滿文檔案譯註: 中國第一歷史檔案館蔵 崇徳二․三年分, 崇德 2년 정월 23일, 61면; 淸太宗實錄 卷33, 崇德 2년 정월 癸亥.
72) 滿文老檔 Ⅶ, 太宗 崇德 38, 崇德 元年 12월 3일, 1480-1482면. 이 기사는 병자호란 참 전을 위해 모인 몽골 노얀들이 홍타이지에게 진상한 예물의 내역을 밝힌 것이다. 이를 통해 병자호란에 참전한 몽골 노얀들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단 전쟁에 참가하는 몽골 노얀들이 모두 예물을 진상했던 것은 아니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73) 淸太宗實錄 卷35, 崇德 2년 5월 丁酉
또한 欽定外藩蒙古回部王公表傳에서도 모밍간(Moominggan)과 우라트(Urat)의 노얀이 조선에는 출정했으 나 와르카 원정에 참여하지 않은 사례가 발견된다. 74) 뿐만 아니라 병자호란 관 련 사료를 면밀하게 살펴보면, 와르카 원정군과 별개로 도르곤의 좌익군과 함께 조선에서 철군한 외번몽고 부대의 존재가 드러난다. 즉 崇德 2년 2월 홍타이지 는 니칸과 함께 蒙古衙門의 承政을 맡고 있던 다야치(Dayaci)에게 철군 시의 주 의사항을 담은 칙유를 외번몽고의 왕공들에게 전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있는 것 이다. 75) 따라서 와르카 원정 관련 사료에 보이는 3,600명이라는 숫자는 병자호란 참전 외번몽고 병력의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다이칭 구룬’의 동맹군으로서 병자호란에 참전한 외번몽고의 병력은 도대체 어느 정도였던 것일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崇德 원년 10월 두 군 데에서 개최된 외번몽고 회맹의 경과와 결과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崇德 원년 10월 16일 홍타이지는 “차하르․칼카”에76) 都察院 承政 아시다르한(Asidarhan)과 蒙古衙門 承政 다야치를, “코르친”에77)
弘文院 大學士 히퍼(Hife)와 蒙古衙門 承政 니칸을 파견하여 회맹을 개최하도록 했다. 78) 이 회맹은 외번몽고에 대한 니 루 편성을 통해 몽골에 대한 청의 지배체제, 즉 盟旗 제도의 기초를 확립한 사 건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79)
74) 欽定外藩蒙古回部王公表傳 卷40, 傳24, 扎薩克一等台吉僧格列傳 ; 卷41, 傳25, 扎薩 克鎭國公諤班列傳 .
75) 內國史院滿文檔案譯註: 中國第一歷史檔案館蔵 崇徳二․三年分, 崇德 2년 2월 15일, 119-120면.
76) 여기서의 “차하르”는 릭단 칸 직할의 차하르(Cahar) 本部가 아니라, 원래 차하르의 別部 였던 아오한(Aohan)․나이만(Naiman)을 가리킨다. 이들의 계보는 岡洋樹, 2007 淸代 モンゴル盟旗制度の硏究, 東京: 東方書店, 47면 참조. 또한 “칼카”는 고비 이남의 소위 內칼카(Kalka)를 가리키며, 고비 이북의 外칼카와는 구별해야 한다. 內칼카는 원래 자루 트(Jarut)․바린(Barin)․바요트(Bayot) 등 5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楠木賢道, 앞의 책, 21면), 이 무렵에는 자루트와 바린만이 외번몽고로서 독자적 유목집단을 유지하 고 있었다(위의 책, 45-48면). 아울러 이 기사에서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아시다르한과 다야치가 주재한 회맹에는 “아루(Aru) 몽골”로 총칭되는 여러 집단도 참가하였다. 아루 몽골과 관련해서는 이 글의 주)83도 참조.
77) 여기서의 “코르친”은 코르친(Korcin)뿐만 아니라 잘라이트(Jalait), 두르베트(Durbet), 고를로스(Gorlos) 등 코르친 계의 여러 집단을 총칭한 것이다. 코르친은 칭기스칸의 동 생 하사르의 후손이 이끄는 유목집단으로, 16세기 중엽 흥안령 동쪽으로 이동하여 嫩江 과 綽爾川 유역에서 유목하고 있었다(楠木賢道, 앞의 책, 71-72면). 잘라이트․두르베 트․고를로스 등은 모두 코르친의 支派이다. 이들과 코르친의 계보 관계는 岡洋樹, 앞의 책, 55면 참조.
78) 滿文老檔 Ⅶ, 太宗 崇德 31, 崇德 元年 10월 16일, 1335면.
