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들어가는 말
21세기 중반을 대비하는 오늘날 한국 사회는 급격한 초저출산과 초고령화, 핵개인화, 경제적불안정및외로움이라는새로운사회적도 전에직면하고있다.
이러한상황은과거에는상상할수없었던새로운 형태의‘돌봄’의필요성을더욱부각시키고있다.
사회학자우에노지즈 코에따르면, 1980년대부터영어권사회보장및복지분야에서사용되기 시작한‘돌봄’이라는용어는라틴어‘cura’에서유래하였으며, ‘걱정, 노 고, 불안’ 또는‘배려, 헌신’이라는두가지의미를지니고있다.
신체적, 물리적측면을강조할때는‘돌봄’이라는용어를사용하고, 심리적측면을 강조할 때는 ‘배려’라는 용어를 사용한다.1) 이러한맥락에서‘돌봄’을정의하자면, 돌봄의고전으로평가받는 마이어로프(Mayeroff)의저서뺷케어의본질뺸에따르면, 돌봄은“한사람 의인격을돌보는것이그사람의성장과자아실현에도움을주는것”으 로설명된다.
마이어로프는돌봄이주로‘기르는것’을의미하며, 특히 “자녀의성장과자아실현을돕는아버지의역할”이가장중대한의미를 지닌다고 강조한다.2)
권위있는기구인국제노동기구(ILO)는돌봄을다음과같이정의한 다:
“의존적존재인성인또는아동의신체적및정서적요구를충족시키 는행위와관계로, 이러한요구는수행되는규범적, 경제적, 사회적구조 에따라달라진다.”
특히주목할점은좋은돌봄이집단적돌봄보다는 개별적돌봄에서더욱잘구현된다는사실이다.3)
돌봄의질은돌봄을 받는 사람이 직접 평가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돌봄을 받는 사람의 고유성을존중하고그들이자신의삶을주체적으로영위할수있도록 지원하는것이돌봄의핵심목표이므로, ‘개별돌봄’의중요성은부인할 수 없다.4)
1) 우에노 지즈코/조승미 ․ 이혜진 ․ 공영주 옮김, 뺷돌봄의 사회학뺸 (서울: 오월의봄, 2024), 51-52.
2) 앞의 책, 68-70.
3) 앞의책, 57. 지즈코에따르면, ILO의돌봄정의는여섯가지주요효과를내포하고 있다. 첫째, 사회적및역사적맥락에대한의존성, 둘째, 돌봄의상호작용성, 셋째, 역할과수행이이루어지는사회적배치, 넷째, 포괄적인접근을통한모든관련측면 의수용, 다섯째, 신체적및정서적측면의포괄, 여섯째, 규범에서실천까지의연계를 포함한다. 57-58.
4) 앞의 책, 323-324.
‘돌봄사회’(care society)는돌봄의고유성과보편성을함께고려하 는 개념으로, 모든 구성원이 상호 의존하며 특히 취약 계층의 필요를 충족시키기위해긴밀하게협력하는사회를의미한다.
더불어최근에는 돌봄이인간의보편적인경험임을강조하며, 돌봄의가치를기반으로 한 도덕 이론이 학문적 논의에서 중요한 주제로 자리 잡고 있다.5)
이 사회는호혜적협력과연대, 포용성및상호의존성을핵심가치로삼으 며, 고립된 약자에 대한 돌봄의 책임이 개인에게 국한되지 않고 사회 전체의공동책임임을강조한다.
돌봄사회에서는정부, 지역사회, 비정 부기구(NGO), 가족등이협력하여필요한자원을제공하고돌봄의책임 을공동으로나누어야한다.
돌봄은“정해진규칙에의해행동하는것이 아니라 애정과 존중으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6)
5) 돌봄윤리의대표적인학자인버지니아헬드(Virginia Held)는돌봄윤리의다섯가지 주요특징을제시한다.
첫째, 돌봄윤리는취약한의존인의필요를충족시키는도덕 적 의무를 강조한다.
둘째, 감정적 요소인 공감, 동감, 민감성, 응답성을 유의미한 것으로간주한다.
셋째, 돌봄윤리는추상적논의에대해회의적이며보편적원칙에 의존하지않는다.
넷째, 돌봄윤리는가족과우애의‘사적’ 영역을도덕적중립으로 간주하는주류도덕이론에비판적이다.
마지막으로돌봄윤리는도덕적및인식론적 관점에서인간을관계적이며상호의존적인존재로바라본다. 버지니아헬드/김희 강 ․ 나상원 옮김, 뺷돌봄윤리뺸 (서울: 박영사, 2017), 1-3; 최유진에 따르면, 돌봄을 정의롭게재배치하기위해서는자율적개인이라는자유주의전제를해체하고, 개인 이돌봄관계속에서존재한다는존재론적․ 인식론적패러다임의전환이필요하다. “‘돌봄인’으로의부름-돌봄과젠더그리고보편적돌봄,” 「한국조직신학논총」 제67 집 (2022): 208-209.
6) John Patton/장정식옮김, 뺷목회적돌봄과상황뺸 (서울: 은성, 2004), 32에서재인용.
존패튼(John Patton)은돌봄의필요성을대략적으로이해할수있지 만, 구체적으로주장하기에는한계가있음을지적하였다.
따라서돌봄은 예상치못한시대상황에서각개인이실존적처지에대처하기위한필연적인수단으로여겨질수밖에없다. 7)
돌봄사회는다양한형태의약자를 민감하게돌보고, 자원을공평하고유연하게배분하며, 모든사회구성 원이존엄성과안전을함께누리는사회적공동선을목표로해야한다.
이러한‘돌봄사회’라는시대정신을염두에두고, 본논문은16세기 종교개혁가칼뱅이교회와사회의급격한변화에어떻게대응했는지를 ‘적응, 조정, 조절’(accommodation)8)의 언어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7) 장재호, “과학시대의 목회적 돌봄,” 「신학과 세계」 제102호 (2022), 227.
8) 이오갑의정리에따르면, ‘적응’(accommodation)이라는용어는칼뱅이독창적으로 사용한개념이아니라 키케로와퀸틸리아누스와같은 라틴수사들, 오리게네스와 아우구스티누스와같은 교부들 그리고 에라스무스와 같은 동시대인물들에의해 널리 사용된 개념이다. 그러나 칼뱅은 이 용어를 명사형보다는 동사형(라틴어로 accomodare, attemperare, 프랑스어로s’accomoder)으로주로사용하였다는점에서 독특한 기여를 하였다. 배틀즈는 ‘적응’이 신적 교육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긴하지만, 이를칼뱅사상의중심으로간주하는것은과도한평가라고지적한 다. F. L. Battles, “God Was Accommodating Himself to Human Capacity,” Interpretation 31 (1977), 19; 이오갑, 뺷칼뱅의 신과 세계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93.
이언어에담긴상호관계적민감성은오늘날‘돌봄시대’의다양한 과제에대응하여참여해야하는한국교회에중요한신학적및목회적 자양분을제공할수있다.
칼뱅은신학적진리와목회적돌봄을인간의 다양한이해와필요에맞추어세심하게전달하고자하였으며, 이는오늘 날다양한상황에적합한맞춤형돌봄시스템구축에중요한통찰을제공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본논문은칼뱅이일생동안견지한유연성과포용성에기반한 적응의언어가오늘날의돌봄시대에다양한사회적및문화적배경을 가진사람들에게효과적으로접근할수있는방법을제시할잠재성을 드러낸다.
이는칼뱅의신학적접근이오늘날‘돌봄시대’에도여전히 유효한지침을제공할수있음을의미한다.
팬데믹이후의고립과축소의 시대에한국교회가지속적으로공동체의역할을유지하기위해서는기 존의종교개혁모토인“개혁된교회는언제나개혁되어야한다”를오늘 날‘돌봄시대’에맞추어“조정된교회는언제나조정되어야한다”로재해 석할 필요가 있을지도 모른다.
칼뱅의‘적응, 조정, 조절’(accommodation) 개념은그의개혁사상 과 실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이 개념이 칼뱅의 성경해석, 설교, 목회실천등에서어떻게적용되었는지를다양한관점 에서분석해왔다.
포드루이스배틀즈(Ford Lewis Battles)는‘신적적 응’(divine accommodation)을칼뱅의성경해석과신학적작업의핵심 적특징으로보았다.
리차드멀러(Richard Muller)는칼뱅의적응개념이 성경해석의방법론으로어떻게활용되었는지를연구하였으며, 시린 존스(Serene Jones)는칼뱅의적응개념을고전수사학의영향과관계 속에서분석하였다.
알리스터맥그라스(Alister McGrath)는칼뱅의적응 개념이그의사회, 경제, 금융개혁활동에어떻게반영되었는지를검토 하였다.
양은쳉(Yang-en Cheng)은칼뱅의적응사상이성경해석에서 시대적, 문화적맥락을반영하는중요성을강조하며, 과학적지식의발 전에대한개방적태도를통해신학이시대와함께변화하고성장할수 있는가능성을열어준다고주장했다.9)
9) F. L. Battles, “God Was Accommodating Himself to Human Capacity,” Interpretation, 31 (1977): 19-38; Richard A. Muller, The Unaccommodated Calvin: Studies in the Foundation of a Theological Trad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Serene Jones, Calvin and the Rhetoric of Piety (Louisville, Kentuc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5); Alister McGrath, “Calvin and the Christian Calling,” First Things (June 1999); Yang-en Cheng, “Calvin’s Idea of Accommodation and the Possi bility of Progressing with the Time,” The 13th Asia Congress on Calvin Research 주제 발표(Seoul, PUTS, 2024. 2.), 72-85.
그러나이러한연구들은주로성서적, 역사적, 신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오늘날 공동의 선을 지향하는돌봄사회를위한언어적도구로서칼뱅의‘적응’ 개념이지니 는풍부한함의를재조명하는연구는아직충분히진행되지않았다.10)
그렇기에본논문은칼뱅의생애와신학에서‘적응’(조정, 조절)이라 는관계적이고공감적인언어가목회적돌봄이라는영적공동선과지역 사회돌봄이라는사회적공동선을위해지니는이중적의미와역할을 분석하고자한다.
본논문은칼뱅의사상과관련학자들의분석및평가를 종합적으로검토할것이다.
우선칼뱅의‘적응’ 언어를중심으로그의 생애와활동의주요국면을탐색한후, 현대돌봄시대에그의‘적응’ 개념 이지니는교회적및사회적함의를정리할것이다.11)
10) 현대 심리학자 하인츠 코헛(Heinz Kohut)의 자기-심리학에서 강조하는 관계성, 공감성, 의지성이 칼뱅의 ‘하나님 적응’ 개념과 상응함을 주장하며, 현대 목회 상담 영역의 돌봄 사역에 필요한 양자의 공통 가치에 주목한 연구로 최용희의 “칼뱅의‘하나님 적응’(Divine Accommodation) 개념과 목회적돌봄,” 「장신논단」 55/5 (2023): 319-347이 있다.
11)조직신학자 위르겐 몰트만은 그의 신학적 방법론을 “신학의전체를하나의 유일 한초점에맞추는것”으로설명하였다.
이는“일방성”에대한비판적우려를동반 할수있으나, 그는특정결론에도달하기위한필수적인방법론으로이를정당화 한다.
