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4821)
이선영의 비평론 연구 –포스트 리얼리즘의 선구-/오문석.조선大 Ⅰ. 리얼리즘을 넘어서Ⅱ. 이데올로기 ㆍ 형식 ㆍ 심리Ⅲ. 리얼리즘의 유연성을 위하여Ⅳ. 효용론의 위상Ⅴ. 포스트리얼리즘의 선구   Ⅰ. 리얼리즘을 넘어서 리얼리즘을 넘어서(1995)는 이선영(1930-2021) 교수의 연세대 재직 시절 마지막 저서로 알려져 있다.정년을 앞둔 노학자, 그것도 평생을 리얼리즘 문학 연구와 비평에 투신해온 연구자의 마지막 저서의 제목치 고는 다소 문제적이다. 그는 어째서 리얼리즘을 넘어서고자 했던 것인 가.그리고 리얼리즘을 넘어선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그의 비평론은 아마도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밝혀질지도 모르겠다.우선 그와 같은 제목을 선택하게 된 배경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뒤돌아보건대 과거 나 자신..
김사량의 태백산맥이 보이는 친일문학적 성격/박상준.포스텍 Ⅰ. 친일문학 연구의 동향과 태백산맥 읽기의 방법Ⅱ. 구성상의 문제와 소설사적 퇴행Ⅲ. 조선(인) 절망론과 조선 미개 사회론Ⅳ. 태백산맥의 평가 문제  Ⅰ. 친일문학 연구의 동향과 태백산맥 읽기의 방법 본 연구는 김사량의 장편소설 태백산맥1)에 대한 실증적이고 객관 적인 텍스트 분석을 기초로 하여 주제효과2)를 해석하고, 당대에 어떤 의미를 띠었을지 추론함으로써 이 소설이 보이는 친일문학적인 성격을 명확히 하는 데 목적을 둔다.     1) 태백산맥은 국민문학에 1943년 2월부터 4월까지 그리고 6월부터 10월까지 총 8회 연재되었다. 여기에서는 김재용·곽형덕 편, 김사량, 작품과 연구 4(역락, 2014)에 실린 서은혜의 번역본을 사용했다. 필요 시에는 국민문학 연재본을 참조 하였다.    2) ‘주..
공동체의 기억을 보존하는 방법 -이문구의 관촌수필- /차승기.조선大 Ⅰ. 머리말 Ⅱ. 관계적 세계와 돌봄의 감각 Ⅲ. 정치적 공간 -아버지의 두 얼굴 Ⅳ. ‘도련님’의 기억과 말들 Ⅴ. 미래를 위한 윤리 -맺음말을 대신하여  Ⅰ. 머리말 이문구 자신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중학교를 졸업한 후 열여덟 살 무 렵에 고향인 관촌(冠村)을 떠났다.그리고 1970년대 초, 13년만에 고향을 찾아 스스로 “실향민이 돼버리고 말았다”1)는 것을 절감하면서 관촌수 필의 첫 단편 을 쓴다.     1) 이문구, , 관촌수필, 문학과지성사, 2024, 13쪽. 이하 관촌수필에서 인용할 경우 본문에 쪽수만 표기.  그가 떠나 있던 13년 동안 정부 주도 로 ‘공업화’와 ‘농촌근대화’가 진행되었고, ‘관촌’ 부락 역시 그 흐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그러나 그가 ‘실향민’이 된 것이 ‘근대..
겨울 공화국의 소설 읽기 -이선영의 1960~70년대 당대비평을 중심으로-/서은주.용인大 Ⅰ. 연구와 비평의 경계에서Ⅱ. 소외와 참여 -실존주의, 허무주의, 소외Ⅲ. 상황의 문학 -역사의식, ‘저변층’, 현실 참여Ⅳ. 작가와 현실 -개인과 사회, 리얼리즘Ⅴ. ‘1970년대 리얼리즘론자’라는 정체성 Ⅰ. 연구와 비평의 경계에서 회강(晦岡) 이선영(李善榮)의 문단 입성은 당시의 분위기로 볼 때 매 우 늦은 감이 있다.1)       1) 이선영(1930~2021)은 진주사범학교(1951),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1955)를 졸업하 고 경기여고·숙명여고의 교사생활을 거쳐 1965년에 같은 대학에서 석사학위(「한국 문학의 근대화와 러시아문학」)를 받고 1966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양학부에서 강의를 시작하였다. 이후 교양학부 전임강사(1970)·조교수(1974)를 거쳐 1977년에 국어국 문학과로 자..