79) 達力扎布, 1998 淸初內扎薩克旗的建立問題 歷史硏究 1998-1, 21-26면; 張晉藩․郭成 康, 앞의 책, 366-367면
아시다르한과 히퍼는 11월 6일에 귀환하여 회맹의 결과를 보고하였다. 아시다르한은 “차하르․칼카”에서 19,581家(boo)․384니루80) 5,456甲(uksin)을 편성한 내역을, 히퍼는 “코르친”에서 22,380家․447니루․ 6,639甲을 편성한 내역을 각각 보고하였다. 81)
80) 외번몽고의 경우에는 50家가 1니루로 편성되었다.
81) 차하르․칼카의 회맹은 滿文老檔 Ⅶ, 太宗 崇德 34, 崇德 元年 11월 6일, 1389-1405면, 코르친의 회맹은 滿文老檔 Ⅶ, 太宗 崇德 35, 崇德 元年 11월 6일, 1405-1412면. 舊滿 洲檔의 해당 부분은, 차하르․칼카가 舊滿洲檔 十, 宇字檔, 崇德 元年 11월 6일, 5227-5244면, 코르친이 5245-5252면이다. 그리고 여기에 제시한 숫자는 사료 원문의 계 산 착오를 바로잡은 것이다.
이 회맹을 통해서 홍타이지는 “차 하르․칼카”와 “코르친”을 통틀어 41,961家․831니루․12,095甲을 파악했던 셈인 데, 외번몽고의 병자호란 참전 규모와 관련하여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甲 士의 숫자이다. 회맹 결과 보고에 등장하는 약 12,000명의 갑사는 외번몽고 각 ‘구사’가 보유 한 정규 병력의 총수를 가리키는 것일까?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이 숫자가 의미 하는 바에 대하여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는데, 그것은 비록 암묵적이긴 하지만 약 12,000명의 갑사를 곧 외번몽고 각 ‘구사’가 보유한 군사력과 등치시 켰기 때문인 것 같다. 그러나 회맹 전후의 상황과 기록을 면밀히 살펴보면, 약 12,000명의 갑사란 조선으로의 출병을 위해 외번몽고 각 집단에 할당한 병력이 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10월 16일 회맹을 개최하러 떠나는 아시다르한과 히퍼 등에게 홍타이지 가 내린 명령의 전반부를 보자.
회맹에 모인 외번의 여러 和碩親王, 多羅郡王, 多羅貝勒, 모든 貝子(beise)들에게, “이제 얼음이 얼면 곧 출병한다[te jehe jafame uthai coohalambi]. 이 사이에 누구라 도 성스러운 한(Enduringge Han)에게 叩頭하러 가거나, 叩頭하러 <사신을> 보내거나, 혹은 친척을 만나러 오는 것을 모두 그만두어라.”라고 말하여 그만두도록 하라. 82)
82) 滿文老檔 Ⅶ, 太宗 崇德 31, 崇德 元年 10월 16일, 1335-1336면.
여기서 홍타이지는 외번몽고의 여러 수장들에게 “얼음이 얼면 곧 출병”할 예 정임을 알리고 출병 때까지는 그들이 入朝나 探親 등의 사유로 盛京에 오는 일 이 없도록 할 것을 아시다르한과 히퍼 등에게 지시하고 있다. 이는 崇德 원년 10월의 회맹이 동계 출병을 앞두고 개최되었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아시다르한과 히퍼 등의 귀환과 회맹 결과 보고가 있은 지 닷새 뒤인 11월 11 일, 홍타이지는 외번몽고에 다음과 같은 동원령을 내렸다.
출병하도록 할당한 버일러들, 너희는 각각 ‘구사’의 할당한 병사들이 탈 말, 낙타 에 낙인을 찍고, 牌를 달아라. 甲冑 및 여러 가지 道具에 이름을 써라. 20일 먹을 군 량을 휴대하라. 출병의 기일인 이번 달 30일에 大城(amba hecen, 瀋陽城) 밖에 모 여라. 코르친은 조소이(josoi)를 지나 口子(keo dz angga)로 들어와라. 칼카, 차하르, 아바가는83) 十方寺(sifangse)로 들어와라. 84)
83) 여기서의 “코르친”, “차하르”, “칼카”가 가리키는 대상은 위의 주76)과 주77) 참조. 여기 서 “아바가”는 “아루 몽골”과 같은 의미로 쓰였으며, “아루 몽골”은 아루 코르친, 두르벤 커우커트, 우라트, 모밍간, 옹니요트(Ongniyot) 등을 총칭한다(楠木賢道, 앞의 책, 126면 참조). 따라서 이 기록의 “코르친”과 “칼카, 차하르, 아바가”는 곧 崇德 원년 10월의 회 맹에 참가한 집단을 가리킨다.