본 연구는 몰트만의 단일 주제 접근법을 바탕으로, 돌봄을 지향하는 ‘적응’ 개념에 관한 1차 및 2차 문헌을 주로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되, 필요에 따라 공시적 분석을 병행하여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 과정 은 신학적 논의의 깊이를 더하며, 적응 개념의 역사적 및 현대적 의미를 명확히 규명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위르겐 몰트만/이신건 옮김, 뺷희망의 신학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7), 13-14.
이과정을통해 오늘날돌봄시대를섬기는한국교회와그리스도인들에게관계적민감 성과공감성을회복하는데기여할신학적통찰과참여적지혜를제공하 고자 한다.
II. 인문주의적 돌봄을 위한 ‘언어의 조정’ 훈련
16세기종교개혁의핵심인물인장칼뱅은인문주의적교육을통해 언어의조정과적응의중요성을심층적으로이해하였으며, 이를신학적 담론의핵심요소로통합하였다.
칼뱅은고대수사학자들의영향을받아 언어가청중의경험과감성을어떻게조율할수있는지를면밀히탐구하 여신학적진리를보다효과적으로전달하고자하였다.
이러한접근은 단순한논리적전달을넘어서청중의삶에서실천적변화를유도하는 신학적사명과밀접하게연관되어있다.
이는오늘날교회가다양한사회 적맥락에서신학적진리를소통하는데있어중요한신학적통찰을제공 한다.
칼뱅이수학한기독교인문주의교육은“어떤구체적인철학체계라 기보다는학교와대학의교과과정과관계된문화적및교육적접근방법” 으로, “그자체로는기독교적이지도비기독교적이지도않은”12) 일종의 ‘아디아포라’와같은것이었다.
12) 도널드매킴, “칼빈의성경관,” 뺷칼빈신학의이해뺸 (서울: 생명의말씀사, 1991), 55.
알리스터맥그라스에따르면, “인문주의 운동이부상하면서말과글이인간의경험과기대를전달하고변형시키는방식에새로운관심이생겨났다.”13)
13) 알리스터맥그라스/이은진옮김, 뺷장칼뱅의생애와사상: 서구문화형성에칼뱅 이 미친 영향뺸 (서울:비아토르, 2019), 236.
칼뱅이인문주의자로서습득하 고성경교사로서활용한“적응”의원리는“청중의한계를알고거기에 맞춰말하는방식을조정하는” 탁월한연설가를늘염두에두면서발전하 였다.14)
배틀즈가볼때, “고대수사학에서‘적응’(accommodare)이란 말은원래수사학자들이나법학자들이청중의능력에맞게그들의상황 과특성그리고지성과감성등을고려하면서언어를사용해야한다는 것을지적하기위해서사용된” 개념이다. 15)
칼뱅은이러한적응의수사 학을익히며성장하였고, 회심16) 이후에도언어의조정능력에대한신념 이약화되지않았을뿐만아니라, 오히려인문학에서신학과성경으로 연장하는방식을취하였다.
이는언어의조정이단순히연설자와청중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것을 넘어,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심연도 메꿀 수있다는믿음이성경연구를통해심화되었기때문이다.
칼뱅은인간의 언어가조정을거치기만하면피조세계의실재뿐만아니라“하나님의 실재”마저도전달할수있다고주장하였다.17)
14) 앞의 책, 237.
15) 천사무엘, “칼빈의 구약성서 주석에 나타난 해석의 원리와 방법,” 「대학과 선교」 12 (2007): 7; 배틀즈. “하나님은자신을인간의한계에맞춰조정하셨다,” 뺷칼뱅신 학의 이해뺸 (1991), 19-38.
16) 칼뱅은 뺷시편주석뺸(1558) 서문에서, ‘진흙 구덩이와 같은 미신에 깊이 빠져 있었 던’ 완고한 자신이 ‘갑작스러운 회심’을 통해 ‘길들여지고, 마음이 온순해지게’ 된 과정을 고백하며, 이 경험을 통해 자신이 만난 하나님을 독특한 ‘체험에 따 른’(d’expérience) 믿음으로서회고한다. 이서문에서칼뱅은회심전 자신의 상황 에 맞추어 ‘적응하시는 하나님’을 회상한다. 이오갑, 뺷칼뱅의 신과 세계뺸 (2010), 50.
17) 앞의 책, 236.
이러한맥락에서윌리엄 부스마는칼뱅의인문주의가“그의[신학적_ 필자주] 공헌에있어서 부수적이거나주변적역할에머물지않았고, 오히려그의사상에핵심적 이었다”고주장한다. 18)
부스마의주장이타당하다면, 칼뱅의‘적응’ 사상 과실천에서도인문주의교육은단순한외형적방법론을넘어실질적 내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중세이래“스콜라철학의추상적담론이분잡한당시의요구를 충족시키지못하는” 이성적논리학의한계에직면하였고, 인문주의수 사학의 감정적 설득 능력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19)
“설득적 언어의 힘”을강조하는인문주의자들의영향을받은칼뱅은키케로와세네카와 같은고대그리스와로마의웅변가들의작품을통해“특별히감정들을 전달해줄수있는언어의능력에감명을받았다.”20)
실제로키케로는 언어가사람들의마음에영향을미칠수있음을잘알고있었으며, “설득 력있고품위있는호소를구축하는과정”에깊은관심을가졌다. 21)
칼뱅 은키케로의충고에따라“잘구성된수사학에필수적인조정의특징”을 인식하였고, 독자의기대에맞춰조정된교리만이독자를“움직인다”는 사실을 인정하였다.22)
18) W. J. 부스마/이양호 ․ 박종숙 옮김, 뺷칼빈뺸 (서울:나단출판사, 1991), 263.
19) 앞의 책, 264.
20) 앞의 책, 265, 268.
21) Jones, Calvin and the Rhetoric of Piety, 20
22) 앞의 책, 28.
따라서 칼뱅은 “논리의 진위와 관계없이 듣는 사람들에게받아들여지도록하려면가능한최선의형태로제시되어야” 한다고보았으며, 인문주의자들은스콜라학파의변증론보다키케로와 플라톤에게서배우는“설득력있게말하고쓰는기술(art)”에더욱주목 했다. 23)
연설자는자신의논쟁과비유를청중에게맞춰조정해야한다고 충고한키케로는“연설의시간과장소, 청중의정치적배경까지고려해 야청중의승인을얻을수있다”라는신념을가지고있었다.24)
“지혜와 웅변을연결하는것을이상”으로여긴키케로에게영향을받은인문주의 자칼뱅은, 아우구스티누스가그랬던것처럼, “철학과논리의가치”를 충분히알았으면서도“논리적입증”보다“진리의효과적인전달”에더 관심을기울였다.
이는회중의삶에변화를일으키는영향력제고가관건 이었기때문이다.
칼뱅은설교자로서“진리의소박함과사람들을설득 하는실제적인문제를강조”하는데매진하였다.25)
세례요한의물세례 와 같은 ‘적응의 언어 세례’를 인문주의에서 먼저 받은 칼뱅으로서는 이러한 수사학의 유익을 인정하고 동의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
칼뱅은회심이후1536년발간한뺷기독교강요뺸 초판에서도교부들 뿐만아니라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와같은다수의고대철학 자들을광범위하게인용하였다. 26)
23) 매킴, 뺷칼빈신학의 이해뺸, 55-56.
24) Jones, Calvin and the Rhetoric of Piety, 21.
25) 매킴, 뺷칼빈신학의 이해뺸, 56; 칼뱅은 종종 회중을 병자에 비유하였다. 그에게 있어가장시급한과제는중증환자가즉시신뢰할수있는약을받아효과적으로 복용하도록 하는 것이었으며, 약의 성분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보다 중요하 다고 보았다. 마찬가지로 불이 난 건물 안에 있는 사람에게 현재 상황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보다 그가 신속히 건물 밖으로 탈출하도록 설득하는것이 더중요했 다. 칼뱅에게는회중의영적생명을구하는것이최우선이었다. 전후사정은나중 에알더라도무방하다고여겼다. 핵심은수령자가적시에선물을받아그유익을 누리는 것이었다.
26)프랑수아 방델에 따르면, 1536년의 라틴어 초판은 소수의 지식층과 새로개종한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리 입문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그러나 1539년의 라틴어2판서문에서칼뱅은자신의원래저술목적을신학을연구하는학생들에 게교리를전수하는방향으로“완화하고수정”하였다.이어1541년프랑스어초판 에이르러서는신실한“모든하나님의자녀들이성경을참되고올바르게이해할 수있는열쇠이자출발점”으로삼기위해대상범위를확대하면서도교육적수준 을유지하였다.
프랑수아방델/김재성옮김, 뺷칼빈, 그의신학사상의근원과발전뺸 (서울: CH북스, 1999), 168-173.
칼뱅은회심이전이나이후나고전을 존경하고인문주의를긍정하는기본적인태도에서변화가없었다.
그러 나그의이러한입장은대부분인문주의가지향했던회중의상황에맞추 어조절하려는태도때문이었다.
칼뱅은“고전적인수사학자들이경탄 하는훌륭한문체”로이루어진“인간적인웅변술” 자체를지향한것이 아니었다.
오히려그는“성경의대부분이교육받지못한사람들에의해 쓰였기에그문체가변변치않음”에도불구하고“비천하고낮은말들”로 도얼마든지“천국의신비들”을“꾸밈없이” 전달할수있는진리자체의 힘에주목하였다.27)
그는연설가가‘지적명민성’을갖추었지만, 실상은 자기의사익을위한“듣는사람들의환심을사는저속한아첨”에가까운 교묘한“설득”의웅변술을돌봄을위한적응언어로여기지않았다.28)
27) 부스마, 뺷칼빈뺸, 253.
28) 앞의 책, 254.
오히려그는‘평범한청중들에게양보하려하지않고전문화된용어들을 사용하는’ 철학적토론에가까운로마가톨릭의스콜라적언어와점차 거리를두면서, “한인간존재와다른인간존재의거리”를다리처럼이어 주는적응이라는‘언어예법’에천착하게되었다.
부스마에따르면, 칼뱅 은적응이라는‘언어예법’을지극히존중하며“추상적인진리의진술보 다는행위에있어서변화를유발시키는것에더욱관심이많아졌다.”29)
29) 앞의 책, 269.
이는 그의 회심 이후뿐만 아니라 이전에도 해당되는 말이다.
이렇듯칼뱅이“기독교인문주의자로서받은훈련과교육”30)은그 가설교자로서회중의삶에변화를이끌기위해의도한적응언어의풍부 한활용에지대한영향을미쳤다.
회심을통해성경의‘적응언어의세례’ 를성령의불세례처럼 받은칼뱅은성경의언어와그가습득한“이교 고전작가”들의언어를본격적으로상호연결하면서성경의진리를전파 하고자하였다.
그는성경을그의시대에맞는방식으로설명하고, 그 시대상황에처한회중에게성경의진리를설득하고감화시키며확신과 위로를제공하려했다.
이를위해그는적응(혹은조정)의방식을필요로 했으며, 적응은성경과당대라는두지평을연결하는능력을의미했다.
성경당시의언어와칼뱅시대의언어사이의상호교차적조우를위해 적응(조정)은 필수적이었다.
칼뱅은오를레앙에서인문주의법학을배울때, 로마법체계를연구 하면서두시대사이의“학문적대가” 혹은“전통”의힘을간접적으로 빌리기보다는“옛로마의사회관습연구를통해직접연구”하여옛로마 “법률본문들에나타난저자의의도와의미”를직접이해하는방식을 선호했다.
