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이야기 (661) 썸네일형 리스트형 바울의 비유로서의 “세례” 용어 βαπτισθῆναι εἰς τι/τινα 해석 문제를 중심으로/Cilliers Breytenbach. Humboldt大<번역 김서준.계명大> I. 서론세례를 이야기하고자 할 때 우리는 세례 요한부터 시작해야 한다. 왜냐하면 세례 요한에게서 그리스도교 세례의 기원을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1) 그는 사람들을 물에 잠기게 하는 행위로 이름을 얻은 최초의 인물이기 때문이다. 1) 다수의 학자는 예수 운동이 요한의 세례를 이어받은 것이라 생각한다. Hartman, “Into the Name,” 31 이하. 이런 입장과 다른 주장들에 대해서는 Ferguson, Baptism, 25-37, 60-82, 83-96을 참조 세례에 대한 바울의 이해를 요한의 경우 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2) 세례 요한의 경우를 통해 우리가 가진 언어의 문제를 인식할 수 있다.요한은 실제로 “세례 요한(Johannes der Täufer)”이라.. 제2성전 유대교와 요한복음의 영생 신학/이은재.한신대 I. 서론 1953년에 C. H. 도드(C. H. Dodd)가 요한복음 해석(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th Gospel)을 출간하면서 요한복음의 이해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도드는 요한복음을 통해 실현된 종말론(realized eschatology) 이라는 종말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그는 영생을 “장차 올 세상의 삶”(life of the Age to Come)과 비교함으로 유대교의 내세관을 통해 요한복음의 영생을 설명했다.또한 요한복음의 본문을 세심하게 살피고 알렉산드리아의 필론과도 연결하여 요한복음의 영생을 히브리 사상 가운데 위치시키는 데 크게 공헌했다.그는 이런 중요한 결론들을 남긴다: 1) 영생이란 “시간을 초월하는”(timeless) 하나님의 “.. 설교에서 하나님 현존의 체화된 경험/정재웅.게렛신학대학원大 I. 들어가는 말 설교는 하나님의 말씀이다(Praedication verbi Dei est verbum Dei).이 명제는 제 2 헬베틱 고백서에 하인리히 불링거가 종교개혁의 정신을 종합하여 담은 설교에 대한 정의이다. 2) 2) The Office of the General Assembly Presbyterian Church (U.S.A.),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in The Book of Confession, pt. 1, The Constitu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U.S.A., (Louisville: Office of the General Assembly, Presbyterian Church USA, 2002), 53.. 몸의 현상학과 몸의 사회학을 통한 몸의 부활 교리의 현대적 재해석 가능성 탐구/김정형.장로회신학大 Ⅰ. 서론 기독교 전통은 구원의 궁극적인 모습을 “죽은 자들의 부활과 다가오 는 세상에서의 삶”(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 혹은 “몸의 부활과 영생”(사 도신경)으로 표상한다.이 표상에서 몸의 부활은 영생으로의 부활을 뜻하 고, 또한 다가오는 세상에 부활의 몸이 참여하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여 기서 부활의 몸이 참여하게 될 ‘다가오는 세상’은 소위 ‘영적인’ 세상이 아 니라, 지금의 땅과 하늘의 만물이 새로워진 새 하늘과 새 땅(계 21:1-5), 만물이 하나님께 굴복하고 하나님께서 만유의 주님이 되시는 세상(고전 15:27-28), 속량 받은 부활의 몸뿐 아니라 썩어짐의 종살이에서 해방된 다른 피조물도 함께 참여하는 세상(롬 8:21-23)을 지시한다.이처럼 기독 교 전통에서 구원의 궁극적인 모습이 ‘.. 