84) 舊滿洲檔 十, 宇字檔, 崇德 元年 11월 11일, 5291면. 한편 滿文老檔 Ⅶ, 太宗 崇德 36, 崇德 元年 11월 11일, 1438면에서는 舊滿洲檔의 “sifangse(十方寺)”를 “hi fung keo”로 잘못 적었고, 일본의 역자들은 이를 “喜峰口”로 옮겼다. 乾隆三修 漢文本 淸太宗實錄 卷32, 崇德 元年 11월 辛亥조에서는 “十方寺”는 옳게 적었으나 “分道征明”이라는 구절을 추가함으로써 이 동원령을 明에 대한 출병을 위한 것으로 오해하게 만들고 있다. 그러나 康熙重修 漢文本 淸太宗實錄의 鈔本에는 “十方寺”도 옳게 적었고 “分道征明”이라는 구절도 없다. 十方寺는 瀋陽 부근의 지명이므로[欽定盛京通志 卷24(文淵閣 四庫全書 本), 疆域形勝 “承徳縣(附郭) 疆域東至撫順八十里 撫順城守界 (중략) 西北至十方寺九十 里 鐵嶺縣界”], 이 동원령은 분명히 十方寺를 거쳐 瀋陽으로 집결하라는 내용이었으며, “征明”이 아니라 조선 원정, 즉 병자호란을 위한 것이었다.
이 기사와 관련해서는 특히 두 가지 사항에 주목해야 한다.
첫째, 10월 16일 홍타이지의 명령에 언급된 동계 출병이란 곧 병자호란을 가리킨다는 것을 알 수있다는 점이다. 홍타이지는 아시다르한과 히퍼 등의 귀환으로부터 불과 닷새 뒤 외번몽고에 동원령을 내렸고, 비록 동원령에 명시된 11월 30일보다 하루 늦기는 했지만 12월 1일에 외번몽고의 왕공들이 각자의 병력을 이끌고 盛京에 집결하였 다. 85) 이어서 그들이 청군의 좌익․우익에 편제되어 조선으로 출정했다는 사실 은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85) 滿文老檔 Ⅶ, 太宗 崇德 38, 崇德 원년 12월 1일, 1477면.
둘째, 11월 11일 동원령을 하달하는 시점에 외번몽고 각 ‘구사’의 출병 규모가 이미 결정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출병하도록 할당한 버일러들, 너희는 각 각 ‘구사’의 할당한 병사들[cooha de yabu seme tomilaha beise suwe meni meni gūsai tomilaha coohai niyalmai: 강조는 인용자]”이라는 구절에서 잘 드 러난다. 그렇다면 각 ‘구사’의 출정 병력은 언제 결정되었던 것일까? 만약 黃一農의 추정처럼 병자호란 참전 외번몽고 병력 전부가 와르카 원정에 참가했다고 본다면, 회맹의 결과가 보고된 11월 11일과 동원령이 하달된 11월 16일 사이에 합계 3,600명 규모의 병력 할당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일단 상정 할 수 있다.
그러나 불과 닷새 만에 盛京과 외번몽고 각 ‘구사’의 유목지를 오가 며 병력을 할당했다고 보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그렇다면 회맹 당시에 병력 할 당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밖에 없는데, 외번몽고의 병력에 관한 숫자로 아시다르 한과 히퍼 등의 회맹 결과 보고에 등장하는 것은 합계 약 12,000명에 달하는 갑 사가 유일하다. 그리고 위에서 지적했듯이 와르카 원정군은 병자호란에 참가한 외번몽고 병력의 일부에 불과했다.
이로부터 회맹 결과 보고에 등장하는 갑사 약 12,000명이란, 회맹 개최 당시 예정되어 있던 동계 출병, 즉 병자호란에 참가 하도록 할당한 병력을 가리킨다는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이러한 해석은 약 12,000명의 갑사를 곧 외번몽고 각 ‘구사’가 보유한 군사력 과 등치시켰던 종래의 암묵적 이해와 배치된다.