이러한접근방식을통해칼뱅은성경본문의의미를해석할 때, 성경의단어자구에집착하는재세례파의태도를비판하며, 오히려 해당단어가“그렇게말씀하실수밖에없었던상황”을심층적으로이해 하는가운데성경“저자의이유와의도,” 즉“하나님의이유와의도”를 찾는데전념하였다.31)
30) 매킴, 뺷칼빈신학의 이해뺸, 54.
31) 앞의 책, 59-61.
한마디로칼뱅은본문의의도와의미를중시하고, 그것의 문맥에 집중했다.
칼뱅의인문주의훈련의결과는성경해석에있어서칼뱅당대의 문맥을반영한특유의접근법으로나타났다.
그는확실히두지평을이해 하는해석자였으며, 성경의지평1과그의시대라는지평2 또는성서 저자의 의도 1과 칼뱅의 의도 2를 긴밀하게 연결하여 ‘경건과 정직과 유효적절한적용’으로이루어진조정언어를선택했다.32)
칼뱅은원독 자의이해를위한저자의의도(1)가칼뱅당대회중의이해를위한칼뱅 자신의의도(2)와다르지않다고확신했으며, 실제성경의저자인
“예레 미야가지금이세상에살아있다면⋯ 그는[나의주석을] 추천해줄것”이 라단언했다. 33)
이렇듯칼뱅은인간에게감화와변화를주어영적유익을 베푸시려는하나님의의도또는그리스도의의도를성경해석자인자신 의의도로삼았다는일종의자부심이있었다.
신적의도를관철하고전달 하는적응의언어가칼뱅의성경해석학의핵심이었다.
칼뱅의일관된 견해는성경기자의의도가성경저자인하나님의의도와상응해야하고, 성경해석자와설교자의의도는그리스도의의도와일맥상통해야한다 는 것이었다.
이러한정신을바탕으로칼뱅은복음주의적인문주의위에형성된 언어학적훈련을그의성서주석에아낌없이활용하였다. 34)
32) 브루스 고든, 뺷칼뱅뺸 (서울: IVP, 2018), 211.
33) 앞의 책, 211.
34) 부스마, 뺷칼빈뺸, 34.
제네바아카 데미에서성경주석을강의할당시“젊은목사들과학생들”로이루어진 대부분의회중이프랑스출신이었음에도불구하고일부불어를모르는 회중을고려하여강의를라틴어로진행한사실은자기과시가아니라 회중전체를돌보기위한언어조정의또다른사례라고할수있다.35)
칼뱅은“자기지방의말로된설교가하나님의백성의[영적_ 필자주] 복지에절대적으로필요하다는것을반복적으로강조했다.”36)
이와같 은칼뱅의수사학을계승한제네바목사회는인문학과성경주해및신학 에대한공식교육을받은사람과이분야에서풍부한경험을지닌후보생 들을선호하였다.
학생들은성경적교리에대한이해를증진시키고수사 학과변증학에대한기술을연마하기위해의도된주중신학토론회에 참석하였다.37)
칼뱅이세네카의관용론주석을집필할당시지녔던“고대의글을 연구하는인문주의방법에훈련된한그리스도인의자세”와회심이후 새롭게지니게된“성경그자체에서추론하는신학자의자세”에서변함 없이적응언어에천착했던이유는인간의“연약함” 때문이었다. 38)
35) 앞의 책, 64.
36) 스캇마네치/신호섭옮김, 뺷칼빈의제네바목사회의활동과역사뺸 (서울: 부흥과개 혁사, 2019), 302.
37) 앞의 책, 163.
38) 매킴, 뺷칼빈신학의 이해뺸, 65-66.
칼뱅 에게 인간의 연약함에 맞추어 소통하는 방식을 가장 먼저 알게 해 준 이는고전수사학에능통한세네카와키케로였다. 칼뱅은고대의연설가 들이대중의어리석음또는연약함에맞추어설득하기위해활용했던 수사학에주목하였다.
브루스고든(Bruce Gordon)은1531년인문주의 자칼뱅의뺷세네카관용론주석뺸이그가“자신의메시지를청중에게맞추어조정하는” 세네카의적응언어에얼마나매료되었는지를잘보여주 고있다고설명한다. 39)
칼뱅은세네카가폭군네로의성격적결함과뒤틀 린인성에맞추어그의분노를잠재우고제대로된군주역할을하도록 교훈하는방식을높이평가했다. 고든은세네카의방식이극한상황에서 도조절된언어를사용해야했던영향을미친칼뱅이“교사나설교자는 청중의필요와성향에적응해야한다는생각을일평생지니게되었다”고 분석한다.40)
세네카의방식에대한칼뱅의세심한연구는불과5년이 지나지않아프랑수아1세의본래성정과그가격노한상황에맞추어 뺷기독교강요뺸(초판)의 서문을 저술할 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다만회심한칼뱅은적응의수사학을왕에게사용할때, 네로와서로 잘알며근거리에서직접상대하던세네카와달리, 원거리에서왕을알지 못하는간접적인상황에처해있었다.
또한군주보다상위의규범으로서 (세네카의자연법과달리) 올바른성경해석이라는최상의규범이적응 언어의규범과한계로설정되었다는차이가있었다. 칼뱅의적응언어는 부드러움과엄격함이공존하였다.
그는적응의언어가단순히부드러운 언어로오해되어서는안된다고보았다. 적응의언어는때로는거친언어 가될수있다.
언어는상대와상황에따라조정되어야한다는것이그의 신념이었다.
드니크루제에따르면, 칼뱅에게“언어는하나님의행위의 무기이며, 지칠줄모르게활용해야한다.
그것은악과싸우는자신의 전투 행동을 그쳐서는 안 되며, 어떤 역경에서도 용기를 잃어서도 안 된다.”41)
39) 고든, 뺷칼뱅뺸, 70.
40) 고든, 앞의 책.
41) 드니 크루제, “칼뱅: 삶과 활동의 실제적 교차,” 「신학지남」 83-84 (2016), 111.
그는연약한교인을향하여부드러운언어를사용하기도했으나, 강퍅한대적자앞에서는강력한언어를사용하였다.
에밀두메르그 는칼뱅의초상화에서“엄격하면서도자상한, 준엄하면서도즐거운, 격 렬하면서도명랑한, 매우친근하면서도특별히위대한면모”42)를나타 내며, 그의적응언어도유사한특성을지닌다고설명한다.
칼뱅은제네 바의목회자들에게“식초와쓸개즙”을혼동하지말라고가르쳤다.
이오갑은 이를 “상처를주기위한엄격과사람을바로잡기위한엄격을잘 구별해야한다는뜻”이라고해석한다. 43)
칼뱅은목회자가“오직말씀으 로양들을먹이며, 늑대들을쫓고, 온순한사람들을교육과훈계로인도 하며, 반역자들과강퍅자들을강제하며고쳐나가야한다.
그들은맺기도 하고, 풀기도하며, 만일그래야한다면천둥과벼락을치기도하지만, 모든것을하나님의말씀안에서한다”라고강조했다.44)
42) 에밀 두메르그/이오갑 옮김, 뺷칼빈 사상의 성격과 구조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5), 52.
43) 앞의 책, 49; Calvin, Comm. Galatians. 6:1; Comm. 2 Corinthians. 7:3.
44) 두메르그, 뺷칼빈 사상의 성격과 구조뺸, 52.
이러한조정 언어는단순한인문주의적훈련만으로설명하기어렵다.
오히려회심 이후복음을통해알게된하나님의말씀을적응언어의더높은기준과 한계로삼았기때문에그의적응언어는더욱담대하고폭넓은면모를 지닌다고할수있다.
이와관련하여리차드멀러(Richard Muller)는칼뱅 이회심이후적응개념을하나님이인간의이해수준에맞추어자신을 계시한것임을강조하면서도, 하나님의본질이나진리를타협한것은 아니었다는점에주목한다. 칼뱅의성경해석의엄격한원칙은성경의 본문과의미를정확하게전달하기위해최선을다하는과정에서그의 적응개념은단순히인간의이해를돕기위한수단으로사용되었다는 것이다.45)
이렇듯인문주의자시절과달리신학자, 목회자, 개혁가로서 칼뱅의시선은범죄한인간의연약한마음을설득하고자하시는신적 돌봄이잘드러나는성경본문으로향했다. 칼뱅의친구콘라드바디우스 (Conrad Badius)는그의설교가“순전하고명백하며, 그가다루는본문 에적합하고, 자기양떼의수준에매우적절하다”고증언하고있다.46)
45) Richard Muller, The Unaccommodated Calvin (2000), 39-78.
46) 마네치, 뺷칼빈의 제네바 목사회의 활동과 역사뺸 (2019), 311.
칼뱅은 기독교 인문주의를 바탕으로 언어의 조정과 적응을 통해 신학적진리의전달을정교하게다듬었으며, 이는오늘날에도여전히 중요한신학적원칙을제공한다. 그는인문주의교육을통해언어가인간 의경험과기대를전달하고변형시키는방식을깊이이해하였고, 이를 신학적소통의도구로활용하였다.
칼뱅은고대수사학자키케로와세네 카의영향을받아논리적입증보다진리의효과적전달에중점을두었으 며, 청중의상황과감성에맞춘교리전달을통해신앙의변화를도모하였 다.
또한그는인문주의적수사학과성경의언어를융합하여성경의진리 를시대적문맥에맞게해석하고자하였으며, 이는신학적진리가추상적 진술에머물지않고청중의삶에서실천적변화를끌어내는데중점을 두었다.
결과적으로칼뱅의언어적적응은다양한청중의필요와성향을 고려한포괄적이고세심한접근을가능케하였으며, 이는단순히청중을 감화시키는것을넘어하나님과인간사이의심연을메우고자하는그의 신학적사명과밀접하게연결된다.
나단군터(Nathan Gunter)에따르면, 칼뱅의적응개념은오늘날기독교교육의교육학적패턴을형성하는데있어서도핵심요소로작용하며, 점진적으로자신을드러내신신적 방식은기독교교육에서본받아야할중요한모범으로여겨진다.
이러한 접근은학습자의이해능력에맞추어교육방법을조정하는원칙을반영 하며, 신성한계시의점진적인적응방식을교육적실천에서구현하는 데중점을둔다.47)
47) Nathan H. Gunter & Jeffrey M. Horner, “Clarity, Covenants, and Calvin’s Divine Accommodation,” Christian Education Journal (2018): 74-89.
이렇듯칼뱅의적응언어는현대교회가다양한배경 의사람들에게신학적진리를효과적으로전달하고, 공동체의영적성장 과돌봄을지속적으로이루어나가는데중요한신학적지침을제공한다.
III. 신적 돌봄을 반영하는 ‘적응의 언어’
칼뱅은신학적메시지의전달에서돌봄과적응을필수요소로강조 하며, 하나님의진리를인간의이해수준에맞게설명하는데주력하였다.
에드워드다우이(Edward Dowey)에따르면, 칼뱅의적응(accommodation) 개념은단순한신학적도구를넘어복합적이고다층적인신학적이해를 요구하는개념으로, 이는무한한하나님의신비를유한한인간의이해에 맞추는보편적적응과인간의죄악성을고려하여구속의메시지를전달 하는특별한적응으로구분된다. 48)
48) Edward A. Dowey, Jr., The Knowledge of God in Calvin’s Theology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2), 4-17.
