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정치 (384) 썸네일형 리스트형 남중국해 분쟁에서의 중국의 전략과 딜레마/李 東 律.동덕여대 < 차 례 > Ⅰ. 서 론 Ⅱ. 남중국해 분쟁과 중국의 대응 1. 남중국해 분쟁의 확대와 중국의 공 세적 대응 2. 미국과의 남중국해 영향력 경쟁 Ⅲ. 남중국해에서의 중국 복합전략과 딜 레마 1. 중국의 ‘해양강국’ 건설과 안보딜레마 2.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과 미 국 개입 확장의 딜.. 일본 아베정권의 정치적 자원 동원과 영토문제- 국회속기록 분석을 중심으로 -/高 選 圭.東北大 < 차 례 > Ⅰ. 문제제기 Ⅱ. 기존연구 검토와 분석 틀 Ⅲ. 아베정권에서 영토문제의 정치 동원화 1. 영토문제의 정치 쟁점화 2. 국회상임위원회별 영토문제의 논의 현황 분석 Ⅳ. 국회 속기록에서 나타난 영토문제의 정치적 성격 1. 독도관련 속기록 내용과 일본의 외 교적 대응의 한계 2..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원보.동의대 <요약문>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을 전통적인 리더십인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여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공무원의 성장욕구강도에 따라 영향에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 한국대통령선거 후보 선택 요인: 과거 지지표의후보선택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강경태.신라대 <요약문> 14대와 15대 우리나라 대통령선거 직후 실시한 전국여론조사 데이터를 이용하고 다변량로짓 분석방법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법을 적용한 결과, 정당의 역할이 제한된 한국적 정치 현실 속 에서 유권자들은 한 차례 지난 선거에서 지지하였던 후보들의 다음 선거 결과에 미.. 일본 농상무성의 「日本帝國全圖」 편찬과 독도 인식(韓哲昊/동국대) 연구논문 1. 머리말 2. 농상무성의 지형도 편찬과 독도 인식 3. 농상무성의 「隱岐圖幅」·「隱岐圖幅地 質説明書」(1896) 편찬과 독도 인식 4. 농상무성의 「日本帝國全圖」(1888, 1892, 1897) 발행·개정과 독도 인식 5. 맺음말 ■ 국문초록 일본 외무성·해군성과 함께 1905년 일본의 독도 강제.. 조봉암ㆍ진보당과 한국 현대 진보이념: 그 기원과 전개*(정승현/서강대) | 논문요약 | 이 글은 기존의 조봉암ㆍ진보당 연구자들이 당연하게 전제하고 있는 몇 가지 사실들을 교정 하고, 진보를 역사적ㆍ상대적 맥락에서 파악함으로써 한국 현대정치에서 보수와 진보의 역동 적 상호작용을 파악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첫째, 평화통일론이나 사회민.. 동북으로 가는 길의 역사적 전개― 慶興路에서 京元線으로/金效恩.성균관대 Ⅰ. 서론 Ⅱ. 조선시대의 도로 Ⅲ. 동북으로의 간선과 지선 Ⅳ. 개항 이후 통신과 육로의 변천 Ⅴ. 결론 • 국문초록 본고는 서울로부터 한반도 동북부 지역인 함경도로 향하는 전통적인 길에 주목하 여 조선시대 도로의 설치와 이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조선시대의 도로에 대한 규정 은.. 北鮮의 기억― 식민에서 분단까지, 공간감각의 표상들/李庚燉.성균관대 Ⅰ. 분단과 공간감각의 전환 Ⅱ. 아토피아 북한과 공통기억 Ⅲ. 식민지 근대의 北鮮 표상 Ⅳ. 삼팔선, 월경의 공간감각 Ⅴ. ‘北鮮’의 기억 • 국문초록 삼팔선 분단으로 북한은 텅 빈 공간, 아토피아가 되었다. 남쪽의 대한민국 국민에 게 북한은 감각할 수도 인식할 수도 실천할 수도 없..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48 다음