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이야기

(617)
그리스도의 신성을 견지하면서도 보편성을 포용: 기독교의 본질에 대한 헤르만 바빙크의 변호/박철동.아신大 18세기 이후 등장한 회의주의 정신은 기독교의 본질에 대한 일련의 심각하고 다양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전통 기독교에 대한 이러한 도전은 기독교의 본질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하르낙의 기독교의 본질에 대한 강연으로 절정에 이르렀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경향에 대한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 1854-1921)의 반응을, 그리스도의 중심성과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확증을 통해 기독교의 본질을 변호하면서도, 신학적 함의를 포함하여 다른 관점의 신학 및 타종교와의 관계에서 기독교의 보편성을 적용한 것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다. 이 논문의 결과는 그리스도의 신성과 관련된 교리에 대한 다양한 현대의 도전에 직면하여 기독교의 본질로서 그리스도의 신성을 변호하는 데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첫..
예수의 종말론과 헬레니즘의 역사관/송창현.대구가톨릭대,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수의 종말론과 헬레니즘의 역사관에 관한 고찰이다. 이 고찰을 통해 우리는 성경의 시간관은 직선적 구조를 가지고, 헬레니즘의 시간관은 순환적 구조를 가진다는 기존의 명제에 질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우리의 연구는 역사적 예수 연구의 역사와 쟁점들을 살펴보는 것에서 출발한다. 왜냐하면 역사적 고찰은 우리 연구의 주제가 가지는 배경을 이해하고 엄밀한 방법론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본 연구는 헬레니즘, 즉 그리스-로마 세계의 여러 저술가들의 작품들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헤시오도스, 폴리비우스, 수라, 오비디우스, 베르길리우스의 문헌들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헬레니즘의 시간관은 순환적 구조를 가질 뿐 아니라 직선적 구조도 가진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특히 베르길리우스는 황금시대..
기독교 자연신학을 위한 과학적 방법론 -알리스터 맥그래스를 중심으로- /임영동.백석문화대 [한글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접어든 현 시대에 긴박하게 다루어야 할 특별 계시와 일반 계시(자연계시)의 조화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별 계 시를 통한 일반 계시를 드러내는 종전의 방식과 달리 일반 계시를 통해 특 별 계시를 더 풍성하게 하고 확고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지금도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분자생물학자 이자 신학자인 알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E. McGrath)의 󰡔과학 신학』2)을 중심으로 전개한다. 2) Alister E. McGrath, The Science of God (Grand Rapids: Willa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4). 이 책은 맥그래스의 작품 중, ‘자연,’ ‘실재,’ ‘이론’ 이라는 삼부작을 통합..
과정신학 삼위일체론에 의한 ‘신학적 생태론’: 조셉 브락켄을 중심으로/홍태희.서강대 .들어가기 . 1.생태신학과 신학적 생태론 1.1 생태론과 신학의 관계 1.2 신학적 생태론의 의의 2. 조셉 브락켄의 삼위일체론 2.1 과정형이상학적 존재 이해 2.2 하느님 삼위일체의 존재 양식 3. 조셉 브락켄 삼위일체론의 생태론적 의미 3.1 범재신론: 하느님과 세계의 생태적 관계 3.2 삼위일체적 상호연결 구조 3.3 피조물의 내재적 가치와 고유성 나가기 들어가기 2019년 말부터 시작된 코로나 바이러스의 공포는 기어이 세계의 인간 활동을 급격히 위축시키며 팬데믹 상황을 만들고야 말았다. 산업화 이후 대두되기 시작한 환경 위기와 근대주의가 불러일으킨 효율적 사회에 대한 맹목적 추구는 물질과 정신 모두에서 피조물 전체가 함께 공존하는 세계의 지속가능성에 의문을 품게 만들었다. 이것은 곧 현대의 환..
한국개혁신학77/78권/한국개혁신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26집/한국기독교학회 1.입다 내러티브의 두 전쟁 보고문 삿 ( 11:19-22; 11:12-40)에 대한 문학 분석 ― 하나님은 왜 입다의 전쟁에 개입하셨는가? /김경식.감리교신학대 2.‘ ’ 메시아 비밀의 출처에 관한 상호텍스트성 연구 ― 스가랴 과 마가복음을 중심으로 13:1-6 /조명화.연세대 3.성서학 분야 저술과 출판을 위해 유니코드를 써야 할 이유/조재천.전주대 4.전통적 개념어 나라[國] 의 의미와 성경 어휘 천국으로의 적용/서신혜(한양대)外 5. 을 통해 본 본회퍼의 공동체적 인간 이해/김현주.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 6.변화하는 한국 가족을 위한 기독교적 가족 규범의 모색 ― 스탠리 그렌츠의 공동체 신학을 중심으로/박나래.장로회신학대 7.찰스 웨슬리의 찬송시와 영성/김정민.감리교신학대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27집/한국기독교학회 1.김마리아의 생애를 통해 본 리더십과 사상에 대한 소고/최상도.호남신대 2.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대면으로 모이는 교회의 신학적 중요성/한국침례신학대.조동선 3.새라 코클리의 관상적 자연신학 연구/최유진.호남신학대 4.신학 전공자를 위한 기독교 사회복지 교육 방향성 탐색 연구/정상원外.서울사이버대 5.기독교교양 강의실에서 기후변화 가르치기 ― 기후변화 담론과 신학적 대응의 지형/김학철.연세대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28집/한국기독교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