칼뱅은하나님이아버지, 교사, 재판 관의이미지를통해인간의한계에맞추어자신을계시한다고설명하였으며, 이러한접근은신학적진리가단순한교리적진술을넘어신자들의 실천적변화를촉진함을나타낸다. 칼뱅의언어적적응은현대신학적 담론과 목회적 실천에서 돌봄과 적응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스캇마네치에따르면, “칼뱅은자기청중의주의를집중시키기위 해생생한이미지를선택”하는설교자였다.49)
그는특히인간을위한 적응의언어를사용하시는하나님을설명하기위해아버지, 교사, 재판 관의세가지이미지를활용하였다.
칼뱅에게하나님은부모, 교사, 재판 관으로서인간의“수준으로내려오셔서우리가이해할수있는이미지를 사용”하시는분이다. 칼뱅은“하나님이자신을계시하실때인간의능력 에자신을맞추신다는이사상을풍성하게전개하고자주로세가지이미 지를 사용”하였다.50)
첫째, 아버지또는어머니51)와같은하나님은연약하고미숙한아이 와같은인간을위해유아언어를사용하신다.
49) 앞의 책, 308.
50) 두메르그, 뺷칼빈 사상의 성격과 구조뺸, 239; 이오갑에 따르면, “하나님은 인간의 수준과 처지를 고려하여 단순히 자신을 낮추어 적응하는 것을 넘어서 인간의 미약한이해력에맞추기위해변형하고변질되기까지하시는” 분이다. 하나님은 적응에있어서“자신을고려”하지않으시고, 오로지“인간만을고려”하신다. 이러 한 분석은 칼뱅의 ‘적응’ 개념이 교육이나 상담에서 대상을 최대한 포용적으로 다루기 위한 방법론임을 시사한다. 이오갑, 뺷칼뱅의 신과 세계뺸 (2010), 117-118.
51) 헤르만 셀더르하위스는 “하나님은 자신을 병아리를 보호하는 암탉에 비유할 수 있도록 하시며, 이를 통해우리의 믿음을 강화하고자 스스로를 낮추시고이러한 변용(quodammodo transformat)을 감수하신다”고 설명하였다. Comm. Psalms. 14:4 (CO 31, 139); 뺷중심에 계신 하나님: 칼빈의시편 신학뺸 (서울: 대한기독교서 회, 2009), 67.
이오갑에따르면, “하나님 아버지는인류를구원하기위해인간들에게관심을가지고, 인간을사랑하며, 인간의현실에참여하는존재이다. 그리고그방식은사람들에게 필요한방식으로다양하게나타날수있다.”52)
칼뱅은성경이때때로 “부정확하게” 말하는이유는성경이아이들의수준에맞게조절된부모 의언어이기 때문이라고 본다.53) “보통 부모가어린아이에게하듯이, 하나님은우리에게말씀하실때면조금‘어눌하게’ 말씀하시는데익숙하 다.”54)
마네치에따르면, “확실히칼뱅은성경의언어가항상조절해주 는언어⋯ 제한적인이해의능력을가진인간에게겸손하게더듬더듬 말씀해 주시는 언어와 같다고 인식했다.”55)
따라서 성경의 언어에는 “잘못 말하는 것”이 있을 수 없으며, 단지 성경은 부모와 자녀 사이의 평범한대화처럼“일반적이고일상에서하는방식”으로말해졌기에“조 절된진리이지만절대로참되고믿을만한” 완전한진리로서전혀손색이 없다. 56)
따라서우리는“성경을안전하게따를수있다. 성경말씀은엄마 가자녀에게맞추어천천히나아가듯이우리가연약한상태로남아있지 않도록 나아가게 해 주기 때문이다.”57)
52) 이오갑, “칼빈의 신론 초월과 임재의 변증법적 하나님,” 뺷칼뱅의 신과 세계뺸 (2010), 43.
53) 데이비드 칼훈, 뺷칼뱅을 읽다뺸 (서울: 죠이북스, 2018). 51.
54) 뺷기독교강요뺸, 1.13.1.
55) 마네치, 뺷칼빈의 제네바 목사회의 활동과 역사뺸, 301.
56) 칼훈, 뺷칼뱅을 읽다뺸, 51.
57) 뺷기독교강요뺸, 3.21.4.
여기서중요한점은칼뱅에게적응의언어가비록연약한이를위한 언어이긴해도결코연약에머물게하는언어는아니라는것이다. 연약한 자를배려하면서도연약한자가처한상황에서나아지도록돌보는언어 이다.
따라서칼뱅은하나님의자녀인신자를위한하늘아버지의적응 언어의중심에“자식들에게꿀을발라주시는” 부드러운언어가있지만, 주변에는(때로율법의제3 용법의경우처럼) “굼뜬나귀”를닮은종들의 연약한육신과죄성을엄히훈육하는주인의“채찍”으로자극하는엄격 한언어가자리잡고있다. 58)
그러나칼뱅은하나님이“사람들의마음을 [채찍의엄격함이아니라_ 필자주] 부드러움과애정으로얻기를원하신 다”고하였다. 두메르그에따르면, 선하신하나님은“마치자기자식을 기분좋게해주는아버지, 겸비하고자애로운그런아버지와같아서” 노인이든히브리인이든아이들이든그들의수준에맞추어다양한방식 으로“꾀어내고”(attraire) “용기를북돋워” 그들(만으로는도무지갈수 없는), 그러나부모는원하는지점까지도달하기를원한다.59)
여기서 하나님이인간에게적응하는것은전적으로연약한자녀를돌보시는 “하나님의선하심” 때문이며, 하나님은인간모두를돌보고자조정하는 분이다.
칼뱅의보기에적응의기원은하나님의선이며, 적응의목적은 교회와 인류의 유익이다.
둘째로교사와같은하나님은연약하고무지한학생과같은인간을 위해그들의“무지에스스로적응”하신다.
“무지함”(ruditas)으로인해 이해하기어려운“불가시적인것”을알려주시기위해“가시적인세계에 있는형상을통해당신의표현방식을맞춰주시는분이다.”60)
58) Dawn Debries, “Calvin’s Preaching,” in ed. Donald. K. McKim,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Calvi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18.
59) 두메르그, 뺷칼빈 사상의 성격과 구조뺸, 47.
60) 셀더르하위스, 뺷중심에 계신 하나님뺸, 65.
두메르그에따르면, 이러한하늘아버지의“능력에대한느낌이우리에게경건을 가르쳐주는유일하고적절한교사이며거기로부터종교가생겨난다.”61)
교사이신하나님의언어는“실천과경험속에서얻어지는지식”을통해 신자로하여금“살아나고⋯ 성화되는것을느끼게” 한다.62)
칼뱅은“하 나님에관해더세련되게말해야옳지만, 그러면우리가이해하지못할지 도모르기” 때문에, 창조와타락이야기부터“비교적단순한사람들의 사고방식과표준에맞춰져” 있다고말한다. 하나님은배운사람뿐만아 니라배우지못한사람들도모두배려하는분이시기때문이다. 63)
그러한 의미에서칼뱅은“건조하고차갑고추상적인교리들”을용인하는주지 주의자가될수없었다. 64)
시린존스에따르면, 칼뱅에게“교리의궁극적 목표는경건의성향을양육하는것이며, 그성향은청중의문화적특수성 에맞춘신성한지혜의수사학을수용하는데있었다.”65)
61) 두메르그, 뺷칼빈 사상의 성격과 구조뺸, 67.
62) 앞의 책, 67.
63) 앞의 책, 62, 239.
64) 앞의 책, 61.
65) Jones, Calvin and the Rhetoric of Piety, 190; 칼뱅에따르면, “하나님은모든시대에 동일한 교리를 명하셨다. 그러나 그가 형식과 외적 방식을 변경한 것은 그분이 변하는 존재임을 나타내기 위함이 아니라, 오히려 변하기 쉬운 인간의 능력에 맞추어 자신을 적응시키려는 의도를 가진 것이었다.” 뺷기독교강요뺸, 2.11.13.
따라서교리는 먹기좋은음식과같아야했다.
주지주의방식의차가운음식도맛있게 먹을수없지만, 신비주의방식의뜨거운음식도맛있고안전하게먹기는 어려울것이다.
적당히따뜻한음식이먹기좋은법이다.
한마디로칼뱅 은(음식을먹는사람의) 미각에맞게조절된온도를지닌음식이어야 한다는입장이다.
부스마에따르면, 칼뱅은교사의“올바른교육방법”을위해가장중요한것중하나로때로“화를내는것처럼보일” 수는있지만, 그럼에도“과도한가혹함”이나“매질”과같은“극단에흐르지않는중용” 의자세였다.
칼뱅에게“훌륭한교육이란” 신적조정을본받는목회적인 조정의마음에바탕을두고“학생들의능력에주의깊게맞추어이루어지 는” 돌봄의교육을가리킨다. 66)
이러한맥락에서칼뱅이보기에“신학자 는설득력있게글을쓰고그들의청중을신앙으로움직여야하며⋯ 하나 님의말씀자체가본질적으로설득적이며조정적이기때문에신학의 수사학도 설득적이고 조정적이어야 했다.”67)
셋째로재판관이신하나님은인간이자신의“죄와반역과불순종을 인정하도록설득”하시면서, 인간이진심으로자기가“하나님에게서멀 어진죄인임을깨닫고” 인정하게하시며, “하나님의판결이우리의판결 이되게” 하신다. 68)
칼뱅에게재판관이신하나님을위한적응의언어는 언뜻부드러운언어가아닌엄격한언어, 젖이아닌채찍만해당할것 같지만, 흥미롭게도칼뱅은신자를위한율법의제3 용법에서부드러운 언어가지니는긍정적기능과엄격한언어가지니는부정적기능모두를 인식하고 있었다.
칼뱅에게제3 용법은종의마음을영속적이고포괄적으로감화시키 면서도즐겁고자발적인순종을이끌어내는긍정적인기능을한다.69)
66) 부스마, 뺷칼빈뺸, 213.
67) Jones, Calvin and the Rhetoric of Piety, 187.
68) 두메르그, 뺷칼빈 사상의 성격과 구조뺸, 239.
69)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 프로테스탄트 사회 윤리의 신학적 토대뺸 (서울: IVP, 2017), 140.
헤세링크는하나님의선하심에서비롯된“그리스도의감미로운향기” 를통해제공되는“달콤한복음과생명을고무하는복음의능력과효험” 이 신자의[내적인격_ 필자주]을“감동시켜그리스도를[기꺼이_ 필자 주] 열망하게” 만든다고설명한다.70)
칼뱅의시편주해에따르면, “하나 님은매혹적으로사람의마음을그분께로이끄시며, 그분의은혜는많은 배움을가진자나그렇지않은자를막론하고모든사람에게준비되고 열려있음을약속하신분”이다. 71)
이처럼하나님의‘다정한부성’은신자 가마음에서우러나오는즐거움과열망으로반응하게하는이유가되므 로, “신자는하나님이어떤분이신지알게되면서자기를하나님께‘적응’ 시킨다.”72)
신자가하나님의겸손한적응의사랑을맛본후에는내적 인격이하나님앞에서겸손히행동하며스스로교만해지지않으려한다. 따라서율법과십계명은‘즐거운’ 선물로서적응을위해주어진것이라고 할수있다. 73)
성부하나님의돌보시는사랑을받은신자의내적인격은 기꺼운마음으로이웃의필요에맞추어적응하며교제하고돌본다.74)
다음으로칼뱅은제3 용법의부정적기능이신자안의외적인격의 약함에서기인하는불가피한반응이라고설명한다.75)
“성령으로감화 된동일한개인속에인격의다른측면이공존하는”76)
70) 앞의책, 141; John Hesselink, “Calvin, Theologian of Sweetness,” Calvin Theological Journal 37 (2002), 321. Calvin, Comm. 2 Corinthians. 2:14, 158.
