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정치

(384)
여순사건 관련 논문/cafe.daum.net/jangdalsoo 1.여순사건과 국가폭력의 구조/노영기.조선대 2.여순사건 참가계층의 제유형/손태희.순천대/손태희.순천대 3.여순사건과 시국수습대책위원회를 통해 본 정부와 국회의 갈등ㆍ대립/임송자.순천대 4.여순사건 이후 군의 정훈 활동과 그 의미/노영기.조선대 5.여순사건 이후 한국군의 변화와 ‘정치화/노영기.조선대 6.여순사건 이후 선무공작을 중심으로 본지리산지구의 빨치산 진압/임송자.순천대 7.여순사건과 육군의 변화/노영기.조선대 8.여순항쟁의 왜곡과 반공문화- ‘반란실정 문인조사반’을 중심으로 -/주철희.여순연구소 9.여순사건 진압을 위한 대항 게릴라 작전과 민간인 희생화 전략/김무용.고려대 10.여순사건과 순천지역 좌·우익 세력의 동향/임송자.순천대 11.‘빨갱이’와 이데올로기적 환상*- 여순사건 ‘반란실정조사반..
제주4.3사건 관련 논문/cafe.daum.net/jangdalsoo 1.제주4 3사건 위원회의 활동과 평가/김순태.방통대 2.미군 고문관들의 제주4․3 경험과 인식- 1948년 제주도에 파견된 미국 고문관들을 중심으로 /허호준.제주대
거창사건 관련 논문/cafe.daum.net/jangdalsoo 1.정의의 회복과 과거 극복의 완전성의 문제:*거창사건을 중심으로/박명림.연세대 2.국가폭력, 하나의 사건과 두 가지 재현*—거창사건의 기억과 문화적 재현과정— /김기곤.전남대 3.國家權力에 의한 特殊類型 不法行爲에 있어서 損害賠償請求權의 消滅時效 ‐ 거창사건 항소심판결(부산고법 2004. 5. 7. 선고 2001나15255)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재완.고대 4.거창⋅산청⋅함양 사건 유족운동의 전개과정-유족의 상(喪)의 과정과 감정동학/김명희.경상대
10.1事件關聯 論文/cafe.daum.net/jangdalsoo 1.‘10월 인민항쟁(1946.10)’을 통해 본‘시간의 정치학’*- 조선문학가동맹을 중심으로/손미란.영남대 2.‘10월항쟁’의 역사화 투쟁과 문학적 표상-조선문학가동맹의 1947년 위기 극복의 방법론-/조은정.백석대 3.미군정기와 대구10월인민항쟁에서의 기독교-종교지도자들의 사회정치적 활동과 역할에 대한 일고찰 /정태식.이철우,경북대 4.1945∼1946년 대구지역 좌파세력의 국가건설운동과 ‘10월인민항쟁/허종 5.1946년 10월 대구·영남 사건의 명명 작업과 그것의 정치성: 사건·사태, 소요·소동, 민요·민란을 중심으로-/임종명.전남대 6.1946년 10월 항쟁과 대구지역의 진보적 사회운동/김상숙.단국대 7.1946년 10월 항쟁과 해방기의 소설/조윤정.KAIST 8.월경(越境)의 위상학*― 월북 ..
사상통제정책의 역사성:반공과 전향/전상숙.연세대
‘전쟁의 기억’과 ‘기억의 전쟁’- 특별한 피난체험을 중심으로/김경섭.건국대
『신학정치론』에서 홉스 사회계약론의 수용과 변용:*스피노자 정치학에서 사회계약론의 해체 /진태원.서울대
합리적인 개인, 비합리적인 사회? /이정전.서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