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이야기 (609)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족 종교 배경에서 본 제사장 나라 ― 언약법전의 성상 숭배 금지와 제단법(출 20:22-26)을 중심으로 /배선복.서울신학大 I. 들어가는 말 현대성서학이등장하면서, 우리는본문형성역사와실제이스라엘의 종교사에 대해 더 잘 알게 되었지만, 성경 텍스트의 특수한 의도(소위 Tendenz)가텍스트뒤에있는실제이스라엘종교사를재구성하는일을어렵 게만든다는지적도제기되어왔다. 특히성경본문을포함하여, 고대근동 텍스트들은지배층이나지식인층의관심과관점을다루기때문에, 실제일 반대중들의삶과종교를소홀히한다는비판도있다. 오경연구에서도주로 서기관들을전면에내세운엘리트집단사이에어떤사상적, 정치적논쟁이 있었는지가주를이룬다. 성경의법들과본연구의주제인제단법도이러한 관점에서연구되는경우가대부분이다. 하지만, 한편에서는고고학을통해 발견한수많은고대근동문헌들과의비교나물적증거들에따라, 텍스트 너머의실제대중들의삶과종교를연구하려는시도들이있다. 이러한시도 중하나가‘가족종교’라는개념이.. 개신교회의 사회적 의미 고찰: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적 행위 이론을 중심으로 /박광우.연세大 Ⅰ. 서론 한국 사회에서 개신교회는 필요한 공동체이며 나름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긍정 적인 대답을 말하기 힘든 시기이다. 한국 사회에서 개신교회의 사회적 의미와 그 역할은 강하게 부정적 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정부가 공공의 안전을 위해 모임 및 집회 자제를 촉구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개신교회는 이러한 정부 조치에 반발하면서 계속해서 대면 예배를 이어 나가려고 했다. 시민들은 이러한 개신교회의 행태를 매우 부정 적으로 보았고, 이러한 여론은 엔데믹 시대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개신교회는 이제 시민사회가 볼 때 그저 이익집단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그래서 종국에는 지양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한국 .. 기후 재앙과 생명 신학 -기후 위기 시대의 생명 신학의 역할-/김영선.협성대 A. 들어가는 말 오늘날 세계는 기후변화로 재앙을 겪고 있다.1 지구촌에서 경험하고 있는 기후변화는 자 연 재난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예상하지 못한 각가지 사회적 불안, 경제적 손실, 정치 지형의 변화 등과 연결되어 인간의 생명과 삶을 위협하고 있다. 기후변화의 일차적 결과는 폭염, 폭 우, 한파, 폭설, 가뭄, 강한 태풍, 해수면 상승, 식수 부족과 식량 문제 그리고 온갖 전염병과 질병의 확산 등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슈퍼 바이러스가 출현하여 코로나처럼 전 세계에 동시다 발적으로 바이러스가 창궐하기도 하였다.2 1.2023년 3월 19일 지구온난화에 의한 폭염으로 호주의 달링강에서 수백만 마리의 물고기가 집단 폐사하 여 주민들이 악취와 식수 오염 등으로 기후 재앙을 실감하였다. 기후 위기와 관련된.. 그리스도론 구성을 위한 탈식민주의적, 상호본문적 접근 /박종천.감리교신학大 서론: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오늘 한반도의 그리스도교회에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신가? 물론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계 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다.” 이러한 성경적 신앙고백을 되풀이하는 것만으로는 신학적으로, 그리스도론적 으로 불충분하다. 주,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단어 자체가 한국교회와 한국신학의 자리에서 새 롭게 되새겨지고 자리매김되어야하기 때문이다. 이미 이러한 신약성경의 그리스도론적 호칭 자체가 반 제국적, 탈식민주의적 표현이기에, “하나님의 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이라”는 마가복 음의 첫 문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마가복음 1:1은 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영지주의 문서들처럼 비밀스럽게 전승되는 영적 엘리트 주의가 아니라, 공적인 증언과 공동체적 낭독을.. 