그러나 유목민은 성인 남성이라 면 누구나 전장에 나설 수 있다는 상식에 비추어 보건대, 41,961家에 달하는 몽 골 유목민 집단의 군사력이 총 12,095甲에 불과했다고 추정하는 것은 대단히 부자연스럽다. 약 200명의 성인 남성으로 이루어진 팔기의 각 니루에 약 60명의 갑사를 내놓도록 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번의 회맹을 통해서 외번몽고 각 ‘구사’ 에 유사한 군사적 부담—‘구사’마다 편차가 작지 않지만, 전체 평균 대략 3.5가에 1갑—을 할당했다고 이해하는 것이 훨씬 더 자연스럽다. 그리고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하나는 崇德 원년 10월의 회맹 대상에서 카라친․투메트가 빠져 있다는 사실이다. 카라친․ 투메트는 崇德 원년 6~10월에 있었던 아지거의 화북 원정에 참가하였고, 그 대 신 병자호란에는 참전하지 않았다. 카라친․투메트에 대해서는 天聰 9년(1635) 2월 장정 편심이 있었지만, 관련 기록에 니루의 편성이나 병력 규모에 대한 언 급이 보이지 않는다. 86)
86) 舊滿洲檔: 天聰九年(東洋文庫淸代史硏究室 譯註, 1972 舊滿洲檔: 天聰九年 1․2, 東 京: 東洋文庫) 1, 天聰 9년 2월 6일, 56-61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崇德 원년 10월의 회맹 대상에서 카 라친․투메트가 누락되었다면, 그것은 이들이 병자호란을 위한 동원 대상에 포 함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볼 수밖에 없고, 이는 다시 회맹 결과 보고에 등장하는 약 12,000명의 갑사가 곧 병자호란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다른 하나는 코르친에서의 회맹 결과에 관한 滿文老檔의 다음과 같은 기록 이다. 이 회맹에서 家를 헤아려 50家를 하나의 니루로 삼았다. 니루 장긴(janggin)의 이 름을 문서에 적었고, 甲의 수(uksin i ton)와 여러 사안에 대하여 이야기하였다. 투 시예투 친왕 구사의 936甲, 2,900家, 58니루. 니루 장긴의 이름은 (후략: 강조는 인용 자) 87)위에 인용한 대로 滿文老檔은 니루의 편성과 “甲의 수(uksin i ton)” 등이 회맹의 의제였다는 사실을 밝힌 데 이어 각 ‘구사’의 甲, 家, 니루 등의 수와 니 루 장긴의 이름을 열거하고 있다.
그런데 舊滿洲檔을 자세히 보면 “甲의 수” 앞에 원래 “gajire”가 있었으나 지워져 버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88)
87) 滿文老檔 Ⅶ, 太宗 崇德 35, 崇德 元年 11월 16일, 1405면.
88) 舊滿洲檔 十, 宇字檔, 崇德 元年 11월 16일, 5245면.
“gajire”는 “데리고 올” 또는 “이끌고 올”이라는 뜻이다. 회맹 당시 동계 출병, 즉 조선 침 공이 예정되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舊滿洲檔의 “gajire uksin i ton”이란 곧 조선 침공을 위해 각 ‘구사’의 수장들이 “이끌고 올 갑사의 수”를 의미한다고 볼 수밖에 없다. 이상의 고찰로부터 崇德 원년 10월 차하르․칼카와 코르친을 상대로 개최된 두 회맹은 12월 초로 예정된 병자호란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즉 회맹의 결과에 대한 아시다르한과 히퍼 등의 보고에 보이는 “甲의 수”는 병자호란을 위해 외번몽고 각 ‘구사’에 부과한 동원 병력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외번몽고의 병자호란 참전 규모는 와르카 원정에 참가한 3,600명에 그치 는 것이 아니라, 崇德 원년 10월 두 곳에서 열린 회맹의 결과 보고에 등장하는 약 12,000명의 갑사 전체였다고 보아야 한다.
5. 맺음말
지금까지 병자호란 전야 ‘다이칭 구룬’의 전시 동원 능력에 이어 병자호란 당 시 청군의 구성과 병력 규모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병자호란 전야 ‘다이칭 구룬’은 팔기만주․팔기몽고에 약 2만 명, 우전 초 하에 약 1만 명의 갑사를 보유하고 있었다. 여기에 10명에 2명꼴로 총 1,300~ 1,400명 동원이 상례였던 三順王 휘하의 천우병․천조병까지 더하면, ‘다이칭 구 룬’ 자체의 군세는 31,000~32,000명 수준이었다고 할 수 있다. 병자년 12월 홍타 이지는 팔기만주․팔기몽고에서 약 1만 명의 갑사를 조선 침공에 투입하였고, 우전 초하는 약 1만 명의 전 병력을 동원하였다. 천우병․천조병에 대해서는 상 례보다 약 50퍼센트 많은 1,900~2,000명의 참전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병자호란 에 참전한 ‘다이칭 구룬’ 자체의 정규 병력은 약 22,000명에 달했던 것으로 계산 된다. 89)
89) 앞에서 언급한 ‘보오이 니루’의 갑사까지 산입한다면(주62) 참조), ‘다이칭 구룬’ 자체의 참전 병력은 최대 24,000명에 달하게 된다
여기에 더하여 홍타이지는 병자호란 직전인 崇德 원년 10월에 개최된 회맹을 통해 외번몽고 각 ‘구사’에 참전 병력을 할당하였고, 이에 따라 합계 약 12,000명에 달하는 외번몽고의 갑사들이 전쟁에 참여하였다.
결론적으로, 외번몽 89) 앞에서 언급한 ‘보오이 니루’의 갑사까지 산입한다면(주62) 참조), ‘다이칭 구룬’ 자체의 참전 병력은 최대 24,000명에 달하게 된다.
