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자의 자살과 살해를 해체하는 삶의 향연― 열왕기상 17장 1-16절과 시편 14편을 중심으로/이일례.서울신학大
I. 들어가는 말 사회학적 관점에서 자살을 사회적 질병이라 이해한다. 1자살은 한 개인이 극도의 절망감으로 인하여 더 이상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할 때 선택하는 극단적 인 행위이다.에밀 뒤르케임(Emile Durkheim)은 그의 연구서 자살론에서 자살의 원인을 개인적 요소보다는 집합적인 사회적 요소, 사회의 역할을 더 강조한다. 2통합과 규범이라고 하는 두 가지 변수로 자살을 설명하는 그의 자살 이론은 사회학의 고전으로 자리 잡았다. 3 1 조성돈, 정재영, 그들의 자살 그리고 우리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8), 79. 2 토마스 브로니쉬, 자살, 이재원 옮김 (서울: 이끌리오, 2002), 46. 3 조성돈, 정재영, 그들의 자살 그리고 우리,..
끊임없는 기도 ― 데살로니가전서 5장 17절에 대한 교부들의 해석/배정훈 고신大
I. 서론 기도는 초대 기독교의 형성과 발전의 중심이었다. 교부들의 정신과 사상 을 탐구한 로버트 루이스 윌켄(Robert L. Wilken)은 초기 기독교사상의 ‘에너 지, 활력, 상상력’은 기독교 내부, 곧 성경, 예배, 교회 생활에서 나왔다고 주장 한다.그는 19세기 독일의 교리사가 아돌프 폰 하르낙(Adolf Von Harnack)의 테제, ‘기독교의 그리스화’를 반박하면서 오히려 교회가 그리스-로마 사상을 변혁하여 ‘헬레니즘의 기독교화’를 이루었다고 말한다.이러한 변혁의 원천 은 다름 아닌 예배와 시편 암송, 기도와 성경, 정기적인 성찬 참여 등에 있었다 고 주장한다.1지금까지 초대교회와 기도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대표적으로 뤼시앵 레뇨(Lucient Regnault), 버나드 맥긴(B..
사도행전의 상징적 지도와 ‘땅’의 생태평화적 함의/조재천.전주大
초록사도행전에서 ‘땅’은 물리적, 정치적, 수사적, 신학적 의미를 표현한다.그 중에서도 신학적인 의미로서 ‘땅’은, 한편으로는 ‘하늘’에 맞서 그 뜻을 거스르는 영역이고, 그래 서 역설적으로 하늘로부터의 구원을 필요로 하는 곳이다.‘땅’에서 구원 계시가 수용되 고 구원 역사가 펼쳐지며, ‘온 땅’에 사는 ‘모든 족속’이 구원의 복을 누리도록, 사도들은 ‘땅끝’으로 보내졌다.특히, 1:8은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적 확장의 방식으로 사도행전 전체의 구도를 제시했다고 여겨져 왔다.하지만, 정작 사도행전 서사가 진행 되면서 예루살렘은 고정된 중심으로 그 지위를 견지하지 못하며, 오히려 중심은 사도들 의 증언 활동을 따라 서진(西進)하는 것처럼 보인다.한때 ‘땅끝’이라고 여겨졌던 곳들 이 중심으로 변환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