미국의 가자지구 선언의 배경과 함의(25-2-5)/인남식.외교안보연구소 2월 4일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은 네타냐후(Benjamin Netanyahu) 이스라엘 총리 와의 정상회담 공동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가자지구(Gaza Strip)를 ‘맡아(take over)’ 재건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그리고 가자지구 주민의 대부분을 외부로 이주시키겠다는 계획을 담았다.일시적 이주가 아니라 영구적 이주를 의미했다.2023년 10월 하마스(Hamas)의 기습 공격으로 시작된 가자 전쟁이 휴전 1단계에 들어간 상황에서 나온 의외의 발표였다.취임 2주후 이루어진 첫 정상회담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트럼프의 가자 구상이 나오자 미국 내 여론은 물론 국제사회에 미치는 충격파도 작 지 않다.그 내용과 배경, 그리고 함의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어떤 내용이 담겨있..
트럼프 관세 비판론자들의 과장되고 근거 없는 두려움에 대한 의존성(25-2-4)/EJ 안토니.Heritage연구재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대해 당황하고 있던 시장 분석가와 소위 경제학자들은 그가 멕시코에 부과하려던 관세를 일시 중단하기로 동의한 것에 적어도 다소 안도했을 것이다.하지만 그들은 처음부터 걱정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그들의 두려움은 엉뚱한 곳에 있기 때문이다.트럼프는 상황의 가혹한 현실을 알고 있으며 다른 나라들은 수십 년 동안 미국을 착취해 왔고, 미국이 반격할 때가 훨씬 지났다.사실, 트럼프의 행동은 미국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첫째, 관세가 항상 어디서나 소비자에게 전가된다는 생각은 경제 이론과 역사 기록 모두에서 오류이다.환율 변화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외국 생산자는 일반적으로 관세의 일부(또는 대부분)를 지불하게 된다.우리는 미국의 황금기 동안 정부가 본질적으로 관세로만 자금을 ..
중요 광물과 미국 경제의 미래(25-2-10)/Gracelin Baskaran外.CSIS연구소 전략적 산업의 첨단 기술을 위한 광물 공급망을 보호하는 것은 경제적, 국가적 안보적 필수 사항이다.그러나 정부와 기업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급망에는 여전히 상당한 취약성이 존재한다. 정책 입안자들은 이제 첨단 배터리 화학을 위한 리튬과 흑연부터 차세대 전투 기술을 위한 텅스텐과 희토류 원소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의 공급을 강화해야 하는 엄청난 과제에 직면해 있다.미국은 국내 자원 개발, 첨단 처리 및 재활용 기술, 국제적 파트너십, 지속 가능한 관행에 초점을 맞춘 포괄적인 전략으로 임무 명확성과 실행을 모두 강화해야 할 것이다.이 편집된 보고서는 그레이슬린 바스카란 박사와 던컨 우드 박사가 이끄는 15명의 전문가의 분석과 정책 권고안을 모아 이 분야에서 미국의 경쟁력..
확장되는 BRICS 및 공급망(25-2-10)/스즈키 사오리.Mizuho Research & Technologies 지금까지 신흥국 9개국으로 구성되어 있던 BRICS에, 2024년 10월부터 가맹 신청하고 있던 인도네시아의 정식 가맹이 결정. ASEAN에서는 2024년 여름에 말레이시아, 태국이 가입 신청 완료ASEAN과 BRICS의 접근은 ASEAN 주요국과 BRICS 사이의 무역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 배경으로.일본과 BRICS의 무역을 보면 자원국인 BRICS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고 수출입의 성장도 크다.전략적으로 중요한 재화의 수입 집중도와 의존도를 보면 일본의 중국 의존도는 높고 ASEAN과 인도, 호주도 같은 과제를 안고 있다.같은 과제를 가진 각국과의 제휴 강화와 국제 협조의 틀이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