파레시아(진실 말하기)와 요한의 예수/김선정.연세大 Ⅰ. 들어가는 글 파레시아(παρρησία)는 푸코가 고대 그리스에서 길어 올린 말로 ‘용기 있게 진실 말하기’를 뜻한다.1)파레시아의 의미에서 ‘용기 있게’가 의미하 는 바는 진실 말하기가 가져올지도 모르는 위험이나 불이익을 감수한다 는 것을 뜻한다.권력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계보학의 방식으로 파헤쳤 던 푸코는 말년에 고대 그리스의 파레시아 전통으로부터 권력의 메커니 즘에 굴복하지 않고, 거기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더 나아가서 권력의 작 동 방식을 변경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했다.이 논문의 목적은, 푸코 가 파레시아 연구에서 강조했던 몇 가지 개념들을 활용하여, 파레시아스 테스(παρρησιαστής) 2)로서의 요한의 예수를 규명하는 것이다. 1) 나카야마 겐/전혜리 옮김, 『현자와 .. 가난한 자를 위한 예언자의 저항과 연대- 시편 14편을 중심으로-/이일례.서울신大 Ⅰ. 들어가는 말 이스라엘 예언자들은 종교적 관점에서 정치·사회·경제 문제에 깊숙 이 개입한다.그들은 정치·사회 지도자들이 정의를 실현하지 않고 불의 와 파멸의 길을 걷는 작태에 심판을 선언한다.특별히 예언자들은 지도 자들의 어리석음과 악행, 고아와 빈민에 대한 굽은 재판을 비판한다(렘 5:26-31).그들은 지도자들이 자기 백성을 짓밟고 가난한 자들을 압제하 며 과부들과 고아들을 착취하는 것을 고발하고(비교. 사 5:8-10, 10:1-4),1) 원칙적으로 하나님에게만 속한 이스라엘 자유농민의 땅을 몰수하거나 모 조리 차지하여 대지주들로 변모하는 작태를 비판하고 이에 저항한다.2) 1) 로버트 치즈홀름/강성열 옮김, 『예언서개론』(고양: 크리스천다이제스트, 2006), 57. 2) 서인.. 그리스-로마 전기 장르로 다시 읽는 마가복음 11:12-25 ― 성전 청결인가, 성전 종결인가?/권영주.한국침례大 Ⅰ. 들어가는 말 마가복음 11:12-25는 다양한 해석학적 쟁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예수는 무화과나무에 열매가 없는 것을 보고 저주하셨는데, 문제는 그 시점이 “무화과의 때가 아”(11:13)니었다는 것이다. 열매 맺을 때가 아닌 데도 불구하고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신 것은 부당한 처사가 아닌가?버트 런드 러셀(Bertrand Russll)은 이 에피소드에 대해“나는 지혜의 문제나 덕의 문제에 있어서 그리스도가 역사에 알려진 다른 인물들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서 있다고 느끼지 않는다”고 논평한 바 있다.1) 1) Bertrand Russell, (New York: Clarion Books, Simon and Schuster, 1957), 19; James R. Edwards, The Go.. ‘정치신학’에 대한 비판적 대응으로서의 “새로운 정치신학” 재고(再考)/김태연.숭실대 Ⅰ. 들어가는 말 근대 국가 체제에서 정교분리는 필수적인 원칙으로 여겨져 왔다. 그 러나 종교는 여전히 공적 영역에서 정치적, 사회적 갈등을 일으키고 있 으며, 이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마찬가지로 드러난다. 이러한 맥락에 서 ‘정치신학’은 서구 근대성 속에서 이성과 신념, 종교와 정치의 긴장 관 계를 분석하는 중요한 주제로 주목받아 왔다. 특히 칼 슈미트(Carl Schmitt, 1888-1985)의 ‘정치신학’은 근대적 국가 모델이 종교적 신념과 정치적 권력을 어떻게 결합했는지를 보여주며, 근대성에 내재된 모순을 드러낸다. 더 나아가, 정치신학적 관점은 서구 정치 구조의 기저에 여전 히 작동하는 종교적·신학적 관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한다.1) 1) ‘탈세속화 사회(세속화 이후 사회.. 이전 1 ··· 4 5 6 7 8 9 10 ··· 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