71)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뺸, 141; Calvin, Comm. Psalm. 119:149.
72) 앞의 책, 146; 칼뱅, 뺷기독교강요뺸, 3.19.5, 837; Calvin, John Calvin’s Sermons on the Ten Commandments (Grand Rapids, MI: Baker, 1980), 77; CO 26:267.
73)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뺸, 146.
74) 앞의 책, 168.
75) 앞의 책, 137.
76) 앞의 책, 137.
현상을인식한 칼뱅은, 그러한신자들을위한적응의언어가단지부드러움뿐만아니라 엄격함도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이렇게 가르쳤다:
성령의인도로감동을받고일깨워진신자는하나님께순종하는일 을사모하게되지만, 여전히율법에서두가지측면의유익을얻는다. 율법은그가사모하는주님의뜻을날마다철저하게배우고확실히 이해하는가장훌륭한도구다. 이는하인이주인에게일관되게순응 하고자주인의방식을더욱세밀하게관찰하면서칭찬을받으려마 음을다해준비하는것과같다. ⋯ 우리는‘가르침’뿐아니라‘권고’ 역 시 필요하기에, 하나님의 종이 율법에서 받는 혜택은 여기에 있다. 즉, 율법을자주묵상함으로써순종의열정을일깨우고강건해져서, 범죄의길로미끄러지지않게한다. ⋯ 율법은게으르고머뭇거리는 나귀를앞으로가게하려는채찍과같아서, 우리의육체를일깨우고 일하게만든다. 영적인사람도아직은육신의짐에서자유롭지않기 에, 율법은 계속해서 그를 찌르고 부단한 자극을 준다. 율법은 그가 나태의 자리에 가만히 머물지 못하게 한다. 77)
77) 칼뱅, 뺷기독교강요뺸, 2.7.12; 앞의책, 137-139의번역; 송용원, “칼뱅의선물사상에 대한 고찰,”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15 (2020): 229-231을 참고하라.
그러나 칼뱅에 따르면, “율법의 지성적 가르침의 범주를 넘어서, 신자를자발적순종으로이끄는위와같은권고의통찰”은신자를자발적 일치로이끌면서도, 동시에‘회초리’나‘계속찌르는것’으로신자를일깨 우고활기차게한다는차원에서단순한부정적기능이아니라긍정적 기능이내재된부정적기능혹은긍정적기능으로이끄는부정적기능이 라할수있다.78)
다시말해아버지, 교사, 재판관모두에게나타나지만, 특히재판관의이미지에서자주사용되는엄격한적응언어는자녀와 학생, 죄인을감화시키기위해부드러운적응언어가사용되기전의일시 적인 방편이라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칼뱅에게아버지, 교사, 재판관의 세이미지는동등한 무게를가지기보다는 아버지의 이미지를 중심으로두고, 교사와재판관의 이미지는 궤도를 도는 행성에비유될수있다.
칼뱅은성부하나님이 비록자녀들에게엄격해야할때라도“가볍게라도때리는것을원치않으 시는” 부드러운부성애를지니신분이라고보았다.
그는성부하나님을 본받아이땅의모든아버지, 판사, 목사들이엄격하기보다“부드럽기”를 주문하였다.
실제로회중의영적유익에맞게메시지를조정하는것이 얼마나중요한지잘아는목회자로서칼뱅은성상파괴의과격성을우려 하면서개혁진영의목회자들이주로부드러운적응언어를사용할필요 가있다고생각하였다.
그는개혁진영의목회자들이“노하고벼락치는 고함꾼”(criar)으로변하지않기를바라며다음과같이권고했다:
“신실 한목사의의무는다른사람들을울게하기에앞서자기자신이스스로 우는데있으며, 화를내기에앞서서자기속에서먼저고통하는데있으 며, 고통을다른사람들에게주기보다자기안에가지고있는데있다.”79)
78) 앞의 책, 139; 칼뱅, 뺷기독교강요뺸, 2.7.12.
79) 두메르그, 뺷칼빈 사상의 성격과 구조뺸, 49.
맥그라스에따르면, 칼뱅이이러한태도를취할수있었던이유는 그가성육신의원리를“계시와언어와이미지에까지확대”하였기때문 이다. 80)
칼뱅은“하나님이우리가감당할수있는말과그림으로자신을 계시하신다”며, “창조주와피조물사이의거대한구렁을메우는것이 하나님의관심사이자목적”이라고보았다.
하나님은우리의능력에맞 추어기꺼이자신을낮추고조정하시며, 이는하나님께서우리를위한 긍휼과 배려의 표지라고 여겼다.81)
여기서 맥그라스는 돌보아야 할 상대가 감당할 정도로 부드럽게 조정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신적 마음의 특징을 ‘기꺼움’으로 보았다.
이는억지로가아니라자발적으로적응하는것을의미한다.
후크마의 관점에따르면, 칼뱅은신자를위한율법의제3 용법이자리하는은혜 계약에서‘하나님의자발적겸손’과이에‘감사하는인간의엄숙한순종’ 을강조하였다.82)
이경우율법은더이상강제가아니라‘즐거운영적 교감’(cheerful communion)으로기능하게된다.83)
칼뱅은신자의회심 역사를위하여“새로운언약이단지문자적교리를넘어서는효력”을 가지려면, “우리귀와마음속으로파고들어하나님을섬기게” 하는즐거 움과기꺼움을북돋우는데알맞게조정된하늘아버지의언어가필요하 다고보았다. 84)
80) 맥그라스, 뺷장 칼뱅의 생애와 사상뺸, 239.
81) 앞의책, 240; 예를들어칼뱅은뺷미가서설교뺸에서만유를충만히하시는하나님이 굳이특정한장소를떠나거나특정한장소로가실필요가없다는점을지적하며, 왜 하나님께서 “그 자리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표현하셨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칼뱅은 이러한 표현이 “하나님이 특정 장소에 있는 것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의 수준에 맞추기 위함”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오갑, 뺷칼뱅의 신과 세계뺸, 34 참고.
82)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뺸, 126.
83) 앞의 책, 136.
84) 앞의 책, 138, 141.
이는칼뱅이볼때, “신학의언어가청중의필요에적절히 맞춰져야하며, 단순히청중이믿어야할것을말하는것만으로는충분하 지않고” 청중의성향을변화시키는담론을구성해야한다는사상을반영 한다. 85)
교리는사람들이“하나님이모든것을우리의선과구원을위해 정하셨음을인식하면서, 동시에하나님이주신권능과은혜를느끼게 하여 신뢰하고 기도하며 찬양하고 사랑하도록 움직여야 한다.86)
따라서신-인간에상호적응하는유기적공간에서신자는하늘아버 지의사랑을받는자녀로서‘기뻐하는마음을가지고자발적으로[하나 님과이웃과_ 필자주] 소통하고교제’할수있다.87)
그는에베소서5장 설교에서“높은지위에 있는자는그권위로섬기는자에게복종해야 한다”고가르쳤으며,88) 이는시민정부뿐만아니라교회에도적용되는 공통 원리였다.
실제로 칼뱅 당시 제네바 교회 컨시스토리의 회의록 (1555~1556년)을보면, 칼뱅의적응신학원리와실천은신자의다양한 수준과상황을이해하고돌보는방향으로조정된“그리스도의‘관대함’ (generosity)으로개인과공동체의자발적회개를기꺼이기다리면서 그들모두를보호하는것을목표로삼았음을알수있다.”89)
85) Jones, Calvin and the Rhetoric of Piety, 28-29.
86) 앞의 책, 29.
87) 송용원, 뺷칼뱅과공동선뺸, 168; “칼뱅의선물사상에대한고찰,” 「한국기독교신학 논총」 115 (2020), 217; Calvin, Sermons on Acts, 4:32-37, 180.
88) Calvin, Sermons on Ephesians, 5:18-21, “car its ne sont pas instituez pour leurs personnes, mais pour le bien commun,” CO 51:732.
89) Jung Sook Lee, “Excommunication and Restoration in Calvin’s Geneva, 1555- 1556,” Ph.D. Diss.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1997), 37-40; 송용원, 뺷칼뱅 과 공동선뺸, 197.
또한문제가 있는신자들이회복을신청하고승인받는비율이낮았던이유는‘온건한 중용 규칙’을 강조했던 칼뱅의 적응 신학이 “강제로 회개를 강조하지 않고자발적회개를중요시했기때문”이기도했다.90)
그는시민정부도 교회의영적유익을위한적응의원리를시행하는소명에서교회와보조 를맞추어야한다고디모데전서3장설교에서밝혔다:
“통치자들의권위 가없어지고그들이상당한모욕을받을수도있다. 때때로그들은대담함 을보여줄수도있다. 하지만결코그런일이지속될수는없다. 그들이 세상에서가장담대한사람들이라해도, 교회의교리를잘만들어서백성 들이 수용되도록 해야 할 진지함을 잃어버리면 안 된다.”91)
90) 앞의논문, 142-146; Bruce Gordon, Calvin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09), 134;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뺸, 197.
91) Calvin, Sermons on 1 Timothy, 3:14-15, CO 53:305;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뺸, 231.
칼뱅은신적돌봄을언어적적응을통해구현하고자하였다.
그는 하나님이아버지, 교사, 재판관으로서인간의이해를돕기위해적응의 언어를사용하신다고설명하며, 이러한적응이단순한의사소통을넘어 인간의성숙과성화를위한배려임을강조하였다.
칼뱅에게적응의언어 는연약한자를일깨우고성장하도록돕는도구로서, 하나님과인간사이 의심연을메우고신앙적변화를촉진하는수단이었다.
이는신학의언어 가청중의필요에맞춰조정되어야한다는그의사상을반영하며, 교회와 사회가신적관대함과자발적순종을통해진정한돌봄공동체로발전해 야한다는통찰을제공한다.
칼뱅의적응신학은오늘날교회가다양한 배경의사람들에게진리를효과적으로전달하고, 사회적책임을수행하 는 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IV. 교회 돌봄을 위한 ‘조정’의 언어
칼뱅은교회공동체의돌봄에있어서언어적조정의중요성을강조 하며, 신자의 영적 변화를 촉진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부여하였다.
제네바에서의목회경험을바탕으로그는교회의개혁이단순한교리적 변화에그치지않고, 시대적요구와청중의특성에맞춘언어적조정과 세심한 목양을 통해 신자들이 더 나은 영적 성장을 이루도록 하는 데 중점을두었다.
이러한접근은종교개혁의목표를교회내외에서실질적 으로구현하고, 공동체의영적성숙과돌봄을조화롭게실천하려는그의 깊은 열망을 잘 보여준다.
역사학자윌리엄몬터는칼뱅의1차제네바시기(1536~1538)와2차 제네바시기(1541~1564) 사이의가장중요한차이점중하나로칼뱅의 인격적변화를‘성급함’에서‘성숙함’으로의전환으로지목한다.92)
스캇 마네치에따르면, 두시기사이에칼뱅은“스트라스부르의노련한목회 자마르틴부써(Martin Bucer)로부터교회생활과목회사역에대한중요 한실제적교훈을받으며” 큰유익을얻었다.93)
이로인해칼뱅은“더욱 성숙해졌고, 정치적으로기민하며, 분투하고있던교회를이끌기위한 더나은준비를갖추었다.” 이과정에서그는제네바의복잡한사안에 효과적으로적응할수있는능력을갖추게되었다. 94)
92) 윌리엄 몬터/신복윤 옮김, 뺷칼빈의 제네바뺸 (서울: 합신대학원출판부, 2015), 112-113.