슬리보예 지젝의 믿음과 신앙의 변증법에 대한 연구 /김경빈.아세아연합신대 한국인들은 유대인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두고 있다. 철저한 비주류로 극소수인 그들이 이룩해낸 엄청난 성공과 각 분야에서 목격되는 막대한 영향력을 부러워하면서 그 비결이 무엇인지 알고자 한다. 이런 현상은 특별히 교육 분야에 있어서 두드러져서, 시중 서점에 가보면 유대인들의 교육법에 대한 서적들이 다수 출간되어 있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 책들을 살펴보면 유대인 교육의 특징을 그들의 종교와 경전, 즉 유대교와 그들의 경전인 토라와 연관해서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 땅의 교육열이 남다른 부모들을 자신의 종교와 상관없이 유대교의 종교 교육에서 목격되는 강점을 배워서 이를 일반적인 학습에도 적용하려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오랜 기간 혹독한 탄압과 지독한 차별 속에서도 유대인들이 살아남아 결.. 다윈주의와 무신론: 진화론에서 무신론으로의 변천사에 대한 고찰/윤지훈.Johannes Gutenberg Mainz大 19세기 자연 연구자 찰스 다윈(Charles Darwin 1809-1882)은 의도치 않게 창조에 대한 종교적 믿음과 자연 과학적 진화론(Theory of Evolution) 사이의 갈등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소심하고 내성적이었던 그는 원래 어떤 사회적 도발도 원하지 않았다.2 토머스 헉슬리 (Thomas Henry Huxley 1825-1895)와 에른스트 헤켈(Ernst Haeckel 1834-1919)과 같은 다른 이들이 다윈의 이론에 내포된 도발을 두고 창조에 대한 전통적인 교회의 믿음, 즉 창조주 의(Creationism)에 반대하여 논쟁을 벌였다.3 비록 다윈은 “신에 대한 관념을 역사적 선택의 결과로 이해하려 하거나 이것을 언젠가 인류의 유산에 근거하여 보려고 하는 시도를 자제했지 만,”.. 기후 재앙과 생명 신학 -기후 위기 시대의 생명 신학의 역할-/김영선.협성대 A. 들어가는 말 오늘날 세계는 기후변화로 재앙을 겪고 있다.1 지구촌에서 경험하고 있는 기후변화는 자 연 재난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예상하지 못한 각가지 사회적 불안, 경제적 손실, 정치 지형의 변화 등과 연결되어 인간의 생명과 삶을 위협하고 있다. 기후변화의 일차적 결과는 폭염, 폭 우, 한파, 폭설, 가뭄, 강한 태풍, 해수면 상승, 식수 부족과 식량 문제 그리고 온갖 전염병과 질병의 확산 등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슈퍼 바이러스가 출현하여 코로나처럼 전 세계에 동시다 발적으로 바이러스가 창궐하기도 하였다.2 1.2023년 3월 19일 지구온난화에 의한 폭염으로 호주의 달링강에서 수백만 마리의 물고기가 집단 폐사하 여 주민들이 악취와 식수 오염 등으로 기후 재앙을 실감하였다. 기후 위기와 관련된..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카르페 디엠(Carpe Diem)! - 전도서 이해의 열쇠로서의 죽음에 대한 고찰 -/구자용.총신대 1. 들어가는 말 전도서 1장 1절 “예루살렘 왕 다윗의 아들 코헬렛의 말씀이다”를 이 책의 제목으로 본다면, 독자들이 듣게 되는 전도자의 첫 외침은 2절 lb,h' lKoh; ~ylib'h] lbeh]…~ylib'h] lbeh] (하벨 하발림 ... 하벨 하발림 하콜 하벨/헛되고 헛되며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대로 12장 9-14절을 전도서의 후기 로 본다면,1) 전도자의 마지막 말 역시 lb,h' lKoh;…~ylib'h] lbeh](하벨 하바림 ... 하콜 하발림/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임을 알게 된다. 전도서의 처음과 마지 막에 만들어진 이 수미쌍관구조가 의도하는 바는 곧 전도서의 모토(motto)인2) ‘모 든 것의 헛됨’이다. 1) 이..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