고를 포함한 병자호란 당시 청군의 병력은 약 34,000명에 달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약 34,000명이라는 숫자는 앞에서 밝혔듯이90) 어디까지나 갑사, 즉 정 규 병력만을 추산한 것으로, 병자호란 당시 조선에 침공한 청군 진영에 있던 모 든 인원을 합산한 것은 아니다. 당시의 청군에는 정규 갑사가 아닌 존재들이 포 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우선 甲士가 불법적으로 “閑散無甲之人”을 대동한 경 우가 있었다. 91)
또한 외번몽고의 경우에는 崇德 원년 10월의 회맹에서 할당한 甲數보다 많은 병력을 출전시킨 노얀도 보인다. 92)
단 이들의 경우는 전체 인원 추산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칠 정도로 수가 많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 만 전시에 군량이나 무기의 운반 등을 맡았던 쿠툴러(kutule, 從僕․厮卒)의 경 우는 그렇지가 않다. 93)
팔기의 갑사들이 家奴(aha)를 쿠툴러, 즉 비정규 종군 인 원으로 전쟁터에 데려가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었던 만큼, 94)
90) 이 글의 주16) 참조.
91) 淸太宗實錄 卷36, 崇德 2년 6월 甲子. 이 기사에는 “閑散無甲之人”의 참전 문제 외에 병자호란 당시 유력 王公이나 將領들의 불법 내지 탈법 및 갖가지 일탈 행위에 대한 처 벌 내역이 수록되어 있다.
92) 예컨대, 나이만은 崇德 원년 10월의 회맹에서 245甲을 할당받았으나(滿文老檔 Ⅶ, 太 宗 崇德 34, 崇德 元年 11월 6일, 1403면), 와르카 원정에만 300명의 병력을 보냈다(淸 太宗實錄 卷35, 崇德 2年 5月 丁酉). 또한 조선 측 사료에 甲士가 아닌 몽골인의 존재가 언급되어 있기도 하다(崔鳴吉, 遲川集 卷17, 雜著, 移陳都督咨(丁丑) “大抵㺚兵東出 者號稱二十萬 而約不下十數萬 西㺚蒙古就食而來者又不在此數”; 羅萬甲, 丙子錄 急報 以後日錄 丁丑 2월 2일 “蒙古由江原道 因入北道而去 當初 皆率其老弱妻子而來 可謂無 我國矣”). 참고로, 한명기, 2009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푸른역사, 409-410면에서 는 羅萬甲의 丙子錄을 인용하여 “청에 귀부한 몽골병”들이 恒産이 없는 상태에서 생 계를 꾸리고자 처자까지 대동해 약탈 및 포로 사냥에 골몰하였다고 서술하였다. 여기서 한명기는 “청에 귀부한 몽골병”을 팔기몽고로 본 것 같은데, 사료의 “蒙古”는 외번몽고 를 지칭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93) 쿠툴러에 대해서는 羽田亨 編, 1937 滿和辭典, 京都: 京都帝國大學滿蒙調査會, 282면 “kutule”; 張晉藩․郭成康, 앞의 책, 299면; 蘇燦永, 2010 入關前 淸朝의 經濟的 狀況: 崇 德 年間의 掠奪戰과 奴僕(aha) 계층을 中心으로 서울大 東洋史學科論集 34, 169-170면 참조.
94) 祁美琴, 2009 淸代內務府, 遼陽: 遼寧民族出版社, 20-22면; 李民寏, 紫巖集(한국고전 종합DB http://db.itkc.or.kr) 卷6, 雜著, 建州聞見錄 “至於出戰時 則將卒家有奴者 不限 多少 自以其意甲騎偕行 如此之類 尤莫測其數云 (중략) 凡有戰鬪之行 絶無糧餉軍器之運 轉 軍卒皆能自備而行 出兵之時 無不歡躍 其妻子 亦皆喜樂 惟以多得財物爲願 如軍卒家有奴四五人 皆爭偕赴 專爲搶掠財物故也.”
병자호란 당시의 청군 진영에도 적지 않은 수의 쿠툴러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병자호란을 전 후한 시기 쿠툴러 관련 사료를 검토해 보면 쿠툴러의 수에도 일정한 규제가 존 재하여 팔기와 외번몽고 갑사 1인당 대략 0.5명의 쿠툴러가 따라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95) 우전 초하나 天佑兵․天助兵은 고위 장령이 아니라면 家奴가 없었던 것으로 보이므로, 96) 병자호란 당시 청군의 팔기만주․팔기몽고․외번몽고 부대 에 한하여 갑사 1인당 0.5명의 쿠툴러가 있었다고 한다면97) 그 총수는 약 11,000 명에 달했을 것으로 추산할 수 있다.