93) 마네치, 뺷칼빈의 제네바 목사회의 활동과 역사뺸, 57.
94) 앞의 책, 59.
훗날제네바의‘목사회는좋은목회자의첫째조건으로나이가아니라유능함과영적성숙 을강조’하였고,95) 칼뱅은제네바에귀환한이후교리와인사양방면에 서안정을이루었으며, “소의회로부터대대적인협력을받게” 되었다. 96)
돌이켜보면1차제네바시기에칼뱅은파렐과함께제네바교회와 시민사회의상황에맞추어점진적개혁을시도하기보다는단기간에철 저한개혁을단행하려했다. 문제는칼뱅과파렐의대의가아니라, 그들 의다소성급하고도도하게보이는태도와상호존중의소통부족이제네 바지도층의반발을일으켰다는점이다.
이러한상황에서제네바의지도 층은여러세심한조정이필요한사안에서문제가발생할수밖에없었다.
그러나스트라스부르에서부써를통해관용과미묘한조정의기술을 어느정도익힌칼뱅은1541년제네바로귀환한직후, 1차시기의갈등에 대해 일체 함구하며, 1538년 추방 당시 설교했던 성경 구절부터 다시 시작했다.
이로인해제네바회중과시민정부에깊은인상을남겼다.
같은해칼뱅은제네바의“미완성상태의교회법규를6인의자문위 원회와함께6주간동안수정하고증보”하였으며, “소의회와200인의회 에의해약간수정”되도록하였다. 97)
95) 앞의 책, 162.
96) 몬터, 뺷칼빈의 제네바뺸, 112-113.
97) 앞의 책, 113.
또한칼뱅은주일학교와요리문답 서를통해종교교육의목적을충분히달성하고자하였으며, 한편으로는 “가능한한어려우면서도엄격하게만들기”를지향하되, 다른한편으로 는“학생들의젊고불완전한정신에적게나마양보”하여그들이이해할 수있는범위에서작성하고자했다.
예를들어“구속과성찬과같은난해 한교리들은간단히단순화”하였다.98)
몬터는칼뱅이바람잘날없는 신생개혁도시에서‘완성된신학’을먼저세우기보다는‘제네바의청년 들을위해잘조정된신학’을지향하면서그들의“마음을유순하게환원” 하고자했으며, “상당한노력끝에이에성공”했다고평가한다.99)
부스 마는칼뱅이“가끔초연하고조직적인신학의‘절대적균형’을성취하는 것보다특정청중을특정목적을위해움직이는것에더욱관심이많았 다”고 설명한다.100)
존스는 칼뱅의 언어가 “강화의 속도를 늦추면서 예시와단순한이미지를광범위하게사용”하여학생들의교실환경에 적합하게전달되었다고평가한다. 101)
칼뱅의수사학은“단순히교리의 외피(clothing)”가아니라“항상특정청중의관습에신중하게맞춰진” 것이었다.102)
이러한수사학적접근을반영한프로테스탄트진영의교육학적원 리는칼뱅이1546년고린도전서3장2절주석에서다음과같이요약하였 다:
“현명한선생은학생들의이해력에자신을적응시킨다. 그는연약하 고무지한자들을기본적인원리로부터가르치며, 그들이따라올수있는 것이상의어려운것을가르치지않는다. 간단히말하면, 그는자신의 가르침이넘치지않도록한방울씩주입한다.”103)
98) 앞의 책, 162.
99) 앞의 책, 162, 334.
100) 부스마, 뺷칼빈뺸, 269.
101) Jones, Calvin and the Rhetoric of Piety, 30.
102) 앞의 책, 57.
103) 부스마, 뺷칼빈뺸, 269.
부스마에따르면, 칼뱅 의적응언어예법은지속적으로1555년마태복음3장7절주석에서“선생들이그시대의요구와사람들에게적합한것을주의깊게고려하지 않는다면, 그것은냉정한교육방식이될것”이라고강조하며, 절대적 균형보다 상황에 맞는 조정의 중요성을 지적하였다.104)
이는 칼뱅이 제네바의당시상황을세심하게고려하고적절히조정하는역할을통해 목회적 정체성을 깊이 인식했음을 보여준다.
몬터는또한제네바가여타고자세의도시들에비해칼뱅에게“호의 적인환경”을제공했다고강조한다.105)
레베카쉬츠의연구에따르면, 스트라스부르에서칼뱅을변화시키는동안그의동료피에르비레가 제네바를변화시켰다. 비레는“종교분쟁의중재자이자조정자”로서“진 리의타협을통해평화를조정하는방식” 대신, “신념의확고함을지키면 서도신앙과성품으로다른이의신뢰를얻었으며, 가장어려운상황에서 도 사람들을이해시키고설득”하는 인물이었다.106)
1541년제네바에 도착한비레는“반대의견을가진사람들을온순하게가르치는” 교사로 서제네바의변화에기여하였다.107) 쉬츠는칼뱅이제네바로돌아왔을 때, 제네바가“그가떠날때의도시”가아니라“비레의헌신으로되살아 난새로운제네바”가되었음을지적한다.108)
104) 앞의 책, 269.
105) 몬터, 뺷칼빈의 제네바뺸, 334.
106) 레베카쉬츠/박경수옮김, 뺷종교개혁의천사피에르 비레뺸 (서울: 대한기독교서 회, 2023), 14.
107) 앞의 책, 169.
108) 앞의 책, 162.
비레는대적자와의논쟁 에서도자신의“지혜와이해를훨씬뛰어넘는” 회중에대한“사랑스럽 고사려깊은돌봄”을제공하며, 신학적논쟁에서도“배우지못한대부분의청중이이해할수있도록신중하게용어를선택”하였다. 109)
칼뱅 은“가장완고한사람의얼굴에도미소를가져다줄수있는” 조정자로서 의비레의면모를갈망하며, 제네바에서비레의우정어린지지를계속 해서원하였다.110)
이러한갈망은그의그리스도교논쟁(Disputations Chrétiennes)을 위한 서문에서 드러난다.111)
여기서칼뱅은교리를가르치는방식에있어“조금더즐겁고유쾌한 방식”을강조하며, 이를통해“많은사람, 아니분명대다수가더편해질 것”이라고설명한다.112)
제네바당국은칼뱅의귀환직전, 비레의적응 언어에어느정도감화된상황이었다. 113)
제네바당국은청각적경험을 중시하며, “여자들과어린이들과청력이좋지않은자들이강단의가장 앞자리부터왼쪽까지앉게” 하고, 강단을높은위치에두어소통을촉진 시켰다. 114)
칼뱅은“참된기독교예배의필수조건은하나님말씀의설교 와 신적 메시지에 대한 회중의 진심 어린 응답”이라고 여겼다.115)
109) 앞의 책, 105-106.
110) 앞의 책, 105-106.
111) 앞의 책, 185.
112) 앞의 책, 185.
113) 앞의 책, 169.
114) 스캇 마네치, 뺷칼빈의 제네바 목사회의 활동과 역사뺸, 73, 77.
115) 앞의 책, 78.
또한제네바당국은교구목사가해당교구내에거주하며“교구민의 개인적인필요에대처하는주요방식가운데하나인가정방문”을독려하 였다.
칼뱅은“유능한목회적돌봄은목회자로하여금자기백성과근접 한거리에거주할것을요구”116)한다고강조하며, 예배회중을위한설교만으로는불충분하다고보았다.
그는“하나님말씀의진리를그들의특 정한삶의환경에적용할수있도록” 지원하는가정방문을통한“인격적 인돌봄”의필요성을강조하였다. 칼뱅은목회자가강단에서모든사람 을동시에가르치는것만으로는충분하지않으며, 필요할때마다특별한 가르침을추가로제공해야한다고강조하면서, “목사들은잃어버린양 을뒤쫓고, 다리가부러진양의다리에붕대를감고병든양은튼튼하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117)
이를 위해 목회자는 매주 주간 성경 연구 모임인 콩그레가시옹을 통해 회중의필요에맞는세심한성경해석과 전달을위한훈련을받았다.118)
결과적으로칼뱅과제네바는(상당한 정도로) 상호조정의선순환을거치며“제네바는칼뱅이점진적으로훈 련시키고 교육시킨 공동체로 형성된 유순한 재료”가 되었다.119)
116) 앞의 책, 225, 528.
117) 앞의 책, 527-528.
118) 앞의 책, 254.
119) 몬터, 뺷칼빈의 제네바뺸, 334. 그에 따르면, 1564년 칼뱅은 자신의 임종을 맞이하 여 소의회 의원들이 방문했을 때, 그들과의 과거 논쟁을 잠시 회상하며 모든 책 임을자신에게돌렸다. 그는“항상 마땅히해야할일을다했다고는생각하지않 지만, 적어도 항상 선한 뜻을 품고 있었던 것만은 알아주었으면 좋겠다”라는 진 심 어린 고별사를 남겼다. 이 마지막 고백은 칼뱅이 제네바에서 하나님 앞에서 는 겸손을 유지했으나, 인간적으로는 ‘적응과 조정의 목회’를 실천하며 자신의 부족함을 지속적으로 성찰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 칼뱅은 행정관들에게 “하나 님으로부터 신중한 정신을 받았으나 이를 활용하지 않는 이들”이 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하였다. 같은 책, 142-146.
칼뱅의교회돌봄을위한언어적조정은단순히설교와교리전달에 그치지않고, 제네바공동체의영적성숙을위한통합적전략을구성하였 다.
그는 목회 경험을 통해 청중의 필요에 부응하는 언어적 유연성을 확보하고, 신앙교육에있어돌봄의원칙을중심에두었다.
이러한접근 은신학적진리를고정된형식으로전달하는대신, 시대적맥락과청중의 요구에맞춰실천함으로써교회의변화를이끌었다.
칼뱅의지도하에 제네바교회는신앙과실천의조화를이루는방향으로발전하였으며, 이는현대교회의목회적역할에서언어적조정과돌봄의상호작용이 갖는 중요성을 재고하는 데 귀중한 학문적 사례를 제공한다.120)
120) 이와 같은 맥락에서 실천신학자 가레트 크리스핀(Gareth Crispin)은 칼뱅의 ‘적 응’ 신학이 청소년과 어린이를 세대 간 교회에 통합하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 할을한다고논의한다. 그는교회지도자와신앙적으로성숙한신자들이이러한 통합을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 ‘적응’의 원리를 실천해야 하며, 이를 통해 교회 의실천과구조를청소년과어린이들의필요와상황에맞게정교하게조정할필 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적응’의 적용은 신앙 공동체 내에서 보다 포용적 이고 조화로운 관계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Gareth Crispin, “A Theology of Accommodation as a Resource for Integrating Youth and Children into Intergenerational Church,” Christian Education Journal, 14.1 (Spring 2017): 7-22.
