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4837)
존재와 감정 -하이데거와 중관사상을 통해 본 존재와 감정의 상호연관에 관한 철학적 탐구-/오흥명.동국대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전후기 철학 속에 나타난 감정이론을 분석함으로써 존재와 감정의 상호연관을 형이상학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논문은 감정이 어떻게 인간 존재의 완성에 개입하고 가장 근원적인 존재의 진리와 본래적 존재양식의 실현에 구성적 계기로 기능하는지 비교, 분석함으로써, 감정의 존재론적 함축과 위상을 조명하는 데 주력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의 연장선상에서, 이 글은 하이데거 철학에서 확인되는 존재와 감정의 상호연관을 불교의 공(空) 사상 및 자비의 감정과 대조함으로써, 하이데거와 불교, 양 진영 모두의 존재론적 감정이론에 관한 이해의 확장과 심화를 도모한다. 이러한 시도는 무엇보다 존재물음의 ‘존재론적’ 수행을 고수했던 하이데거의 접근이 상대적으로 소홀..
자국 중심의 경제안보 전략 대응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방안 연구(25-2-17) 조성훈外.KIEP ▶ 최근 글로벌 산업정책 경쟁 격화로 한국형 산업정책의 방향성 설정에 대한 요구가 증대  - 산업정책은 각국의 전략산업 경쟁력 확보, 공급망 강화, 기후 변화 대응 등 복합적인 경제안보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부상 - 산업정책의 글로벌 동학에 대한 이해와 경제적 영향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해 한국형 산업정책의 방향성을 제고 ▶ 주요국(미국, 중국, EU) 모두 고립주의적 산업정책으로 수렴하는 양상으로 무역, 투자, 연구협력에서 지역간 분절화가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한편, 한국의 정책 경쟁 참여에 대한 경제적 유인도 감소  - 주요국은 산업정책의 고립주의적 기조로 인해 경제안보 확보와 경제적 이익 극대화를 동시에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무역 감소와 상호투자..
겨울여자(1977) https://youtu.be/R9ccnvBnjmo
일제 문화정치 초기 宗敎界諸名士講演集(1922)에 게재된 민족대표 7인의 메시지 분석/안수강.백석大 I. 들어가는 말 본 연구에서는 일제 문화정치 초기 󰡔宗敎界諸名士講演集󰡕(1922)1에 수 록된 길선주(吉善宙, 1869~1935), 김창준(金昌俊, 1889~1959), 박동완(朴東 完, 1885~1941), 박희도(朴熙道, 1889~1951), 신석구(申錫九, 1875~1950), 이 필주(李弼柱, 1869~1942), 정춘수(鄭春洙, 1874~1951) 등2 민족대표 7인의 메시지를 분석하여 당대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당부한 신앙적 지침을 분석할 것이며 현재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1 한석원 편, 󰡔宗敎界諸名士講演集󰡕 (京城: 活文社書店, 1922), 1-242.      2 본 논문에서 살펴볼 일곱 분의 민족대표자 중 박희도와 정춘수는 1930년대 만주사변, 만주국 설립, 중..
김찬국의 구약 역사신학 - 구약 역사서를 중심으로/박 신 배.*케이씨(KC)大 I. 들어가는 말 한국 민주화의 화신(化身)인 김찬국 선생이 서거(逝去)하신지 10주년 을 맞고 있다.이제 그의 신학이 재평가되고 있는 시점에 있다. 한국 민중 신학의 거목인 스승을 기리는 글들이 이어지고 있어서 뜻 깊은 일이라 본 다.그가 진리의 삶을 살고 갈릴리 민중을 위한 삶을 살았던 것은 이 시대 사표(師表)가 된다.이에 후학들이 이를 기리는 글을 쓸 수 있게 하며 그 예수 정신으로 돌아가서 강단이든 삶의 현장에서 갈릴리 민중의 삶을 산 선배들을 따라 믿음의 행진을 할 수 있게 하였다. 그래서 후학들이 그 전 통을 잇고 또 그것이 예수를 다시 살아내는 삶의 모델이 되는 것이다.1      1) 안병무(Ahn Byung-Mu), Jesus of Galilee (Hong Kong: CCA, 2004)..
퇴직급여제도 일원화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정책 방향/남재우.자본시장연구원 퇴직금을 퇴직연금으로 전환하는 강제적 제도 일원화가 논의되고 있다.최근 급증한 중소기업 임금체불의 40% 이상은 퇴직금 체불이다. 대다수 중소기업은 퇴직금제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퇴직 금 충당금은 대부분 사외에 적립되지 않고 기업의 운전자금으로 소진되기 때문이다.2005년 퇴직 연금제도의 도입 목적은 기업의 도산으로부터 근로자의 수급권을 보호하기 위함이었으나, 제도 도 입 20년이 지난 현시점까지 영세기업 대부분은 여전히 연금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제도 도입 단계부터 강제적 전환이 추진되지 않은 이유는 퇴직급여의 사외적립 의무로 인한 영세기업의 추가 적 재무부담이다.퇴직연금으로의 강제적 제도 일원화를 추진하는 현시점에서 단순히 유예 기간의 연장이 아니라 재무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재정 지원..
자동차보험과 건강보험 진료수가 차이와 사회적 비용 : 자기신체사고 사례(25-2-14)/전용식外.보험연구원 자동차보험이나 건강보험 진료비는 각 보험의 진료수가 체계에서 결정되는데 자동차보험 진료수가와 입원료는 건강보험보다 높다. 그리고 국민건강보험은 건강보험료를 납입하더 라도 건강보험 진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보험 종류에 따른 진료수가의 차이는 급격한 비급여 진료비 증가와 같은 의료서비스 시장의 비효율, 자동차보험 과잉진 료와 같은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고 있다.본 보고서는 진료수가 차이에서 발생하는 사회 적 비용을 분석하고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진료수가 체계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자동차보험 진료수가는 입원료 체감률과 종별 의료기관 가산율 등에서 건강보험에 비해 높은데, 이로 인해 상해급수 12~14급 경상환자의 대인배상 진료비는 건강보험 진료비에 비해 23~27%, 자기신체사고 진료비는..
아동에 대한 사회적 배제의 실태와 대응과제: 아동 혐오와 차별 현상 진단을 중심으로(25-2-14)/유혜미外.육아정책연구소 1. 서론 가. 연구목적 및 필요성□ 공공의 장소는 누구나 편하게 이용하고 소통할 수 있어야 하지만, 노키즈존 등 과 같이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이용이 제한되거나 편의성을 보장받지 못하 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우려됨.□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의 다차원적 영역 중에서 그간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아동의 사회적 관계와 지역사회 참여에 주목하고, 심각성이 우려되는 공공 의 장소 및 공간을 중심으로 실태와 원인을 규명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함. 나. 연구내용□ 아동에 대한 사회적 배제 현상을 차별 및 혐오표현을 중심으로 진단하고, 원인 을 규명하기 위해 관련 이론적 논의들을 검토함.□ 사회적 대응으로 제도적 기반을 모색하기 위해 아동에 대한 사회적 배제 및 차 별 해소에 관한 입법 동향의 가능성 및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