95) 예컨대 天聰 8년(1634) 2~3월에 걸쳐 錦州 지역을 약탈한 부대의 경우 甲士 2명당 1명 의 쿠툴러가 할당되었다(淸太宗實錄 卷17, 天聰 8年 2月 戊辰; 卷18, 天聰 8年 3月 辛 卯; 內國史院檔: 天聰八年 天聰 8년 2월 12일, 73면 및 3월 5일, 92면). 외번몽고의 경 우, 天聰 10년(1636) 3월 모밍간의 도망자를 추격하는 부대에 甲士 1명당 평균 약 0.52명 의 쿠툴러가 있었다(滿文老檔 Ⅵ, 太宗 崇德 6, 天聰 10년 3월 20일, 972-979면).
96) 順治 5년(1648) 팔기의 人丁 통계를 보면, 팔기만주가 55,330丁, 차하르 출신 人丁을 포 함한 팔기몽고가 28,785丁, 팔기만주․팔기몽고의 奴僕이 216,967丁이었는데, 45,849丁이 었던 팔기한군에는 奴僕이 없었다[ 總理戶部事務允祥等爲報順康年間編審八旗男丁事奏 本(雍正 元年 五月 初四日) (中國第一歷史檔案館, 1988 淸初編審八旗男丁滿文檔案選譯 歷史檔案 1988-4), 11면]. 따라서 병자호란 당시의 팔기한군, 즉 우전 초하의 일반 병 사는 쿠툴러를 대동하지 못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家人의 병자호란 참가 사실이 확인 되는 天助兵의 수장 智順王 尙可喜의 사례는 예외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淸太宗 實錄 卷36, 崇德 2년 6월 乙丑 참조).
97) 확언할 수는 없지만, <표 1>에 보이는 선봉부대의 구성 내역을 분석해 보면 병자호란 당 시의 청군에도 갑사 1인당 쿠툴러 0.5명 안팎의 비율이 적용되었으리라는 추정이 가능하 다. 청군 선봉부대를 구성하는 세 부대는 예외적으로 니루당 갑사의 수와 함께 인원 총 수까지 사료에 명시되어 있다(內國史院滿文檔案譯註: 中國第一歷史檔案館蔵 崇徳二․ 三年分 崇德 2년 正月 16일, 26면, 30면; 滿文老檔 VII, 太宗 崇德 38, 崇德 원년 12월 3일, 1479-1480면; 崇德 원년 12월 9일, 1482-1483면). 제1대는 니루당 갑사 1명, 제2대는 니루당 3명, 제3대는 니루당 5명이었고, 인원 총수는 각각 300명, 1,000명, 3,000명이었다. 팔기의 니루 수(320~330개)를 고려하건대, 제1대와 제2대에는 쿠툴러가 전혀 없고 제 3대 에는 1,300~1,400명의 쿠툴러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제1대는 前鋒(gabsihiyan), 제2대는 護軍(bayara)으로 구성되었으며 서울로의 신속한 침투가 임무였기 때문에 쿠툴 러를 대동하지 않았던 것 같지만, 제 3대는 앞서 출발한 두 부대에 대한 增援이 임무였던 만큼 제 1대와 제2대의 쿠툴러까지 이 부대에 합류했을 가능성이 높다. 선봉 세 부대 전 체를 놓고 갑사(2,900~3,000명)와 쿠툴러(1,300~1,400명)의 비율을 계산해 보면 후자는 전자의 약 43~48퍼센트가 된다.
따라서 병자호란 당시 조선에 쳐들어온 청군은 정규 병력 약 34,000명에 쿠툴 러 약 11,000명을 합한 약 45,000명 정도였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 ‘보오이 니 루’로부터 최대 2천 명의 갑사를 동원했다고 보더라도 참전 인원의 총수는 약 47,000명에 그친다. 또한 “閑散無甲之人”과 같은 불법적인 참전 인원이나 외번몽 고의 할당 갑수를 초과한 인원 등을 고려하더라도 5만 명 수준을 넘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병자호란 당시의 청군을 10만 명 이상으로 보았던 기존 연 구의 수치와 비교하면 그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러한 참전 병력 규모는 언 뜻 보기에 병자호란이라는 전쟁 자체에 대한 역사적 이해에 별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처럼 비친다.
즉, 당시 홍타이지는 조선의 군사적 역량을 얕잡아 보았기 때문에 그리 많은 병력을 동원하지 않았으며, 그의 예상대로 전쟁은 단기간에 청군의 일방적인 승리로 끝이 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제 3장의 말미에서 지적했듯이 당시 ‘다이칭 구룬’의 전시 동원 능력을 고려한다면 병자호란은 사실상의 ‘총력전’이었다고 간주해도 무방한 전쟁 이었다.
사실 天聰 연간에 이루어진 주요 군사 작전에 실제로 얼마나 많은 병력 이 참전했는지를 비교 차원에서 검토해 보면 홍타이지가 병자호란을 일종의 ‘총 력전’으로 치렀다는 것이 더욱 뚜렷하게 드러난다.