V. 사회 돌봄을 위한 ‘조정’의 마음121)
121) 본 논문 제5장은 필자의 박사학위 논문, “The Common Good in the Theology of John Calvin,” Ph.D. Diss. (The University of Edinburgh, 2012)의 내용을 기 반으로 개정하고 증보한 저서 뺷칼뱅과 공동선뺸 (서울: IVP, 2017)의 ‘박애적 공 동선’에관한258-270쪽의내용을‘돌봄’ 사역을위한‘조정’의관점에서수정․ 보 완한 것이다.
칼뱅의제네바사역은돌봄과조정의핵심원리를통해공동체연대 와사회적책임을혁신적으로실현한사례로평가된다.
그는중세교회의 공로 중심 자선 체계를 넘어, 돌봄의 마음으로 조정된 사회적 구조를 구축하여시대적요구에부응하는새로운사회적책임모델을제시하였 다.
제네바의종합구빈원과프랑스기금은칼뱅의이러한접근을잘보여 주며, 신학과사회적실천의유기적연결을통해각개인의참여와공동체 돌봄을강조하였다.
이모델은조정의정신을바탕으로돌봄이공동체의 결속과 개인의 자존감을 어떻게 강화할 수 있는지를 입증하였다.
칼뱅당시제네바의자선기관인종합구빈원과프랑스기금은중세 교회와는달리제네바의변화된상황에맞추어조정된자선모델의전형 적인사례라고할수있다.
종교개혁의선구자인마르틴루터는자선을 공로의문제에서벗어나사랑을동기로삼으며, 예배와공익헌금을결합 시켰다. 122) 칼뱅은루터의자선모델에영향을받아, 중세교회의개인주 의적공로중심자선신학을공동체적이고사회중심적인은혜의선물 신학으로변모시키고, 이를제네바의고유한상황에맞게조정하였다. 123)
제네바는종교개혁당시토착민들의“교육과복지”가절실히필요 한상황이었다. 124)
칼뱅이도착하기전제네바시민정부는로마교회의 공로신학에기반한일곱개의가톨릭사회기관을종합구빈원으로개편 하여변화된종교적, 사회적요구를반영했다.125)
122) Martin Luther, Luther’s Work 31 (Philadelphia: Fortress Press and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57), 367-371;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뺸, 259.
123)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뺸, 260.
124) 앞의 책, 260; Jeannine E. Olson, “Calvin and Social-Ethical Issues,”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Calvi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53-154.
125)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뺸, 261-262; David Hall, Calvin in the Public Square, (Phillipsburg, NJ: P&R Publishing, 2009), 106; Olson, “Calvin and Social-ethical issues,” 164; Robert Kingdon, “Calvinism and Social Welfare,” in Calvin’s Theological Journal 17 (1982), 217.
그러나종합구빈원은 칼뱅의 2차 제네바 시기에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도시 빈민들의 사회 공익을위한“이성화”와(세속에맡긴다는의미에서) “세속화된” 돌봄과 환대기능을조정하는조치를취하기시작했다.126)
칼뱅은종합구빈원 의운영을주목하며, 헌신적인평신도집사로서구호품을수집하고분배 하는구빈원장을세워자발적인헌신을통해돌봄과재활시스템을구축 하였다.
또한어린이교육, 의료및위생사업, 산업진흥등을통해이민자 대량유입으로인한사회적문제와공동체의돌봄능력간의 “상당한 간격”을메우기위해조정된방식으로해결할필요가대두되었다.127)
이러한간격은기존종합구빈원시스템의개선만으로는감당하기어려 운규모였기에, 칼뱅은대량의외국피난민들을제네바에정착시키기 위한 혁신적 대안으로 프랑스 기금을 도입할 수밖에 없었다.128)
프랑스기금은프랑스출신피난민위그노들이제네바사회에잘 적응하도록 돕기 위한 맞춤형 기금이었다.129)
1542년과 1560년 사이 제네바의인구가두배가까이증가할정도로프랑스종교난민의대량 유입은종합구빈원이그들을돌볼여력을초과하게만들었다.130)
126)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뺸, 262; Robert Kingdon, “Social Welfare in Calvin’s Geneva,” in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76.1 (1971): 52-53, 55.
127) 앞의 책, 264-265.
128) 앞의 책, 265.
129) Jeannine Olson, Calvin and Social Welfare: Deacons and the Bourse française (London and Toronto: Associated University Press, 1989), 24; Kingdon, “Social Welfare in Calvin’s Geneva,” 64; Kingdon, “Calvinism and Social Welfare,” 22;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뺸, 265.
130) W. Fred Graham, The Constructive Revolutionary John Calvin & His Socio- Economic Impact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1987), 105; William G. Naphy, Calvin and the Consolidation of the Genevan Reformation (Louisville, London;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4), 121-139; Kingdon, “Calvinism and Social Welfare,” 223; 몬터, 뺷칼빈의 제네바뺸, 22-23, 239-240 등에 나오는 페레누(Perrenoud), 루이 빈츠(Louis Binz), 미셸 로제(Michel Roget)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뺸, 266.
칼뱅의 제네바는 외국인과 토착민사이의 정치적, 경제적긴장으로인한외국 인혐오를완화하고자외국인을위한프랑스기금을부유한외국인들의 기부를통해1454년“개인적자선조례”를선언하여사회적갈등을조정 하는새로운이정표를세웠다.131) 제네바내에서프랑스기금을통해 경제적재활이필요한대상자들이증가함에따라기부경로를제네바 외부로까지확장하여국제네트워크를구축했다.
프랑스기금은“만성 적으로어려운사람들”에게만주어진것이아니라경제적어려움을겪으 면서도자부심을유지하고자하는이들에게도지원되었다.132)
이 상호 선물순환시스템은시민정부의시혜적돌봄을받는상황을내심달갑지 않게여기는과거중상층출신피난민의자부심과생산윤리에맞춰민감 하게조정된방식이었다.
칼뱅이종합구빈원보다프랑스기금과더가까 웠던이유는, 이기금이제네바교회와사회의민감한현안들을세심하게 해결하고 조정하는 데 훨씬 “유연하고 혁신적인 기관”이었기 때문이 다.133)
131)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뺸, 266; Olson, Calvin and Social Welfare, 34-36.
132) 앞의 책, 267; Olson, Calvin and Social Welfare, 103, 133-134; Olson, “Calvin and Social-Ethical Issues,” 166-167.
133)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뺸, 267-269.
칼뱅의조정적돌봄모델은사회적약자와피난민을포용하기위한 혁신적접근으로, 기존종합구빈원의한계를넘어서제네바의사회적 요구에정교하게적응한사례이다.
이모델은개인의기부와자발적참여 를통해사회적결속과경제적재활을촉진하며, 자부심과생산윤리를 존중하는상호선물순환시스템을구축하였다. 칼뱅의접근은단순한 자선활동을넘어서신학적자부심과사회적책임을포괄하며, 현대사회 에서도 적용 가능한 지속 가능한 공동체 돌봄 모델을 제시한다.
이는 종교적신념이사회적실천으로확장될수있음을보여주며, 칼뱅의조정 적돌봄의마음이시대적이고보편적인가치를지니고있음을드러낸다.
VI. 나가는 말134)
134) 필자는2012년에제출한박사학위논문에서 칼뱅의공동선신학을 구성하는과 정에서 ‘적응’ 용어를 논의의 중심과 깊은 관련 없이 총 9회 부분적으로 언급하 였다. 그러나 당시 논문에서는 ‘적응’ 개념의 가치와 의미를 공동선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탐구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본 논문은 우선 이러한 한 계를 보완하고자 칼뱅의 ‘적응’ 개념이 현대 ‘돌봄’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역사 적 및 신학적 자산을 재조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칼뱅의 ‘적 응’ 언어의발전과특성을그의저서와서신등1차자료를바탕으로통시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칼뱅의 ‘적응’ 사상의 신학적 조감도를 재구성할 계획이 다. 본 논문과 향후 연구가 함께 진행됨으로써 2012년 학위논문에서 충분히 다 루지 못한 중요한 영역을 보완하고, 칼뱅의 공동선 사상에서 ‘적응’ 개념이 지니 는 신학적 위상과 현대적 함의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자 한다.
본논문은16세기종교개혁가장칼뱅의‘적응, 조정, 조절’ 개념을 현대사회의‘돌봄사회’라는맥락에서심도있게분석하고, 이를통해 도출된칼뱅의신학적통찰이오늘날교회와사회에미치는영향을탐구 하였다.
앙드레비엘레에따르면, 칼뱅은“하나님말씀의모든측면을 이해하고, 그것을특정한역사적맥락에서살아가는사람들의삶에가장 완벽하게번역하는것”에주력하였다. 135)
135) André Biéler, The Social Humanism of Calvin, trans. Paul T. Fuhrmann (Richmond, John Knox Press, 1964), 65.
이러한접근은단순히역사적 상황에국한되지않으며, 현대적맥락에서도여전히유의미한신학적 모델로 기능한다.136)
본연구는칼뱅의적응개념이단순한신학적도구를넘어사회적 변화와교회의역할에대한심층적이해를요구하는복합적이고다층적 인개념임을강조하였다.
특히현대사회에서돌봄의필요성이급격히 증가하는상황을고려할때, 칼뱅의‘적응’ 개념은교회가사회적및문화 적다양성을포용하고돌봄의책임을수행하는데있어중요한이론적 지침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칼뱅은 변화하는 사회와 교회의 요구에 부응하여 신학적 진리를 효과적으로전달하려노력했으며, 그의‘적응’ 개념은다양한배경과교 회적, 사회적상황에능동적으로대응하는방식으로발전하였다.
현대 사회는초저출산, 고령화, 핵가족화, 경제적불안정, 디지털소외등의 문제로인해돌봄의필요성이급격히증가하고있다. 이러한상황에서 칼뱅의‘적응’ 개념은교회가사회적및문화적다양성을포용하고, 돌봄 의책임을효과적으로수행할수있는중요한이론적토대를제공한다.
히현대사회에서‘외로움’이라는심각한사회적문제와연관하여 칼뱅의‘적응’ 개념을적용하는것은시의적절하다.137)
교회는다양한 형태의외로움에대응하기위해맞춤형돌봄프로그램을개발하고, 이를 통해사회적고립을방지하는데기여할수있다. 138)
136) Yang-en Cheng, “Calvin’s Idea of Accommodation and the Possibility of Progressing with the Time,” (2024. 2.), 81.
137) 노리나 허츠/홍정인 옮김, 뺷고립의 시대뺸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021).
138) 신현호, “외로운 그리스도인, 온세대 교회에서 길을 찾다,” 미래목회와말씀연구 원 인카운터포럼 주제강연(2024. 5. 1.), 36-45.
이러한접근은칼뱅 이제네바에서신학적사상과사회개혁을결합하여복지, 경제, 금융, 교육에대한혁신적견해를제시했던전통과일맥상통하며, 오늘날교회 에도중요한시사점을제공한다.
현대교회는이러한신학적전통을바탕 으로 성경적 가치에 맞게 새로운 사회적 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히코로나19 이후급속한기술발전과인공지능(AI)의등장으로인한 경제적불평등의심화는교회가새로운방식으로사회적책임을다해야 할필요성을더욱부각시키고있다.
본연구는칼뱅의‘적응’(조정) 개념 이이러한현대적도전과요구에부응하는방식으로기본소득제도나 공유경제모델과같은새로운경제적구조를성경적가치에맞게구축하 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언한다.
결론적으로한국교회는칼뱅의‘적응’ 개념을바탕으로현대사회의 다양한돌봄요구에부응하는맞춤형돌봄시스템을구축하고신학적 지침을재정립할필요가있다.