天聰 연간 홍타이지의 군사 원정 가운데 사료상 가장 많은 병력을 동원했다고 일컬어지는 것은 天聰 6년 (1632)의 차하르 원정이었다. 滿文老檔의 기록이 內․外의 병력을 합쳐 “10만 명”에 달하는 많은 병력이 집결했다고 하면서 “후세의 사람들이 혹시라도 거짓 말이라고 말하지”않을까 하는 우려를 표명할 정도였다. 98)
그러나 당시의 상황 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 숫자는 그대로 믿기 어려우며, 실제 작전에 참여한 병 력은 大同․宣府 邊外로 출동한 좌익군 1만과 歸化城 일대로 향한 우익군 2만을 합친 3만여 명 정도였던 것으로 보인다. 99)
이는 병자호란 당시의 정규 병력만 추산한 결과인 34,000명보다 많지 않다.
병자호란 당시 청군의 병력은 天命 4년(1619)의 사르후 전투, 100) 天聰 5년 (1631)의 대릉하 원정이나 天聰 8년(1634)의 화북 원정과 비교하더라도 많으면 많았지 결코 적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101)
98) 滿文老檔 Ⅴ, 太宗 天聰 51, 天聰 6년 4월 13일, 744면.
99) 淸太宗實錄 卷11, 天聰 6년 5월 庚申. 楠木賢道, 앞의 책, 132면에서는 좌익군 1만 명은 몽골 병력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우익군 2만 명은 八旗가 주축이 되었을 것이라고 한다.
100) 사르후 전투 당시 후금의 병력 규모와 관련하여, 일본의 陸戰史硏究普及會에서는 니루 당 甲士 50명에 200니루가 있었다고 보아 약 1만 명으로 추정한 바 있으나 谷井陽子는 1만 명의 완전 무장한 甲士 외에도 기동력이나 방어력이 떨어지는 보조 병력이 다수 출 전하였다고 보았다(谷井陽子, 앞의 책, 207면). 참고로 정묘호란 때 조선을 침공한 후금 의 병력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청의 사료에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瀋陽에 병력 이 부족하여 일부러 허장성세를 위해 홍타이지 등이 군사를 이끌고 遼河 근방까지 나갔 다든지(滿文老檔 Ⅳ, 太宗 天聰 4, 天聰 元年 2월, 53면), 원정에 참여한 요토가 瀋陽 에는 홍타이지 등이 홀로 있다고 걱정하는 등(滿文老檔 Ⅳ, 太宗 天聰 4, 天聰 元年 2 월, 49면), 최대한의 병력 동원을 시사하는 기사가 보인다. 谷井陽子, 앞의 책, 216면 참 조. 반면 조선 사료에서는 平安監司 尹暄의 최초 보고에 적군의 규모가 3~4만이라고 되어 있고[承政院日記(승정원일기 데이터베이스 http://sjw.history.go.kr/) 인조 5년 정월 17일], 후금군을 따라 온 姜弘立이 인조에게 1旗에 2천 명씩 총 16,000명이라고 밝 힌 바 있다[申達道, 晩悟集(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 卷7, 雜著, 江都日 錄 , 丁卯 2월 10일 “上問彼賊兵數幾何 弘立曰 凡八營 營各二千”]. 강홍립이 언급한 수 치가 실상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보이지만, 여기에는 당시 팔기에 속하지 않았던 몽골 병력이나 李永芳 휘하 漢人 부대의 병력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101) 天聰 5년의 대릉하 원정과 天聰 8년의 화북 원정 역시 홍타이지가 대규모 병력을 이끌 고 친정에 나선 전쟁이었다. 楠木賢道는 홍타이지가 대릉하 원정에 4만 명 정도의 병력 을 동원하였으며, 그 가운데 八旗를 비롯한 후금의 자체 병력은 2만에 미치지 못하고 몽골의 병력이 2만 명 정도였다고 보았다(楠木賢道, 앞의 책, 147-151면). 그런데 楠木 賢道 자신이 인용한 사료에 따르면 몽골 병력 2만 명 가운데 코르친 및 아루 몽골의 병 력은 겨우 900명이었고 그 나머지를 바린․자루트․아오한․나이만․카라친․투메트가 부담하였다고 한다(위의 책, 150-151면). 실상을 그대로 반영했다고 보기에는 몽골의 각 집단 간 편차가 너무 크다. 滿文老檔 V, 太宗 天聰 41, 天聰 5년 9월 24~27일, 565-568면에 따르면, 홍타이지는 명의 원군 4만 명을 막는 데 전군의 절반에 해당하는 1만 5천 명을 투입했다고 한다. 이 기록을 중시한다면 대릉하 원정의 실제 병력 규모는 天聰 6년의 차하르 원정과 비슷한 3만 명 수준으로 잡아야 할 것 같다. 한편 天聰 8년 화북 원정의 병력 총수는 알 수 없으나, 이 전쟁에는 팔기에서 니루당 騎兵(aliha cooha) 20명, 護軍(bayara) 8명, 총 28명씩이 동원되었으며, 三順王 및 우전 초하의 병 력도 출정하였다(淸太宗實錄 卷18, 天聰 8년 5월 丙申; 內國史院檔: 天聰八年 天聰 8년 5월 19일, 142-160면). 또한 몽골 역시 코르친에서 5천, 카라친․투메트에서 5천의 병력을 참전시켰고, 그밖에도 여러 몽골 집단의 노얀들이 참전하였다(楠木賢道, 앞의 책, 137면; 內國史院檔: 天聰八年 天聰 8년 5월 24일, 160면, 天聰 8년 5월 29일, 161 면, 天聰 8년 6월 1일, 162면, 天聰 8년 6월 7일, 164-166면, 天聰 8년 7월 2일, 192-193 면). 이와 비교하자면, 병자호란 때에는 팔기만주와 팔기몽고를 합한 니루 수가 天聰 8년보다 더 많았을 뿐만 아니라 니루당 차출 병력도 4명이 더 많았다. 우전 초하 병력 총 수나 삼순왕 휘하의 참전 병력도 확실히 더 많았다. 다만 외번몽고의 경우는 天聰 8년 코르친과 카라친․투메트를 제외한 몽골의 참전 병력이 얼마나 되었는지 알 수 없기 때 문에 확실한 비교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몽골 병력을 더하더라도 天聰 8년의 병력 총수가 병자호란을 능가했을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병력의 규모만 놓고 보더라도 병자호란은 결코 입관 이전 청사의 일개 ‘에피소드’로 치부할 수 없는 대규모의 전쟁 이었다. 그렇다면 청의 홍타이지가 군사적 약체인 조선을 상대로 ‘총력전’ 수준 의 대규모 병력을 투입했다는 사실은 병자호란에 대한 역사적 이해에 어떠한 영 향을 끼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이 글에서 밝힌 참전 병력 규 모 외에도 병자호란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여러 다양한 요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 두고자 한다.
주제어 : 병자호란, 홍타이지, 청군, 팔기, 외번몽고
A Numerical Estimation of the Qing Forces in the 1637 Qing Invasion of Joseon Korea 102)
Koo, Bumjin*․Lee, Jaekyung**
In January 1637, Hongtaiji, the ruler of the Qing empire that was proclaimed in the previous year, personally led his imperial forces to invade Joseon Korea. As for the number of the soldiers Hong Taiji mobilized for this invasion, known as Byeongja Horan(丙子胡亂) in Korean history, previous studies have estimated the number at more than one hundred thousand, which is basically a direct quotation of exaggerated ball-park figures in Korean sources.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arrive at a more accurate estimation of the number of regular soldiers Hong Taiji mobilized for the war, based upon close analysis of contemporary Qing archival sources as well as recent scholarly understanding of the Eight Banners system(八旗, jak n g sa). Our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Qing invading forces included about ten thousand regular soldiers from the Eight Banners of the Manchus and Mongols, about ten thousand soldiers from ujen cooha, later reorganized as the Chinese Martial of the Eight Banners(八旗漢軍), and 1,900~2,000 soldiers led by Kong Youde(孔有德), Geng Zhongming(耿仲明) and Shang Kexi(尙可喜). And the invading forces were augmented by Mongol soldiers from the nomadic Mongol tribes which amounted to 12,000. Even if we take into account auxiliary elements in the Manchu-Mongol allied troops, the total number could not exceed fifty thousand men. Although the numbers we have estimated in this paper are less than half of those in the previous studies,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number of regular soldiers estimated at about 34,000 was the biggest one that Hong Taiji had ever mobilized until 1637. Key Words : Byeongja Horan, Hongtaiji, Qing Forces, Eight Banners, Mongols
투고일(2015. 9. 16), 심사시작일(2015. 9. 17), 심사완료일(2015. 10. 11)
'전쟁군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의 정치개입 (Military Involvement in Politics) 비교-이집트와 이스라엘 사례를 중심으로-/이한형.국방대 (0) | 2024.11.14 |
---|---|
한국전쟁 전후 육군 방첩대(CIC)의 조직과 활동/김득중.국사편찬위원회 (0) | 2024.11.14 |
명량해전 연구의 성과와 전망/신성재.해군사관학교 (0) | 2024.11.14 |
발해(渤海)-거란(契丹) 전쟁의발생배경과 전개과정 /강성봉.성북문화원 (0) | 2024.11.14 |
최용덕(崔用德)의 항공독립운동과 광복군 내 역할/김기둥外.공군사관학교 (0)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