이러한노력이교회가단순히과거의전통 을답습하는것을넘어, 변화하는사회적맥락속에서지속적으로심화되 는신학적실천을가능하게할것이다.
또한칼뱅의신학적통찰은오늘날 에도여전히유의미한방향성을제공하며, 교회가변화하는시대적요구 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신학적 접근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향후연구에서는다양한이론적보완과실질적적용방안을 탐구함으로써교회가미래의돌봄사회에서중요한역할을수행할수 있도록 하는 지속 가능한 전략을 제안할 것이다.
참고문헌
두메르그, 에밀/이오갑옮김. 뺷칼빈사상의성격과구조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5. 마네치, 스캇/신호섭옮김. 뺷칼빈의제네바목사회의활동과역사뺸.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9. 몰트만, 위르겐/이신건 옮김. 뺷희망의 신학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7. 셀더르하위스, 헤르만. 뺷중심에계신하나님: 칼빈의시편신학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송용원. 뺷칼뱅과 공동선: 프로테스탄트 사회 윤리의 신학적 토대뺸. 서울: IVP, 2017. 쉬츠, 레베카/박경수 옮김. 뺷종교개혁의 천사 피에르 비레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23. 우에노지즈코/조승미․ 이혜진․ 공영주옮김. 뺷돌봄의사회학뺸. 서울: 오월의봄, 2024. 이오갑. 뺷칼뱅의 신과 세계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장재호. “과학시대의 목회적 돌봄.” 「신학과 세계」 102 (2022): 225-251. 최용희. “칼뱅의‘하나님적응’(Divine Accommodation) 개념과목회적돌봄.” 「장신논 단」 55.5 (2023): 319-347. 최유진. “‘돌봄인’으로의부름-돌봄과젠더그리고보편적돌봄.” 「한국조직신학논총」 제67집 (2022): 195-227. 크루제, 드니. “칼뱅: 삶과 활동의 실제적 교차.” 「신학지남」 83-84 (2016): 91-115. 패튼, 존/장정식 옮김. 뺷목회적 돌봄과 상황뺸. 서울: 은성, 2004. 헬드, 버지니아/김희강 ․ 나상원 옮김. 뺷돌봄윤리뺸. 서울: 박영사, 2017. Battles, F. L. “God Was Accommodating Himself to Human Capacity.” Interpretation, 31 (1977): 19-38. Biéler, André. The Social Humanism of Calvin. trans. Paul T. Fuhrmann. Richmond: John Knox Press, 1964. Bouwsma. William J. John Calvin: A Sixteen-Century Portrait.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이양호․ 박종숙옮김. 뺷칼빈뺸. 서울: 나단출판사, 1991. Calvin, John. Calvin’s Commentaries. 22 Vols. Various trans. Edinburgh: Calvin Trans 송용원 | 돌봄의 시대에 칼뱅을 다시 생각하다 111 Society (CTS), 1843-1856. Reprint,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2005. _______. John Calvin’s Sermons on Ephesians. Edinburgh: The Banner of Truth Trust, 1998. _______. Calvin’s Sermons on the Ten Commandments. Grand Rapids, MI: Baker, 1980. _______. Sermons on Timothy and Titus. Edinburgh: The Banner of Truth Trust, 1979. _______. Calvin’s Commentary on Seneca’s De Clementia. trans. Ford Lewis Battles and André Malan Hugo. Leiden, Netherlands: the Renaissance Society of America, 1969. _______.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ed. John T. McNeil. trans. Ford Lewis Battles and others.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60. _______. Corpus Reformatorum. Philippi Melanthonis Opera Quae Supersunt Omnia. ed. C. G. Betschneider and H. E. Bindseil. Braunschweig and Halle: Schwetschke, 1834-1860. Cheng, Yang-en. “Calvin’s Idea of Accommodation and the Possibility of Progressing with the Time.” The 13th Asia Congress on Calvin Research. Seoul: PUTS, 2024. 2., 72-85. Debries, Dawn. “Calvin’s Preaching.” in ed. Donald. K. McKim.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Calvi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Dowey, Jr., Edward A. The Knowledge of God in Calvin’s Theology.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2. Graham, W. Fred. The Constructive Revolutionary: John Calvin and His SocioEconomic Impact.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1987; Originally published Atlanta, Georgia: John Knox Press, 1971. Gunter, Nathan H. & Horner, Jeffrey M. “Clarity, Covenants, and Calvin’s Divine Accommodation.” Christian Education Journal 1 (2018): 74-89. Hall, David. Calvin in the Public Square. Phillipsburg, NJ: P&R Publishing, 2009. Hesselink, I. John. “Calvin, Theologian of Sweetness.” Calvin Theological Journal 37 (2002): 318-332. Jones, Serene. Calvin and the Rhetoric of Piety. Louisville, Kentucky: Westminster 112 한국조직신학논총 제76집(2024년 9월) John Knox Press, 1995. Kingdon, Robert. “Calvinism and Social Welfare.” Calvin Theological Journal 17 (1982): 212-230. _______. “Social Welfare in Calvin’s Geneva.”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76.1 (1971): 50-69. Lee, Jung Sook. “Excommunication and Restoration in Calvin’s Geneva, 1555-1556.” Ph.D. Diss.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1997. Luther, Martin. Luther’s Works 31. ed. Harold J. Grimm. Philadelphia: Fortress Press and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57. McGrath, Alister E. A Life of John Calvin: A Study in the Shaping of Western Culture. Oxford: Blackwell Publishing, 1990. 이은진 옮김. 뺷장 칼뱅의 생애와 사상: 서구 문화 형성에 칼뱅이 미친 영향뺸. 서울: 비아토르, 2019. McKim, Donald K. ed. Readigs in Calvin’s Theology. MI, Grands Rapids: Baker Book House, 1984. 이종태 옮김. 뺷칼뱅신학의 이해뺸.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1. Monter, William. Calvin’s Geneva. New York: John Wiley & Sons, 1967. 신복윤옮김. 뺷칼빈의 제네바뺸. 서울: 합신대학원출판부, 2015. Olson, Jeannine E. “Calvin and Social-Ethical Issues.”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Calvi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_______. Calvin and Social Welfare: Deacons and the Bourse française. London and Toronto: Associated University Press, 1989. Wendel, François. Calvin: Origins and Development of His Religious Thought. trans. Philips Mairet. Grand Rapids, Michigan: Baker Books, 1997. 김재성옮김. 뺷칼 빈, 그의 신학사상의 근원과 발전뺸. 서울: CH북스, 1999.
한글 초록
돌봄의 시대에 칼뱅을 다시 생각하다 ― ‘적응’(Accommodation)의 언어를 중심으로 21세기한국사회는초저출산, 초고령화, 경제적불안정, 핵가족화, 외로 움 그리고 다문화 확산 등의 복합적인 문제로 인해 새로운 형태의 맞춤 형 돌봄이 필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돌봄 사회’는 공동체의 상 호 의존, 연대, 포용성을 강조하며, 취약 계층에 대한 개별적이고 구체적 인 돌봄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본 논문은 16세기 종교개혁가 장 칼뱅 의 ‘적응’ 신학을 통해 교회와 사회의 급변하는 상황에 어떻게 대응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 칼뱅의 신학적 담론에서 ‘적 응’이 목회적 및 사회적 돌봄의 공동선을 위한 관계적이고 공감적인 언 어로 어떻게 기능했는지를 분석한다.
칼뱅의 ‘적응’ 사상은 신학적 진리 를 청중의 이해 수준에 맞추어 전달하며, 신자들의 영적 성장과 사회적 책임을 촉진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칼뱅의 저작물과 관련 2차 문헌을 인문주의적 관점, 신적 조정, 제네바의 목회 및 자선 활동을 중심 으로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그의 생애와 주요 활동을 탐색한다.
이과정 에서 ‘적응’ 개념을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필요에 따라 공시적 분석 을 병행하여 정의와 적용방식을 명확히설명한다.
둘째, 현대 돌봄 시대 에서 칼뱅의 ‘적응’ 개념이 교회적 및 사회적 함의와 관련하여 어떻게 적 용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결론적으로 16세기 칼뱅의 ‘적응’ 신학은 당대의 역사적 이론과 실천을 넘어 오늘날 돌봄 사회에서도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신학적 통찰 을 제공한다.
이는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관계적 민감성과 공감성 을 회복하고, 현대 사회의 다양한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중 요한 신학적 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주제어 ‖ 칼뱅, 적응(조정, 조절), 목회적 돌봄, 신학적 적응, 돌봄 사회
Abstract
Revisiting Calvin’s Theology of Accommodation: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Care Practice
Song, Yongwon. (Ph.D. Assistant Professor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Seoul, Korea)
In the 21st century, South Korea faces complex challenges, including ultra-low birth rates, a rapidly aging population, economic instability, nuclear family structures, pervasive loneliness, and expanding multiculturalism. These issues necessitate innovative approaches to personalized care. This study explores how 16thcentury Reformer John Calvin’s theology of ‘Accommodation’ can address the dynamic conditions confronting modern church and society. The research aims to achieve two primary objectives. First, it critically examines Calvin’s ‘Accommodation’ as a relational and empathetic paradigm for advancing pastoral and social care. Calvin’s theology emphasizes communicating theological truths at the audience’s comprehension level, fostering spiritual growth and social responsibility. This involves a comprehensive review of Calvin’s writings and relevant secondary literature, focusing on humanistic perspectives, divine accommodation, and his pastoral and philanthropic initiatives in Geneva. The methodology includes diachronic analysis of the ‘Accommodation’ concept'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upplemented by synchronic analysis for definitional and contextual clarity. Second, the study investigates the contemporary relevance of Calvin’s ‘Accommodation’ in modern caregiving practices, particularly its ecclesiological and social implications. It assesses how Calvin’s theological insights can inform and enhance the church’s role in addressing the diverse needs of a ‘care society,’ emphasizing communal interdependence, solidarity, and inclusivity. The study uniquel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bridging historical theological concepts with contemporary social issues, offering a novel framework for integrating theological insights into practical caregiving solu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Calvin’s 16th-century theology of ‘Accommodation’ offers enduring theological insights that transcend its historical context, providing a robust framework for contemporary care practices. This theological approach has the potential to enhance relational sensitivity and empathy within the Korean church, enabling it to effectively address the multifaceted challenges of modern societ
Keywords ‖Calvin, accommodation, pastoral care, theological adaptation, care society ∙
투고접수일: 2024년 8월 9 일 ∙ 심사(수정)일: 2024년 8월 21일 ∙ 게재확정일: 2024년 8월 26일
한국조직신학논총 제76집(2024년 9월)
'신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약의 관점에서 본 제의적 예배와 토라 실천의 상관관계 연구/강규성.한국성서大 (0) | 2024.11.25 |
---|---|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판넨베르크의 관점에서- /최승태.감리교신학대 (0) | 2024.11.23 |
저스틴 마터(Justin Matyr)의 ‘그리스도 이전의 그리스도인’에 대한 개혁주의적 재평가: 초대교회 용례와 저스틴의 글을 중심으로/김용준.칼빈대 (0) | 2024.11.17 |
판넨베르그의 선취개념과 존재론적 사유형식으로서의 신앙에 대한 이해/안유경.뮌헨大 (0) | 2024.11.17 |
솔로몬의 꿈에 나타난 왕정 이념과 제왕 신탁의 요소들/윤동녕.서울장신대 (0) | 2024.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